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
- 고려 말기에 원나라에 보낼 여자를 선발하고자 설치한 특별관청
- 고려 후기에 원나라가 요구하는 공녀를 선발하는 일을 담당한 관청
- 고려시대, 원나라의 요청에 따라 공녀를 선발하기 위하여 설치되었던 임시관서
- 1274년(원종 15) 원나라에 귀부(歸附)한 송나라 병사인 만자군(蠻子軍)에게 고려인 처(妻)를 마련해 주기 위하여 설치된 결혼도감(結婚都監)에서 비롯되었다.
- '과부처녀추고별감'이란 명칭이 역사서에 처음 나타나는 것은 1276년(충렬왕 2)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