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여행

  다른 뜻에 대해서는 수학여행 (1969)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 개요[ | ]

school trip
수학여행
  • 학생이 실제 경험을 통하여 지식을 넓히도록 교사의 인솔하에 행하는 숙박여행
  • 학생의 현장학습
  • 단체생활의 학습

2 교육적 효과[ | ]

  • 문화·경제·산업·정치 등의 주요 현장을 교과 외의 분야에 넓은 식견과 풍부한 정서를 육성
  • 학교 밖에서의 집단적 행동을 통해서 건강·안전·집단생활의 수칙이나 공중도덕 등에 체험
  • 미지세계를 견문하며 사제와 학우간의 즐거운 추억, 학교생활의 인상을 풍부하게 함

3 유의사항[ | ]

  • 계획은 관계자와 면밀하게 타협
  • 인솔책임자가 사전에 현지를 상세히 답사 연구
  • 사전지도는 후일에 후회되는 일이 없도록 장기에 걸쳐 철저
  • 수송이나 숙박소의 선정은 학교가 책임지고 안전과 환경을 중시하여 선정
  • 현지 경찰·소방서·보건소 등과의 연락을 밀접하게 할 것
  • 견학생에게는 교통사고·식중독·전염병·비행·도난 등에 대한 사전지도를 세밀히
  • 학생의 경제적·신체적·정신적 상황 및 가정형편 등을 충분히 고려

4 같이보기[ | ]

5 참고[ | ]

편집자 Kipont J Jmnote Jmnote bot Johnjeong bot
  • 개인
    메이지기의 번역어 성립과 한국 수용에 관하여 -[개인(個人)]을 중심으로- = 明治期の飜譯語の成立と展開 - [個人]を中心に- 최경옥 ( Kyung Ok Choi ), (日語日文學硏究, Vol.61 No.1, [2007])[KCI등재] Pinkcrimson
  • 괜찮은 일자리
    괜찮은 일자리(Decent Job)에 대한 탐색적 연구 http://kiss.kstudy.com/thesis/thesis-view.asp?key=2540190 Pinkcrimson
  • 괜찮은 일자리
    사회적기업도 그런데 22살 되면 노가다로 숙소생활 한다네요. 그런데 일자리 구하기 참 힘들어요 ㅠㅠ Busanzeta
  • 괜찮은 일자리
    어려운 문제입니다. 또 직장에서는 쓸만한 사람 찾기가 힘들다는 말을 많이 하니까요. 서로 충돌이 있네요. Pinkcrimson
  • 민족
    과연 한국인들이 민족이라는 개념을 언제부터 사용했는가, 이건 좀 궁금하네요. 민이라는 말이야 계속 써왔겠지만 대부분 피지배계급으로서의 민이었을 것이고 중국인, 일본인들과 구분되는 느낌으로 쓴 사례들에 대해서. 그 민이라는 말에는 국민이라는 느낌과 민족이라는 느낌 양쪽 다 섞여있을듯도 싶 Pinkcrimson
  • 민족
    비슷한 맥락에서 Nation state 번역어가 주로 국민국가랑 민족국가 두 개 통용되는 것 같은데, 어느 쪽을 선택해야 할지 애매하더라구요... Mk
  • 민족
    관련 자료 모음 http://hsalbert.blogspot.com/2011/03/blog-post_11.html Pinkcrimson
  • 민족
    유럽 국민국가의 계보 http://www.yes24.com/Product/goods/62089729 Pinkcrimson
  • 민족
    일본 단일민족신화의 기원 http://feliview.com/theasian/japanese/eijioguma-tanitsuminzokunoshinwa Pinkcrimson
  • 사회
    메이지기, 번역한자어의 성립과 한국 수용 고찰 - [society]가 [사회(社会)]로 번역되기까지 - = Translation in Meiji Period of Japan and its Acceptance of Korea : with Focused on the Term [society Pinkcrimson
  • 프레이밍
    프레임 - 나를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최인철 저 http://www.yes24.com/24/goods/30872852 입문서로는 나쁘지 않지만 깊이는 모르겠다. 심리학책은 아니고 처세술책에 가깝다. 저자는 책의 덕을 좀 본 모양. Pinkcrim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