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
- gender sensitization, gender sensitivity
- 性認知 感受性
- 성인지 감수성, 젠더 감수성
- 성(gender) 이슈를 감지하는 능력
- 성별 불평등과 젠더 문제들에 대해 감지하는 능력
- 다른 성별의 입장이나 사상 등을 이해하기 위한 감수성
- 성 차별과 성(gender) 불평등을 인지하는 광범위한 능력
- 성차별로 인해 일어나는 문제와 그 차이들이 미치는 영향 등을 인지하는 것
- 성별 차이에 따른 불평등 상황을 인식하고 성차별적 요소를 감지하는 감수성
- 성별 간의 불균형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갖춰 일상생활 속에서의 성차별적 요소를 감지해 내는 민감성
- 1990년대 중반, 주로 서구 사회에서 성적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각종 정책의 주요 근거와 기준으로 제시된 개념
- 성인지 수준은 시대, 상황, 조건에 따라 다르며, 개인의 삶이 속한 정서적 태도와 가치와도 연결된다.
- 한국 사회에서는 '젠더 감수성'이라는 표현으로 주로 사용되었으나 2018년 4월 성희롱 사건에 대한 대법원 판결문에 '성인지 감수성'이라는 표현이 인용되면서 법률적 용어로도 통용되기 시작했다.
2 같이 보기[ | ]
3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