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도

1 개요[ | ]

개념도
槪念圖
  • 산줄기의 흐름을 굵은 선으로 나타내 등고선
  • 복잡한 산지세를 알기 쉽도록 표현, 산 개념을 간명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만든 지도

. 전문용어로 지성선도(地性線圖) 또는 지세선도(地勢線圖)라고도 한다. 개념도는 등산계획서, 보고서 등을 작성할 때 많이 사용하며, 등산코스를 안내할 때도 이용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종류는 평면도식 개념도이며, 단면도식 개념도는 지형의 단면을 작성하는 방법으로 등고선의 높낮이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평면도식 개념도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우선 해당 지역의 지형도와 트레이싱페이퍼, 연필, 검은색 사인펜, 파란색과 붉은색의 볼펜을 준비한다. 원하는 지역의 지형도 위에 트레이싱페이퍼를 올려놓고 접착테이프로 고정시킨 후 삼각점이나 산 꼭대기를 기점으로 등고선의 낮은 쪽으로 산줄기를 그려나간다. 가장 높은 산봉우리부터 산줄기를 그려나가는 것이 순서다. 능선에 해당하는 부분은 굵은 선으로 그리고 지능선도 같은 방법으로 그린다. 산줄기를 그린 뒤 하천과 능선 사이의 계곡도 그린다. 하천은 파란색으로 표시하고 하류부터 시작하여 상류 쪽으로 그려나간다. 폭포, 소, 봉우리, 고개, 도로, 등산로, 산장, 대피소, 샘터, 캠프장, 사찰 등 특징 있는 지형지물은 지도에서 사용하는 기호를 써서 표시한다. 지도 위에 표시되지 않은 지형지물은 자료를 참고하여 표시한다. 끝으로 개념도 명칭, 기호, 범례, 축적, 방위 등도 기입한다.

평면도식 개념도 평면도식 개념도 단면도식 개념도를 그리려면 해당 산의 지형도와 모눈종이(1mm 간격), 연필, 자 등이 있어야 한다. 필요한 부분의 지형 단면도는 절개선 A, B를 긋고 모눈종이에 가로선을 그은 후 이 선을 기준고도 0미터로 정한 다음 고도의 간격을 결정하여 높이를 기록한다. 수직거리는 수평거리의 2~3배 정도 확대하여 지형도상의 A, B선과 기준고도를 평행으로 놓고 등고선과 A, B선이 만나는 점에서 수직선을 내려 모눈종이 위의 해당 높이의 선에 점을 찍어 등고선의 형태를 고려하면서 완만한 곡선으로 연결한다. 이런 요령으로 하면 A, B 지역의 단면도가 완성된다.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