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
- oxidation number
- 酸化數
- 산화수
- 화합물을 구성하는 각 원자에 전체 전자를 일정한 방법으로 배분하였을 때, 그 원자가 가진 전하의 수
- 산화·환원을 전자의 주고받음으로 설명하기 위해 물질 속의 원자에 대해 주어지는 정수
- 단체인 원자의 산화수는 0
- 이온 원자는 이온의 전하
- 금속 화합물(단, 수소화물 제외)에서 수소원자의 산화수는 +1, 산소원자의 산화수는 -2
- 중성 화합물에서 원자의 산화수 합은 0
2 예시[ | ]
원자 |
산화수
|
Cl2 에서 Cl |
0
|
H2 에서 H |
0
|
Na+ 에서 Na |
+1
|
Cl- 에서 Cl |
-1
|
SO42- 에서 S |
+6
|
SO42- 에서 O |
-2
|
CO 에서 C |
+2
|
CO2 에서 C |
+4
|
HCl 에서 H |
+1
|
HCl 에서 Cl |
-1
|
FeCl2 에서 Fe |
+2
|
FeCl3 에서 Fe |
+3
|
H2O 에서 H |
+1
|
H2O 에서 O |
-2
|
LiH 에서 Li |
+1
|
LiH 에서 H |
-1[1]
|
F2O 에서 F |
-1
|
F2O 에서 O |
+2[2]
|
3 산화환원반응[ | ]
- C는 산화됨 (CO의 산화수는 +2, CO2의 산화수는 +4)[3]
- H는 환원됨 (H2O의 산화수는 +1, H2의 산화수는 0)[4]
4 같이 보기[ | ]
5 참고[ | ]
- ↑ 알칼리금속은 수소보다 전기음성도가 낮음
- ↑ 플루오르는 산소보다 전기음성도가 높음
- ↑ 간단히, O를 얻었으므로 산화되었다고도 할 수 있음
- ↑ 간단히, O를 잃었으므로 환원되었다고도 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