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저번역지원사업

1 개요[ | ]

명저번역지원사업
  •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번역사업
  • 번역비 지원
  • 최초 5년간 지정출판사에서 출간
  • 번역 저작권은 역자가 소유

2 2021 지정도서 목록[ | ]

  • 동양문학 / 古鮮冊譜 / 前簡恭 / 1957
  • 동양문학 / 『義経記』 / 작자미상(1300년대 성립 텍스트 추정) / 1370
  • 동양문학 / Ṛgveda Saṁhita (I) / 앙기라사스 Angirasas, 깐와 kāṇva 등 성자로 알려진 고대 인도인 다수 / 1200~1500 BC
  • 동양문학 / 西湖夢尋 / 장대張岱 / 강희 56년(1717년)
  • 동양문학 / 女界鐘 / 金天翮 / 1903
  • 동양문학 / 詩經原始 / 方玉潤 / 1873년
  • 동양사 / A History of Ayutthaya, Siam in the Early Modern World / Cris Baker, Pasuk Phongpaichit / 2017
  • 동양사 / "The venture of Islam: Conscience and History in a World Civilization (전 3 권)" / "마샬 호지슨 (Marshall Hodgson)" / 1961
  • 동양사 / 革命造反年代-上海文革运动史稿 / 李遜 / 2014
  • 동양사 / La civilisation chinoise / Marcel Granet / 1929
  • 동양사 / The Baburnama: Memoirs of Babur, Prince and Emperor / Zahir ud-Din Muhammad Babur/Rushdie, Salman (INT)/ W.M. Thackston Jr / 1589-90년
  • 동양사 / 現代史資料 -関東大震災と朝鮮人 / 姜徳相, 琴秉洞 / 1963
  • 예술체육 / 明治演劇史 / 伊原敏郞(이하라 도시오) / 1933년
  • 동양철학 / 二程集 / 程顥 · 程頤 / 12세기
  • 동양철학 / 大乘起信論義疏/大乘起信論義記 / 혜원(慧遠)/법장(法藏) / 미상
  • 동양철학 / 華嚴五十要問答/華嚴經內章門等雜孔目 / 지엄(智儼) / 미상
  • 동양철학 / Yogaśāstra / Śri Hemacandra / 1977(현대 에디션 판본)
  • 동양철학 / Kaccāyana and Kaccāyanavutti / Kaccāyana / 1871년
  • 동양문학 / 論語義疏 / 皇侃 / 2007
  • 동양철학 / 周易集解 / 이정조 / 당대
  • 동양철학 / 戴震文集 / 戴震 / 1792
  • 동양철학 / 中觀論疏 / 吉藏 / 7세기
  • 동양문학 / Kutadgu Bilig / Yūsuf Khāṣṣ Ḥājib Balasağuni (터키어 번역자는 Reşid Rahmeti Arat) / 원전의 최초 출판연도 11세기
  • 사회과학 / Accumulation of Capital / Joan Robinson / 1956
  • 사회과학 / An Essay upon Projects / Daniel Defoe / 1697
  • 사회과학 / Einführung in Theorien und Methoden der Erziehungswissenschaft / Heinz-H. Krüger / 1999
  • 사회과학 / Sémiotique et sciences sociales / Greimas, A.J / 1976
  • 사회과학 / Die Religion / Georg Simmel / 1912
  • 사회과학 / Trattato di Sociologia generale di Vifredo Pareto. / 빌프레도 파레토(Vilfredo Pareto) / 1916
  • 사회과학 / Sociologie et philosophie / Emile Durkheim / 1924
  • 사회과학 / Wirtschat und Gesellschaft. Teilband 2: Religiöse Gemeinshaften / Max Weber / 1921
  • 사회과학 / Probleme der Völkerpsychologie / Wilhelm Wundt / 1921
  • 사회과학 / Kapital und Kapitalzins / Eugen von Böhm-Bawerk / 1884년
  • 사회과학 / Local Self-Government and Centralization / Joshua Toulmin Smith / 1851
  • 사회과학 / (1) The State of the Prisons in England and Wales – With Preliminary Observations and an Account of Some Foreign Prisons (2) An Account of the Principal Lazarettos in Europe / John Howard / 1777/1789
  • 서양문학 / Der Briefwechsel Zwischen Schiller Und Goethe / Friedrich Schiller와 Johann Wolfgang von Goethe / 1797
  • 서양문학 / The Lectures of St. Cyril of Jerusalem / CyrilofJerusalem(ΚύριλλοςΑ΄Ἱεροσολύμων) / 1564년
  • 서양문학 / Silviae vel potius Aetheriae peregrinatio ad loca sancta / Egeria (Etheria, Aetheria) / 4세기
  • 서양문학 / Operette morali / 자코모 레오파르디 / 1835
  • 서양문학 / Marius the Epicurean: His Sensations and Ideas / Walter Pater / 1885
  • 서양사 / Epistola D. Pauli ad Ephesios, qua rationem Christianismi breuiter / 마르틴 부처(Martin Bucer) / 1527
  • 서양철학 / Geschichte des Materialismus und Kritik seiner Bedeutung in der Gegenwart / 프리드리히 알베르트 랑에(Friedrich Albert Lange) / 1866
  • 서양철학 / Briefe zu Beförderung der Humanität / Johann Gottfried Herder / 1793
  • 서양철학 / De hominis opificio / 니사의 그레고리우스 / 1863
  • 서양철학 / Meister Eckhart. Die deutschen und lateinischen Werke / 마이스터 에크하르트(1260년-1328년, 독일 출생) / 1936
  • 서양철학 / On the Senses (Περὶ Αἰσθήσεων) / 테오프라스토스 / 기원전 4~3세기 추정
  • 서양철학 / Protrepticus (Προτρεπτικός) / 아리스토텔레스 / 기원전 353년 이후 경
  • 서양철학 / De la recherche de la vérité / Nicolas Malebranche / 1674-75
  • 서양철학 / Speeches in the Impeachment of Warren Hastings (The Works of the Right Honourable Edmund Burke) / Edmund Burke / 1887
  • 서양철학 / The Transformation of the World / Jurgen Osterhammel / 2009
  • 서양철학 / Menschen im Spiegel ihrer Maschinen / Käte Meyer-Drawe / 1996
  • 예술체육 / Geschichte der Kunst des Altertums / 요한 요아힘 빙켈만 (Johann Joachim Winckelmann) / 1764
  • 예술체육 / Esthétique et psychologie du cinéma / Jean Mitry / 1965
  • 예술체육 / Der musizierende Mensch / Wolfgang Suppan / 1984
  • 자연과학 / MÉMOIRES SINGULIÈRES, MÉMOIRES PLURIELLES À l'heure du dataïsme et de l'intelligence artificielle / Marc-Williams Debono / 2018
  • 자연과학 / Hundert Jahre Psychiatrie: Ein Beitrag zur Geschichte menschlicher Gesittung / Emil Kraepelin / 1918
  • 자연과학 / Geōgraphikḕ Hyphḗgēsis (Geographia, Geography) / Claudius Ptolemy / AD 2세기

3 FAQ 2017[ | ]

hwp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명저번역지원사업 FAQ


1. 명저번역지원사업은 어떤 사업입니까?

『명저번역지원사업』은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인문사회분야 연구자의 번역서 발간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구분 명저번역지원
지원규모 지정도서 추천위원회에서 정한 적정연구비 기준
지원기간 2~3년
연구개시 5월 1일(상반기사업)
연구유형 단독 및 공동
1책 3공 포함여부 포함


2. 번역 원고료 성격의 지원이라고 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의미 입니까?

본 명저번역지원사업의 연구비는 번역을 위한 원고료 성격으로 지급함으로써 세부 항목 설정, 정산 및 증빙서류 제출 등의 의무가 없습니다. 이는 인문학적 특성을 최대한 반영하고 연구비 집행의 자율성을 높이고자 함입니다. 공동연구로 지원될 경우 연구책임자와 공동연구원의 연구비 비율은 각 대학의 산학협력단으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 주관연구기관에서 연구자에게 연구비(원고료) 지급시 세금을 제외함

3. 공동 번역으로 출판이 가능합니까?

본 사업은 단독 및 공동 연구로 진행되므로 최종연구결과물(번역도서)은 단독 번역서 또는 공역서로 출판 가능합니다.

4. 도서의 출판권에 대한 사항은 무엇입니까?

도서의 출판권은 초판 출판일로부터 향후 5년간 국가(재단)가 소유하고, 그 이후에는 번역연구자가 소유함을 원칙으로 합니다.(e-book 출판 포함) 명저번역의 출판은 한국연구재단과 용역계약을 체결한 지정출판사에서 맡고 있으므로, 번역자와 출판사 간의 출판계약은 초판 출간 당시에는 이루어지지 않으며, 초판 발행일로부터 5년 뒤에 출판계약이 가능해집니다.


5. 명저번역 지정도서는 어떤 과정을 통해 선정됩니까?

명저번역지원사업의 지원대상이 되는 도서를 지정하기 위해 재단은 우선 홈페이지를 통해 번역이 필요한 고전과 학술명저에 대한 연구자의 자유 추천을 받아 학계의 의견을 수렴합니다(2016년의 경우 9월 26일부터 11월 30일까지 추천받았음). 추천된 도서에 대해서는 지정도서 추천위원회의 검토 및 심의를 거쳐 번역대상 지정도서로 선정됩니다.

6. 지정도서에 포함되지 않은 도서에 대해서는 자유도서로 신청이 가능합니까?

2005년부터 번역지정과제를 대폭 확대하는 한편, 자유도서에 대해서는 신청받지 않고 지정도서에 한해서만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7. 한국어 번역권 체결이 필요한 도서를 지정도서로 신청할 수 있습니까? 번역권 체결이 불필요한 Public Domain 도서만 지원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2014년부터 한국어 번역권 체결이 불필요한 Public Domain 도서에 한하여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이는 예년 사업의 경우 번역권 체결에 소요되는 시간으로 인해 연구개시가 늦춰질뿐더러, 번역권 체결에 실패하여 선정 취소가 된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과제를 지원하기 위해서입니다. 다만 지정도서 추천서는 모든 도서를 대상으로 받고 있으며 저작권 체결이 필요하더라도 명저로 인정된 도서는 예외적으로 지정도서로 선정될 수 있습니다.(2016년의 경우 1과제가 지정도서로 선정되었음)

8. 적정번역연구비는 어떻게 계상되었으며, 적정연구비가 공고되지 않은 도서에 대해서는 연구비를 어떻게 산정해야 합니까?

예년의 번역연구비는 신청하고자 하는 번역대상도서의 언어 및 난이도, 분량 등을 고려하여 200자 원고지 1매당 7,000원 ~ 12,000원의 범위 안에서 자율적으로 신청을 받았으나, 2016년부터는 지정도서 추천위원회에서 검토된 적정번역연구비를 지정도서와 함께 공고하고 있습니다. 이는 명저번역지원사업의 신규과제 예산 300백만원 범위 내에서 다양한 학문분야의 명저번역을 지원하기 위함입니다. 따라서 과제 신청 시 적정연구비를 고려하여 그 안에서 자율 신청하시되, 신규과제 선정평가 시 연구비가 상향 혹은 하향 조정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적정연구비가 공고되지 않은 지정도서를 신청하실 경우에는 200자 원고지 1매당 7,000원 ~ 12,000원 내에서 자율 신청이 가능하지만, 이 또한 선정평가 시 예산 범위 내에서 상향 혹은 하향 조정될 수 있습니다.

9. 신청분야가 기초학문분야로 되어 있는데, 인문사회분야만 신청 가능합니까?

아닙니다. 신청분야는 인문사회분야에만 국한되지 않고 인문, 사회, 자연, 예술학 등 전 학문분야에 걸쳐서 지정도서 목록에 포함되어 있는 도서는 신청 가능하며, 신청자의 전공 역시 인문사회 분야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10. 신청자격에서 한국어를 외국어로 번역한 업적도 번역업적으로 인정됩니까?

명저번역지원사업은 외국어로 출판된 외국도서를 한국어로 번역하는 연구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외국 서적을 한국어로 번역한 업적만 인정되며 한국어를 외국어로 번역하거나, 한국학 고전번역 업적은 인정하지 않습니다.

11. 인문사회분야 학술지원사업 내 타 연구과제에 참여하는 전임연구인력으로서 인건비를 받고 있습니다. 지원자격에 해당합니까?

본 사업은 원고료 성격의 지원으로 인건비성 경비가 아니므로, 현재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 사업에서 인건비를 지원받고 있다 할지라도 인건비 중복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신청 가능합니다.

12. 타 사업에 연구책임자로서 참여하고 있습니다. 명저번역지원사업에 신청이 가능합니까?

교육부 및 한국연구재단 연구비는 1인 3과제(연구책임자 1 + 공동연구 2 이내) 원칙이 적용되므로 연구책임자로서 2과제 참여가 불가합니다. 단, 현재 수행하고 있는 과제의 연구기간 종료일이 2017.12.31. 까지인 과제는 참여제한 과제수에 포함하지 않습니다.

13. 연차보고서와 종료보고서에 대한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궁금합니다.

선정된 과제의 사후관리를 강화하는 재단의 정책방향에 의거 최고의 번역 질을 확보하기 위해 연차보고서와 종료보고서에 대한 평가는 매우 엄격하게 진행됩니다. 연차보고서는 연차별 연구기간 종료 2개월 전에 제출하며, 연차보고서(소정양식) 및 번역본과 번역원문(스캔파일)을 모두 온라인으로 탑재하셔야 합니다. 종료보고서는 연구기간 종료일까지 제출하며, 종료보고서(소정양식) 및 100% 완성된 번역본 및 번역원문(스캔파일)을 모두 온라인에 탑재하셔야 합니다.

14. 번역 후 출판을 담당할 출판사는 어떻게 정해야 하며, 인세는 어떻게 지급되니까?

종료보고서 평가에서 출판적합으로 판정된 번역과제는 재단에서 지정한 출판사를 통해 “한국연구재단 동서양학술명저 번역총서”로 출판될 예정입니다.

지정출판사는 동양서 2곳, 서양서 2곳, 총 4개 출판사가 선정되었으며, 종료평가 이후 출판사를 연결해드리고 있습니다. 해당 분야의 2개 출판사 중 1개 출판사를 자유롭게 선택하셔서 출판을 진행하시면 됩니다. 연구종료 후 2년 이내까지 재단에 제출해야 할 최종결과물(번역도서)은 출판사에서 직접 재단에 제출하므로 최종결과물 온라인 등록만 완료하시면 됩니다.

인세의 경우, 2,000부까지는 출판사에서 번역자에게 인세를 지급하지 않으며, 2,000부 이상 발행할 경우 로열티가 없는 경우는 10%, 로열티가 있는 경우는 12%에서 로열티를 제한 인세를 번역자에게 지급합니다.

4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