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의 주요요소

(사전의주요요소에서 넘어옴)

ISBN:897735885X ISBN:052178512X

  • 제목 : 사전편찬론 - 예술성과 장인정신(2002)
    • 제 3장 사전과 다른 언어관련 사전류의 주요 요소
  • 원제 : Dictionaries : The Art and Craft of Lexicography(2001, 2nd edi.)
  • 저자 : Sidney Landau
  • 역자 : 김영안, 강신권

1 # 표제어 선정[ | ]

  1. 표준어형을 결정한 후 수록
  2. 철자법의 표준화가 필요
  3. 많이 사용되는 굴절형도 표제어로 수록
    1. 됐다, 되지, 돼지 등 모국어 사용자도 헷갈리게 하는 어휘들은 많다.
    2. 됐다 : 되다의 과거축약형. 되다+었다 -> 되었다 -> 됐다
    3. 되지 : 되다의 의문형, 종지형
    4. 돼지 : a pig -_-
    5. 이런 식으로 표준어형의 굴절형들도 최대한 수록하여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야 한다.
  4. 파생어들 역시 굴절형처럼 처리
    1. 존재할 수 있지만 쓰인 일이 있다는 것을 증명할 문헌적 증거가 부족한 '잠어'와 거의 쓰이지 않는 희귀어들을 모두 표제어로 수록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2. 그러나 -ly, -ness로 끝나는 파생어들은 대개 어근 이상의 의미를 얻게된 경우가 많으므로 그것들을 적절히 표현해주어야 한다.
    3. 현재 파생적으로 발생된 부사의 의미가 특히 경시되는 경향이 있다.
  5. 일반적인 어휘들에 보다 충실하게 선정
    1. 말뭉치를 이용한 사용빈도에 근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학술용어의 선정
    1. 교과서와 기타 사전류에 현재 표현된 용법
    2. 권위있는 전문가조직의 추천
    3. 자기서술적인 표현을 담은 단어
    4. 단순명료한 것
    5. 상관관계를 담고있는 것 : 폐렴에 관계된 어휘는 폐렴이라는 명칭을 항목명 내에 담고있는 것이 바람직
    6. 변화 양태가 표준적인 모습을 보이는 것
    7. * 학술용어 표제어 선정은 동일한 것에 대해 2-30개의 다른 명칭을 가지고 있는 것들이 있고, 동일한 표현일지라도 영국학계와 독일학계에서 전혀 다르게 쓰는 경우들도 있어서 주의가 필요하다
    8. * 이상의 선정기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규칙은 관습을 결코 이길 수 없으며 이겨선 안된다. 언어의 사회성을 무시한 것은 인정받기 어렵기 때문이다.

2 # 표제어 배열[ | ]

  1. 알파벳 순서대로 배열한다
  2. 중심어근의 근처에 배열한다
    1. 특히 throw/shed light on같은 표제어는 어디에 배열할지 난감하다
    2. 온라인 사전에서는 throw, shed, light의 주위에 모두 놓아도 괜찮지만 오프라인 사전에서는 그렇게 할 수 없다
    3. 화학용어의 경우 methyl cellulose같은 것은 띄어쓰기를 할것인지 말 것인지, methyl에 둘 것인지 cellulose에 둘 것인지가 고려되어야 한다.
  3. 기본적으로 알파벳 순서를 존중하되 중심 어근의 주위에서도 관련 어휘를 찾을 수 있게 배열하는 것을, 명확한 기준과 예외를 인정하는 관용적 자세로 수행하는 것이 최선
  4. 표제어의 개수는 숫자놀음에 가까운 것으로 단순하게 표제어가 많다고 그것이 정말 많은 어휘를 커버하고 있는것으로 생각하면 안된다.

3 # 문법정보[ | ]

  1. 내국인을 위한 일국어사전(국어사전, 영영사전)과 외국인을 위한 이국어사전(영한-한영, 일한-한일 사전 등)은 목적에 차이가 있으므로 주의
    1. ESL :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 영어를 제1외국어로 사용하는 외국인들의 영어
    2. 한국에서는 영영사전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것이 자국민을 위한 것이냐 ESL 사전이냐를 잘 고려해야 하며 ESL사전일수록 문법이나 기타 설명등에 충실하다.
  2.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를 모든 경우에 맞춰 처리해주는 것은 불가능
  3. 어린이용이나 중학생용 사전에서 문법정보를 모두 명확하게 밝힐 필요는 없으며 종종 혼란을 초래할 우려가 있음
  4. 이국어사전을 만들 때 기점언어의 문법범주와 그 대응 번역은 의미의 일치가 중요
    1. 일본어의 する는 현재형과 미래형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단순하게 '하다'나 'do'로 설명할 수는 없다.
    2. domed는 형용사이지만 흔히 domed stadium의 약어로 쓰여 명사 역할을 한다.

4 # 발음[ | ]

  1. //으로 둘러싸인 음소표기와 []으로 둘러싸인 음성표기가 존재
    1. 네이버 영어사전은 음성표기, 영영사전은 음소표기
    2. 음소표기가 추상적인 것까지 반영한 것이라면 음성표기는 현실음만 표기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많은 경우 음성표기도 음소표기와 크게 다르지 않다.
  2. 발음 표현의 난해성
    1. 발음기호마저 음성표기와 음소표기로 분화되는 것처럼 발음을 문자로 표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일이다.
    2. 웹스터 인터내셔널 영어사전 3판(NID3)은 복잡한 발음표기로 비판받았다. 아주 간단한 발음기호조차 읽을 수 없는 사람이 영미 성인중 75%이상이다.
    3. ESL사전이나 외국어 사전에서는 음성표기가 현실적으로 필요하다.
    4. 온라인 사전에서는 원어민 발음을 실으면 이런 문제를 보완할 수 있다.

5 # 어원[ | ]

  1. 어원에 대한 오해
    1. 어원은 현재 단어의 의미에 영향을 주고있긴 하지만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2. 어원의 표기는 사전의 여러 요소중에서 상대적으로 덜 중요한 것으로, 일부 흥미를 가진 사람들을 제외하곤 어원에 대해 읽지 않는다. ('거북이'는 그 일부에 속한다. -_-)
    3. 어원으로 현재의 의미를 규정하려는 시도는 매우 잘못된 결과를 낳을 수 있다. hazard가 hasard(주사위 놀이, 프)를 danger가 dominium(절대권력, 라)을 어원으로 삼는다고 해서 danger가 피할 수 없는 위험을 말할때 hazard가 피할 수 있는 위험을 말할때 써야하는 것은 아니다. 의미는 언중이 결정하는 것이지 어원이 결정하는 것이 아니다.
  2. 어원에 필요한 요소
    1. 어원이 속한 어족
    2. 최초의 어형
    3. 유입된 시기
    4. 유입 이후의 어형 & 의미 변화
    5. 동일 어간을 가진 다른 파생어
  3. 어원의 효용
    1. 역사적 접근으로 연구자의 필요 충족
    2. 해당 언어 학습 흥미 유발
    3. 문화적 상관관계 파악의 실마리

6 # 유의어[ | ]

  1. 개념별 배열
    1. 로제의 시소러스는 가장 유명한 유의어 사전으로 추상 관계/공간/물질/지성/의지/영향 으로 나누었다.
    2. 이 카테고리화는 점차 분화되었으나 이것만으로는 부족하여 색인도 포함하고 있다.
  2. 유의어와 이형어의 구분이 필요

7 # 삽화[ | ]

  1. 삽화는 예쁜 모양을 내기 위한 것이 아니라 개념 설명을 돕는 것임
  2. 사진보다는 삽화쪽이 개념설명에 적합
    1. 코끼리와 쥐의 크기를 혼동하지 않도록 코끼리 옆에는 나무를 그려준다거나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2. 설명에 필요한 주요 부분을 제외하곤 그리지 않는다.
    3. 백과사전에서는 좀 더 정교하고 큰 삽화가 필요하다.
    4. 작은 지면에 인쇄되었을때에도 구분이 잘 되어야 한다.
    5. 그림의 스타일은 한 사전 내에서 표준적이어야 한다.
    6. 2도 인쇄를 할 경우 빨간 선으로 묘사된 것은 빨간색이라고 간주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며 가능한 혼란을 줄이기 위해 검은색의 1도 인쇄가 더 낫다.

8 # 서문과 부록[ | ]

  1. 서문과 기초 설명
    1. 서문은 사전 비평가들 외에는 읽지 않는다.
    2. 어린이용 사전의 경우 아무것도 모른다고 가정하고 ABC부터 기초를 다루어야 한다.
  2. 부록
    1. 발음, 약어표, 문법, 문체, 화용론, 불규칙 동사표, 기수/서수표, 도량형 환산표, 가계표 등이 필요하다.
    2. 정의에 사용하는 어휘를 제한하여 그 어휘 목록을 따로 제공하는 롱맨 현대 영어사전(LDCE)의 시도는 훌륭하다. --거북이,2005-4-24 2:12 pm

9 같이 보기[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