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월

1 개요[ | ]

한국을 대표하는 시인, 김소월

김소월(1902~1934)은 한국인에게 가장 사랑 받아 온 한국의 대표 시인이다. 그의 본명은 김정식이며, 소월은 그가 작품을 발표할 때 사용하였던 그의 호로, 일반적으로 김소월로 그를 부르고 있다. 김소월은 33해 라는 짧은 생애를 살았지만 한국인의 정서를 가장 한국적인 목소리로 노래했으며, 일제 강점기라는 어두운 시기 한국인의 비애와 지식인의 고민을 담은 민족시인으로 150여편의 시를 남겨 오늘날에도 크게 사랑받고 있다.

김소월은 광산업에 종사하며 재산을 모은 집안에서 태어났으나 그가 세 살 때 아버지가 일본인들에게 폭행을 당해 정신병을 앓게 되었다. 김소월은 할아버지 김상도의 보살핌을 받게 되었고 숙부 김응열과 결혼한 계희영과 함께 살게 되었다. 어린 소월은 숙모 계희영에게 한국 전래 동화 이야기를 많이 들었는데, 이는 소월이 문학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가 되었다.

김소월은 남산보통학교를 졸업하고, 14살이 되던 1915년에 독립운동가 이승훈이 나라를 구하기 위한 민족 의식 고취를 목표로 세운 오산학교에 입학하였다. 이곳에서 소월은 그의 인생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끼친 조만식과 김억을 만나게 되었다.

김소월.gif

사진은 현재 남아있는 김소월의 유일한 사진으로, 오산학교 재학시절, 김소월이 17살 때의 모습으로 추정된다.

김소월은 오산학교에서 한국민족의 경제자립운동인 물산장려운동을 조직한 독립운동가이자 실천가였고, 당시 교장이었던 조만식(1883~1950)을 만났다. 조만식은 김소월의 작품 시각이 민족과 국가로 발전, 성장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김소월은 조만식의 영문명 JMS 라는 시를 쓰기도 하였는데, 이 시에 조만식에 대한 김소월의 생각이 그대로 담겨 있다.

오산 계시던 제이.엠.에스
십년 봄만에 오늘 아침 생각난다
...
민족을 위하여는 더도 모르시는 열정의 그 임
...
'제이엠에스' (부분) - 김소월

또한 김소월은 오산학교를 다니면서 김안서라는 필명으로 활동한 김억(1896년~미상)을 스승으로 만나게 된다. 김억은 김소월이 오산학교를 다니던 시절 교사로 재직하면서 소월의 재능을 알아보고 김소월을 응원하고, 문단에 소개하는 등 소월이 시인으로 활동할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었다. 김소월은 김억의 응원으로 1920년, 그의 나이 18세에 '창조' 5호에 시를 실으며 등단하게 된다.

2 배재학당에서의 김소월: 짧았던 서울 생활, 진했던 작품 활동[ | ]

김소월은 배재학당 시절인 1922년부터 1923년 시인으로서 가장 활발히 활동하였다. 배재학당은 김소월이 다니던 오산학교가 1919년 3·1운동의 발발으로 일본군에 의해 폐교 당하자 학업을 잠시 중단했다가 편입한 곳으로 한국 최초 서양식 근대 교육 기관이다. 김소월은 1922년 배재학당에 5학년에 편입하고 그 이듬해 3월에 졸업하였다. 당시 배재학당은 당시 조선 정부와 교육 협정을 맺은 교육기관으로 근대 인제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교과목 이외에 특별활동시간에는 연설, 토론 등을 장려하던 곳이었다. 이러한 교육을 받은 배재 학생들은 협성회를 조직하였는데, 이는 독립협회로 발전하여 민족 운동 중심지, 민족 계몽운동의 뿌리가 되기도 한 곳이었다.

김소월은 배재학당에 편입한 해인 1922년, 가장 활발하게 작품 활동을 했다. '개벽' 1922년 1월호에 '금잔디', '엄마야 누나야'를 발표하였다. 가장 널리 알려진 대표적인 시 '진달래꽃'도 배재학당 재학 시절 '개벽' 1922년 7월호에 발표한 시이다. 김소월은 1922년 한해에만 50여 편의 시를 발표했고, 이 시기 소설가인 나도향(배재학당 1918년 졸업생)과도 교류가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김소월은 배재학당 재학 시절동안 배재학생청년회 문학부 활동을 하는 등 적극적으로 학교생활을 하였다. 1903년 조직된 배재학생청년회는 '종교부, 사교부, 문학부, 운동부, 음악부, 의사(議事)부' 총 6개 부서로 조직되어 있었는데, 이 중 문학부는 교지 편집을 담당하였다.

문학부 소속으로 김소월은 교내 잡지인 '배재' 2호에 여러 편의 시와 글을 발표하였다. '배재'는 배재고등보통학교의 교지로 학생회 배재학생청년회에서 학생들의 문학 작품, 논설, 학교 소식 및 현황 보고 등을 담은 잡지입니다. 당시 학생들의 현실 인식과 사회적 소명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배재' 제 2호에는 소월이 번역한 단편소설 '떠도라가는 계집'을 비롯하여 '달밤', '깊고 깊은 언약', '오시는 눈', '접동', '길손', '봄바람', '비단안개' 등 소월의 시 7편이 실려 있다. 이 시기 김소월은 서구의 문학작품을 번역하는 작업과 함께, 자연을 소재로 하는 작품을 많이 남겼다.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