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어헌터

Upload:deerhunter.jpg

1 # 자일리톨[ | ]

이 영화의 배경은 펜실베니아의 제철공장지대다. 2차대전 이후 “세계의 공장”을 자처했던 미국 위상의 급격한 하락을 상징하듯 영화의 배경은 어딘지 모르게 쓸쓸하고 퇴락해 보인다. 게다가 이 마을의 주민들은 러시아를 그 출신지로 두고 있는 사람들이다. 때문에 마을 중앙에는 커다란 러시아 정교 교회당이 들어서 있고, 마을공동체라 불리울만한 유대관계를 맺고서 살아간다. 육체노동을 하며 미국사회의 하층민으로 살아왔던 이민 1세대처럼 이 영화의 주인공인 이민2세대들도 비슷한 생활을 하고 있다. 달라진 것이 있다면 이들에게는 언어적, 문화적 충돌과 어려움이 덜하다는 정도일 것이다. 사회적 신분의 상승(이른바 입신양명)과 러시아적 정체성의 유지(그들은 그들의 자식들이 러시아 출신과 결혼하는 것을 바란다)를 희구하는 그들의 부모들에게 엿을 먹이려는 듯 그들의 삶은 공장과 선술집, 그리고 가끔씩의 사슴사냥 속에서 부유한다. 그들은 애초부터 앵글로 색슨이 지배하는 미국사회에서 신분의 상승은 불가능하다는 것과 그들 자신이 미국의 쓰레기라는 한계를 철저히 인식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럼에도 그들은 미국이라는 국민국가의 일원으로서 ‘자랑스러운’ 징병의 대열에 합류한다. 베트남으로 떠나기 전, 약간의 두려움과 머뭇거림의 흔적을 엿볼 수 있지만, ‘전쟁도 사슴사냥과 같은 하나의 게임일 뿐’이라는 말로 위안을 삼으며 그들은 전장으로 향한다. 그들이 거기서 본 것은 전쟁의 광기와 어떠한 도덕적 주저함이 없는 살육의 현장이었다. 게임이 지속된다면 게임의 참가자 모두 죽을 수 밖에 없는 러시안 룰렛처럼, 베트남전속에서 참전자들의 생명은 하나둘씩 스러져 가고 미쳐간다.

그 와중에 참전했던 세친구 중, 닉은 탈영을 해서 자취를 감추고, 스티븐은 반신불수가 되고, 마이클만이 고향으로 돌아온다. 나중에 닉이 패망직전의 베트남에 살아있다는 소식을 접한 마이클은 다시 베트남으로 들어가 닉을 구하려고 하지만, 닉은 러시안 룰렛판에서 자신의 머리를 날려버리고 만다.

감독 마이클 치미노는 이 영화를 통해 미국사회의 주변인들이 베트남전이라는 광기어린 전쟁을 통해 파괴되는 과정을 상징적으로 그려내고 있다. 그러나 베트남전 이후 최초의 진지한 영화적 시도였던 이 작품은 미국의 주류계급이 원하는 도식적인 결말로 허무하게 끝난다. 베트남으로부터 도착한 닉의 시신을 묻고 난 후, 옛친구들은 식사를 하며 미국찬가를 조용하게 부르는 것이다. 영화 곳곳에서 베트남인을 비하하는 영화적 장치가 눈에 거슬리기는 하였지만, 생명주의와 反戰이념을 기초로 한 작품이라고 생각하고 수시간동안 영화를 봤던 내게 있어, 이건 완전한 反轉이었다. 별로 권할만한 작품은 아니다. -- 자일리톨 2004-7-11 1:50 am

2 # 촌평[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