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방송 시트콤은 1993년 《김가이가》를 통해 공개드라마 방식인 시트콤을 처음으로 시도하였으나 별 반응을 얻지 못하였다.[1] 이후 《두 아빠》를 통해 또다시 시도했으나 1년을 넘기지 못한 채 조기종영되는 수모를 당했다. 청춘 시트콤 《남자 셋 여자 셋》을 시작으로 줄곧 청춘 시트콤 위주로 꾸며왔는데 논스톱 시리즈가 많은 인기를 얻으면서 계속되었다. 그러나 《레인보우 로망스》가 저조한 시청률을 기록하면서 청춘 시트콤은 종말을 고했다. 이후 가족 시트콤 중심의 일일 시트콤 시대가 되었으며 《거침없이 하이킥!》, 《지붕뚫고 하이킥!》 등이 대표적인 시트콤으로서 자리잡게 되었다. 그러다가 2012년 12월 25일에 방영한 《엄마가 뭐길래》 마지막회를 끝으로 문화방송의 시트콤 자체가 완전히 폐지되었다.
1 시간대의 변화[ | ]
문화방송 최초의 청춘 시트콤인 《남자 셋 여자 셋》의 시간대는 오후 7시 5분이었으며 주로 교양 프로그램 이전 시간대에 방송되었다. 그러다가 《논스톱》은 5분 빠른 오후 7시로 바뀌었고, 《뉴 논스톱》을 방영하던 2002년 4월 1일에 다시 10분 빠른 오후 6시 50분으로 바뀌었다.
청춘 시트콤 시대가 끝나고 일일 시트콤 시대가 개막하면서 《거침없이 하이킥!》은 MBC 뉴스데스크 이전에 방송되는 이른바 황금시간대인 8시 20분에 배정받지만[2] 《거침없이 하이킥!》의 성공 이후 《코끼리》의 시청률 저조로 《코끼리》의 시간대가 오후 7시 45분으로 일일 드라마와 자리를 맞바꾼다.[3]
한동안 일일 시트콤으로 방영하다가 MBC 뉴스데스크의 시간대 이동으로 인해 월 · 화요일 오후 8시 50분에 방영하는 월화 시트콤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2012년 12월 25일, 시청률과 광고 판매율의 저조로 인하여 《엄마가 뭐길래》를 끝으로 일일 시트콤의 제작과 방영을 중단 및 폐지하였다.
2 작품 리스트[ | ]
- 아래의 프로그램들은 2003년 이전에 제작 및 방영한 작품들로 부득이하게 일부 장면에서 흡연 장면 및 담배 소품이 노출될 수 있으며, 시청자 여러분들의 양해를 바랍니다.
- 아래의 프로그램들은 2002년 11월 이후에 시청 가능 연령을 표시하는 드라마 등급 제도를 의무적으로 시행하여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 2017년 3월 1일부터 TV 프로그램 등급 표시 외에 주제, 폭력성, 선정성, 언어, 모방 위험 등 분류 사유 표시를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2.1 청춘 시트콤[ | ]
주로 대학 생활을 주제로 한 시트콤으로 《레인보우 로망스》 종영 이후 제작과 방영 모두 중지되었다.
- 《남자 셋 여자 셋》: 1996년 10월 21일 ~ 1999년 5월 21일
- 《점프》: 1999년 5월 31일 ~ 2000년 2월 11일
- 《가문의 영광》: 2000년 2월 14일 ~ 2000년 5월 12일
- 《논스톱》[4][5]: 2000년 5월 15일 ~ 2000년 7월 28일
- 《뉴 논스톱》: 2000년 7월 31일 ~ 2002년 5월 17일
- 《논스톱 3》: 2002년 5월 20일 ~ 2003년 9월 12일
- 《논스톱 4》: 2003년 9월 15일 ~ 2004년 9월 24일[6]
- 《논스톱 5》: 2004년 10월 4일 ~ 2005년 10월 21일
- 《레인보우 로망스》: 2005년 10월 24일 ~ 2006년 11월 3일
2.2 일일 시트콤[ | ]
MBC 일일 시트콤은 《크크섬의 비밀》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 가족 시트콤이다. 《엄마가 뭐길래》를 마지막으로 제작과 방영이 중지되었다.
- 《두 아빠》: 1995년 10월 16일 ~ 1996년 1월 11일
- 《거침없이 하이킥!》: 2006년 11월 6일 ~ 2007년 7월 13일
- 《김치 치즈 스마일》: 2007년 7월 23일 ~ 2008년 1월 18일
- 《코끼리》: 2008년 1월 21일 ~ 2008년 7월 18일[6]
- 《크크섬의 비밀》: 2008년 7월 21일 ~ 2008년 10월 3일
- 《그분이 오신다》: 2008년 10월 6일 ~ 2009년 2월 27일
- 《태희혜교지현이》: 2009년 3월 2일 ~ 2009년 9월 4일
- 《지붕뚫고 하이킥!》: 2009년 9월 7일 ~ 2010년 3월 19일
- 《볼수록 애교만점》: 2010년 3월 22일 ~ 2010년 11월 2일
- 《몽땅 내 사랑》: 2010년 11월 8일 ~ 2011년 9월 16일
-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 2011년 9월 19일 ~ 2012년 3월 29일
- 《스탠바이》: 2012년 4월 9일 ~ 2012년 10월 5일
- 《엄마가 뭐길래》 2012년 10월 9일 ~ 2012년 11월 2일 (이후 시간대 변경)
2.3 월화 시트콤[ | ]
2012년 11월 5일 MBC 뉴스데스크의 시간대 변경으로 인해 일일 시트콤의 방영 시간대가 늦춰지고 주 2회만 방영하는 대신 방영 시간이 늘어나게 되었다. 하지만, 2012년 12월 25일을 끝으로 시트콤 편성이 영구 중지되었다.
2.4 월요 시트콤[ | ]
- 《세 친구》: 2000년 2월 14일 ~ 2001년 4월 9일 (최초의 성인 시트콤)
- 《연인들》: 2001년 11월 5일 ~ 2002년 12월 23일 (성인 시트콤) (월요일과 화요일에 방송되다가 2002년 4월 1일부터 월요일에만 방송됨)
- 《안녕, 프란체스카》: 2005년 1월 24일 ~ 2005년 4월 25일 (주간 시트콤이란 타이틀로 방영. 이하 시즌은 같음)
- 《안녕, 프란체스카 시즌 2》: 2005년 5월 2일 ~ 2005년 8월 1일
- 《안녕, 프란체스카 시즌 3》: 2005년 9월 5일 ~ 2006년 2월 27일
- 《소울메이트》: 2006년 3월 13일 ~ 2006년 6월 5일 (주간 시트콤, 성인 시트콤)
2.5 금요 시트콤[ | ]
2.6 토요 시트콤[ | ]
- 《테마게임》: 1995년 4월 22일 ~ 1999년 10월 9일
- 《여자 대 여자》: 1998년 4월 26일 ~ 1999년 10월 14일 (주간 코미디 드라마)
- 《아니 벌써?》: 1998년 11월 7일 ~ 1999년 4월 14일
- 《조선에서 왔소이다》: 2004년 11월 6일 ~ 2004년 12월 19일
2.7 일요 시트콤[ | ]
- 《김가이가》: 1993년 10월 24일 ~ 1994년 4월 10일
- 《아가씨와 아줌마 사이》: 2004년 5월 9일 ~ 2004년 10월 10일 (명랑가족 시트콤이란 타이틀로 방영)
- 《무작정 패밀리》: 2012년 6월 17일 ~ 2012년 9월 1일 (시추에이션 버라이어티란 타이틀로 방영. 2012년 8월 18일부터는 목요일 방영)
2.8 미니 시트콤[ | ]
3 같이 보기[ | ]
4 각주[ | ]
- ↑ 김연수 기자 (1995년 10월 13일). “시트콤 뿌리 내릴까”. 동아일보.
- ↑ 차석록 (2006년 11월 3일). “초록뱀미디어 ‘거침없이 하이킥’ MBC와 외주 계약”. 파이낸셜뉴스.
- ↑ 김은구 (2008년 5월 14일). “MBC 일일드라마 1년 6개월만에 오후 8시 20분대 원상복귀”. 이데일리.
- ↑ 김주영 기자 (2000년 5월 9일). “[방송가] MBC, 15일부터 프로그램 정시방송”. 매일경제.
- ↑ 남도영 기자 (2000년 5월 11일). “MBC, 새 시트콤 '논스톱'으로 시청률 회복 나서”. 국민일보.
- ↑ 이동: 6.0 6.1 이 작품부터 HD 규격으로 제작되었다.
5 외부 링크[ | ]
- 위키백과 "문화방송 시트콤"
위키낱말사전 "문화방송 시트콤"
- 다음사전 "문화방송 시트콤"
- 다음백과 "문화방송 시트콤"
- 네이버사전 "문화방송 시트콤"
네이버백과 "문화방송 시트콤"
나무위키 "문화방송 시트콤"
- 리브레 위키 "문화방송 시트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