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항 반응 분포

1 개요[ | ]

item response distribution
問項 反應 分布
문항 반응 분포, 답지 반응 분포
  • 선다형(選多型) 문항에 대한 응답자들 반응의 답지(答肢)별 분포
  • 문항 속에 포함된 선택지 하나 하나에 학생들이 어떻게 반응했는지의 분포
  • 한 문항에 대한 총반응수에서 정답자 수를 뺀 다음 그 문항의 오답지(誤答肢) 수로 나눔으로써 계산되는 개별 오답지의 이론상의 반응빈도와 실제 반응빈도를 비교하여 오답지의 매력도(魅力度)와 그에 따른 정답지의 기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며, 배합형 문항도 이 방법을 이용하여 오답지의 매력도를 확인할 수 있다.
  • 문항의 답지가 의도했던 기능이나 역할, 즉 각 답지의 오답이 얼마나 오답으로서의 매력이 있으며, 정답은 얼마나 정답 구실을 했는가 등을 알아볼 수 있다.

2 예시[ | ]

<문항 가>
답지 상부 하부 전체
10 10 20
②(정답)
100 50 150
20 30 50
20 50 70
NR
0 10 10
N
150 150 300

<문항 나>
답지 상부 하부 전체
10 30 40
80 100 180
③(정답)
40 20 60
20 0 20
NR
0 0 0
N
150 150 300

<문항 다>
답지 상부 하부 전체
0 0 0
0 5 5
10 20 30
④(정답)
140 100 240
NR
0 25 25
N
150 150 300
  • <문항 가>는 정답(※표)에 대부분의 학생이 반응하고 있고, 각 오답지에도 비교적 고르게 학생의 반응이 분포되어 있어서 무난한 반응을 보이는 문항이다.
  • <문항 나>는 정답에 60명의 학생이 반응하고 있는데 반해, 오답지 ②에는 180명이라는 많은 학생이 반응하고 있다. 이것은 정답이 ‘정답구실’을 못하고 있다는 의미이므로 수정이 필요하다.
  • <문항 다>는 정답이 뚜렷하고 오답의 매력이 너무 적어 수정이 필요한 문항이다.

3 활용[ | ]

규준지향 평가

규준지향 평가의 경우 문항 <가>와 같이 분포되어 있을 것을 이상으로 한다. 규준지향 평가의 각 문항은 약 50% 이상의 학생이 정답에 반응하고 그 나머지가 오답지에 비슷하게 분산되어 있을 것을 기대한다. 이렇게 분산되어 있을 때 학생의 능력차를 예민하게 변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이같은 반응분포를 보이지 않을 경우 문항표본이 능력 모집단을 제대로 대표하고 있지 못하다는 증거로 받아들인다.

목표지향 평가

목표지향 평가에서는 소수의 학생이 정답에 반응했을 경우 평가문항 자체만의 문제로 보지 않고, 교수-학습 조건이 제대로의 역할을 하지 못해서 학생이 성취수준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본다. 즉, 문항반응분포 분석에서 얻는 증거는 교수-학습과정을 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는 정보로 본다.

4 같이 보기[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