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현장연구

1 개요[ | ]

action research in education
교육현장연구, 현장교육연구, 교육실천연구, 교육실행연구, 교육현장실천연구
  • 교육 관련 실행연구
  •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실행연구
  • 교육현장에 몸담고 있는 교사 자신이 교육 현실을 이해하거나 개선하기 위해 수행하는 연구
  • 일선 교사들이 교육 현장에서 맞닥뜨리고 있는 문제를 포착해 교육 실천 개선에 직접 기여하기 위해 실행하는 연구
  • 교육현장에서 프로그램의 실행(action)과 그것의 변화와 개선을 위한 이해와 지식을 얻기 위한 연구(research)를 동시에 순환적으로 수행하는 연구방법의 한 형태
  • 교육현장을 개선하는 주체인 교사가 개선의 영역을 선정하고, 그 영역과 관련된 문헌을 검토하고, 대안을 찾아내고, 대안을 실천하며 그 결과를 평가하는 과정

2 특징[ | ]

  • 교사들이 교육을 개선하는 과정
  • 교육현장의 실제적인 문제에 대한 연구
  • 수업·학급경영·생활지도 등 과정에 대한 반성 및 개선
  • 자기반성적 공동체 구축 - 실천을 개선하기 위해 동료교사와 함께 할 수 있음
  • 개방적 사고 필요
  • 참여를 통한 실행 평가
  • 현재 상태에 대한 비판적 분석
  • 활동(계획,실행,관찰,반성)의 반복을 포함하는 역동적인 과정
  • 실천적 지식 획득, 참여적 연구
  • 결과 뿐만 아니라 과정 자체가 매우 중요함

3 비교[ | ]

구분 전통적 연구 실행연구
연구의 주체 대학교수나 학자 교사나 실무자
연구의 대상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돌보는 학생이나 실제 실무활동의 대상
연구의 장소 변인 통제가 가능한 환경 교실이나 일상적 실무현장
연구의 방법 양적 접근을 통한 변인 간 인과관계 파악 질적 접근을 통한 현상의 기술 및 처방
연구의 목적 일반화 가능한 연구결과 산출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현장 문제의 즉각적 해결

4 같이 보기[ | ]

5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