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틀:텔레비전 프로그램 정보/시즌
![]() | |
장르 | 시사 · 교양 |
---|---|
방송 국가 | ![]() |
방송 채널 | OBS(지상파) |
방송 기간 | 2011년 10월 8일 ~ 2012년 2월 4일 2012년 10월 28일 ~ 2013년 1월 6일 |
방송 시간 | 본문 참조 |
방송 분량 | 1시간 |
방송 시즌 | 2기(방영 종료) |
방송 횟수 | 1기 : 18회[1], 2기 : 11회 |
추가 채널 | OBS W(유료방송) |
기획 | 김인중(1기), 김력균(2기) |
제작 | OBS경인TV |
연출 | 손석범(1기, 2기), 백범선(1기) 김경록(2기) |
조연출 | 이한나(1기, 2기), 윤지영(1기) 고광준(2기) |
구성 | 황은주, 김윤경(1기) 박승현, 이상재(2기) |
대본 | 양지혜(1기), 홍상희(2기) |
출연자 | 신영일, 김범수(1기) 김현욱(2기) |
음성 | 2채널 스테레오(아날로그) 2채널 돌비 디지털(디지털) |
자막 | 청각 장애인들을 위한 자막 방송 |
HD 방송 여부 | HD 제작 · 방송 |
외부 링크 | OBS 고교토론 판 2 홈페이지 |
《고교토론 판》은 OBS경인TV의 텔레비전 프로그램이다.
1 개요[ | ]
-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고등학생들이 사회적 현안과 청소년들이 공감할 수 있는 사안을 주제로 토론을 진행한 프로그램이다.
- 참가자들은 두 명씩 한 팀을 구성하여 회당 4팀이 참가하며, 두 팀씩 찬반 입장으로 나누어 토론을 진행한다[2].
- 각 회마다 우수한 평가를 받은 팀은 정해진 상을 받았다.
2 방영 일시[ | ]
방영 채널 | 방영 기간 | 방영 시간 | 비고 |
---|---|---|---|
OBS | 2011년 10월 8일 ~ 2012년 2월 4일 | 토요일 오후 6시 45분 ~ 7시 45분 | 1기 |
2012년 10월 28일 ~ 2013년 1월 6일 | 일요일 오전 9시 55분 ~ 10시 55분 | 2기 |
3 역대 진행자[ | ]
4 코너[ | ]
4.1 1기[ | ]
- 찬반토론
- 작전타임
- 해법토론
4.2 2기[ | ]
5 방영 목록[ | ]
5.1 1기[ | ]
5.1.1 2011년[ | ]
5.1.2 2012년[ | ]
5.2 2기[ | ]
5.2.1 2012년[ | ]
이 목록은 다음의 팀에 해당한다.
- 1기 참가 경력이 있으며, 2기에 다시 참가한 팀(참가자)
- 1기 참가자가 속한 학교의 대표로 2기에 신규 참가한 팀(참가자)
- 타방송사 프로그램에 참가한 경력이 있거나 이와 동시에 참가한 팀(참가자)[10]
- 타방송사 프로그램 참가자가 속한 학교의 대표로 본 프로그램에 신규 참가한 팀(참가자)
- 이외의 참가 팀(참가자)은 2기에 최초로 참가한 팀(참가자)이다.
회차 | 방영일 | 주제 | 참가팀 | 소속 | ||||
---|---|---|---|---|---|---|---|---|
1회 | 10월 28일 | 대한민국은 대학에 안가도 먹고 살 수 있다 | 정신통일² | 인천외국어고등학교 | ||||
참가자 | 정재훈, 이신영 | |||||||
ABRAXAS[11] | 경기 신성고등학교 | |||||||
참가자 | 박웅, 최정찬 | |||||||
飛프레임 | 경기 여주고등학교 | |||||||
참가자 | 박경서, 황정목 | |||||||
톡톡Talk!² | 서울 광신고등학교 | |||||||
참가자 | 김가현, 우승현 | |||||||
결과 | ABRAXAS 팀(경기 신성고등학교)이 2차 토론에 진출. | |||||||
2회 | 11월 4일 | 고교생 아르바이트를 금지해야 한다 | 놀자! 토론으로² | 인천 신현고등학교 | ||||
참가자 | 강민지, 신다슬 | |||||||
아레오파고스 | 인천 계산고등학교 | |||||||
참가자 | 김만우, 김현웅 | |||||||
쿠크다스 | 경기 수지고등학교 | |||||||
참가자 | 이하늘, 고은지 | |||||||
실편깨 | 서울디지텍고등학교 | |||||||
참가자 | 김용현, 임우택 | |||||||
결과 | 놀자 토론으로 팀(인천 신현고등학교)이 에 진출. | |||||||
3회 | 11월 11일 | 걸 그룹의 의상과 퍼포먼스에 대한 규제가 필요하다 | 상생과 소통 | 인천 신명여자고등학교 | ||||
참가자 | 김하늘, 임경민 | |||||||
씨지앤피⁴ | 경기 용인외국어고등학교 | |||||||
참가자 | 김은하, 윤소현 | |||||||
티타임 | 경기 한국디지털 미디어고등학교 | |||||||
참가자 | 염다빈, 천희탁 | |||||||
샛별² | 서울 계성여자고등학교 | |||||||
참가자 | 김보겸, 정하영 | |||||||
결과 | 씨지앤피 팀(경기 용인외국어고등학교)이 에 진출. | |||||||
4회 | 11월 18일 | 학교폭력의 학생부 기록 방침을 폐지해야 한다 | 우돈² | 인천 선인고등학교 | ||||
참가자 | 이우진, 주승돈 | |||||||
Ethos | 인천 남동고등학교 | |||||||
참가자 | 이진규, 김민욱 | |||||||
Poison² | 경기 삼숭고등학교[4] | |||||||
참가자 | 권채용, 최지혜 | |||||||
모의고사³ | 경기 양곡고등학교 | |||||||
참가자 | 김민성¹³, 황주희²³ | |||||||
결과 | 모의고사 팀(경기 양곡고등학교)이 2차 토론에 진출. | |||||||
5회 | 11월 25일 | 한류스타에게 병역을 면제해야 한다 | 두얼간이² | 경기 화성고등학교 | ||||
참가자 | 이승재, 최상현 | |||||||
토론의정석 | 경기 진성고등학교 | |||||||
참가자 | 최형렬, 서정훈 | |||||||
사고뭉치² | 경기 강서고등학교 | |||||||
참가자 | 강효진, 임설아 | |||||||
답실마리 | 경기 양명고등학교 | |||||||
참가자 | 유수환, 박철원 | |||||||
결과 | 사고뭉치 팀(경기 강서고등학교)이 2차 토론에 진출. | |||||||
6회 | 12월 2일 | 전자교과서의 도입이 과연 필요한가 | 마련그림 | 경기 봉일천고등학교 | ||||
참가자 | 신현웅, 김재현 | |||||||
램프의 요정³ | 경기 안법고등학교 | |||||||
참가자 | 임진희, 신혜원 | |||||||
STN[12] | 경기 동두천외국어고등학교 | |||||||
참가자 | 김지수, 이예진 | |||||||
라온² | 경기 양정여자고등학교 | |||||||
참가자 | 강은선, 지명인 | |||||||
결과 | STN 팀(경기 동두천외국어고등학교)이 2차 토론에 진출. | |||||||
7회 | 12월 9일 | 교육적 체벌을 허용해야 한다[13] | 진수성찬¹ | 인천 계산여자고등학교 | ||||
참가자 | 이유리, 김희원 | |||||||
에피스테메¹ | 인천 옥련여자고등학교 | |||||||
참가자 | 노채은¹, 유슬기² | |||||||
갈매나무¹[14] | 경기 성문고등학교 | |||||||
참가자 | 이채은¹, 이나래² | |||||||
외유내강⁴ | 서울 한양대학교사범 대학부속고등학교 | |||||||
참가자 | 진경휘, 이주현 | |||||||
결과 | 에피스테메 팀(인천 옥련여자고등학교)이 2차 토론에 진출. | |||||||
8회 | 12월 16일 | 선거 연령을 만 16세로 낮춰야 한다[15] | 탐스런² | 인천 부평여자고등학교 | ||||
참가자 | 김채원, 장소연 | |||||||
로고스² | 경기 백현고등학교 | |||||||
참가자 | 문혁빈, 이상민 | |||||||
파이² | 서울 대광고등학교 | |||||||
참가자 | 최정일¹, 여정모² | |||||||
W.O.N. | 서울 경신고등학교 | |||||||
참가자 | 이재익, 전승기 | |||||||
결과 | W.O.N. 팀(서울 경신고등학교)이 2차 토론에 진출. | |||||||
9회 | 12월 23일 | 무자식이 상팔자다 | 놀자! 토론으로 | 인천 신현고등학교 | ||||
참가자 | 강민지, 신다슬 | |||||||
ABRAXAS | 경기 신성고등학교 | |||||||
참가자 | 박웅, 최정찬 | |||||||
씨지앤피 | 경기 용인외국어고등학교 | |||||||
참가자 | 김은하, 윤소현 | |||||||
모의고사 | 경기 양곡고등학교 | |||||||
참가자 | 김민성, 황주희 | |||||||
결과 | ABRAXAS 팀(경기 신성고등학교)이 결승에 진출. | |||||||
10회 | 12월 30일 | 착하면 손해본다 | 에피스테메 | 인천 옥련여자고등학교 | ||||
참가자 | 노채은, 유슬기 | |||||||
사고뭉치 | 경기 강서고등학교 | |||||||
참가자 | 강효진, 임설아 | |||||||
STN | 경기 동두천외국어고등학교 | |||||||
참가자 | 김지수, 이예진 | |||||||
W.O.N. | 서울 경신고등학교 | |||||||
참가자 | 이재익, 전승기 | |||||||
결과 | 에피스테메 팀(인천 옥련여자고등학교)이 결승에 진출. |
5.2.2 2013년[ | ]
회차 | 방영일 | 주제 | 참가팀 | 소속 | ||||
---|---|---|---|---|---|---|---|---|
11회 | 1월 6일 |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다 | 에피스테메 | 인천 옥련여자고등학교 | ||||
참가자 | 노채은, 유슬기 | |||||||
ABRAXAS | 경기 신성고등학교 | |||||||
참가자 | 박웅, 최정찬 | |||||||
결과 | 본문 참조 |
6 시상 내역[ | ]
6.1 1기[ | ]
- 우승(대상) : TOY(인천 강화고등학교)[16]
- 준우승(최우수상) : 류케이온(인천 신현고등학교)
- 공동 3위 : 에피스테메(인천 옥련여자고등학교), 투원(경기 과천외국어고등학교)
6.2 2기[ | ]
- 우승(대상) : 에피스테메(인천 옥련여자고등학교)[17]
- 준우승(최우수상) : ABRAXAS(서울 신성고등학교)
- 3위 : 모의고사(경기 양곡고등학교)
- 4위 : WON(서울 경신고등학교)
7 같이 보기[ | ]
8 각주[ | ]
- ↑ 당초 17회로 계획하였으나, 연말특집의 편성으로 인하여 18회로 연장되었다.
- ↑ 단, 결승에서는 두 팀이 한 팀씩 찬반 입장으로 나누어 토론을 진행하였다.
- ↑ 이동: 3.0 3.1 마지막 회에서만 방영하였다.
- ↑ 이동: 4.0 4.1 2013년 3월에 교명을 양주고등학교로 변경하였다.
- ↑ 당초 경기 평촌고등학교(말빨 팀)가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참가 자격을 반납하면서 경기 성문고등학교가 참가 자격을 획득하였다.
- ↑ 그리스어로 진리 혹은 지식을 의미한다.
- ↑ 당초 서울국제고등학교(Manufuture 팀)가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참가 자격을 반납하면서 서울 문현고등학교가 참가 자격을 획득하였다.
- ↑ 당초 한수요로 참가할 예정이었으나, 원서 접수 과정에서의 오류를 바로잡기 위해 한수두수로 변경하였다.
- ↑ 에피스테메 팀은 2위로 4강에 진출하였다.
- ↑ 이는 국회방송에서 《고교서바이벌 토론왕》을 방영하기 시작한 데에서 기인한다. 다만, 《고교서바이벌 토론왕》은 3인 1조로 회당 2팀씩 참가하는 반면 《고교토론 판》은 2인 1조로 회당 4팀씩 참가하여(단, 마지막 회는 2팀이 출연하였다.) 《고교서바이벌 토론왕》에 출연한 팀 구성원 가운데 1명은 《고교토론 판》에 참가하지 않았다.
- ↑ 기원후 2세기의 나스티시즘 교부였던 바실리데스의 철학 체계에서 사용된 낱말을 가리킨다. 자세한 설명은 아브라삭스 문서를 참조한다.
- ↑ Second to None의 약자로 더 이상의 2등은 없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 ↑ 외유내강 팀을 제외한 세 팀이 1기에 참가한 적이 있어 방송 도중 그 전적이 언급되기도 하였다.
- ↑ 팀명을 변경해서 재참가하였다.
- ↑ 제18대 대통령 선거를 3일 앞두고 1기 16회와 동일한 주제로 기획하였다.
- ↑ 이준배 (2012년 2월 3일). “OBS고교토론 '판' 인천 강화고(김태헌· 이관희) 최종 우승”. 경인일보.
- ↑ 고현실 (2013년 1월 7일). “<문화소식> 옥련여고, OBS '고교토론 판2' 우승”. 연합뉴스.
- ↑ 다만, 참가 규모와 참가 팀의 구성, 진행 방식 등 전반적인 면에서 위 프로그램과 큰 차이가 있으며 기획 의도도 서로 다르기 때문에 실질적인 경쟁 관계가 없다.
9 외부 링크[ | ]
편집자 가수티파니영은내아내이자운명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