1 개요[ | ]
- 자발적인 공공 및 사회 조직과 기관의 총체
- 사농공상과 같은 신분적 구분에 의해 지배되지 않는 사회
- 신분적 구분에 지배되는 봉건 사회와 대립되는 자율성의 사회
- 공유된 이해, 목적, 가치를 둘러싼 강제되지 않은 집합 행동의 장
- 국가의 통제와 간섭에서 벗어나 인간이 자율적으로 사회적 활동을 할 수 있는 영역
- 신분의 지배를 타파하여 개인의 자유로운 경제 활동에 근간을 두는 법치의 공동 사회
- 신분적 구속에 지배되지 않으며, 자유롭고 평등한 개인의 이성적 결합으로 이루어진 사회
- 시민 혁명을 계기로 이룩되었다.
- 자유 경제 체제를 경제적 토대로 한다.
- 사회에서 국가 및 시장과 구별되는 영역이다.
- 시민사회와 국가, 시장의 경계는 모호하고 유동적이다.
- 자유ㆍ평등ㆍ박애를 도덕적 이상으로 내세운다.
- 다양한 공간, 행위자, 제도적 형태를 포괄하며, 형식성과 자율성, 권력 면에서 다양한 차이를 보인다.
- 등록 자선 단체, 비정부 개발 기구, 공동체 조직, 여성 단체, 신앙 관련 단체, 직능 단체, 노동 조합, 자조 집단, 사회 운동, 기업 집단, 연합 및 옹호 집단과 같은 조직을 아우른다.
2 같이보기[ | ]
3 참고[ | ]
- 시민사회 《맑스사전》 용어上 20k
- 시민사회 《칸트사전》 용어上 14k
- 시민사회 《문학비평용어사전》 용어上 13k
- 시민사회 《사회학사전》 용어上 10k
- 시민사회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용어上 9k
- 시민 사회 《Basic 고교생을 위한 정치경제 용어사전》 학습高 10k
- 시민사회 《두산백과》 백과中 9k
- 시민사회 《사회복지학사전》 용어中 9k
- 시민사회 《21세기 정치학대사전》 용어下 15k
- 시민사회 《헤겔사전》 용어 24k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