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유학사상대계

Pinkcrimson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월 4일 (목) 11:43 판 (새 문서: ==개요== ; ; ; * * * == 한국유학사상대계 1 - 총론편 == * 서론: 한국유학의 특수성에 대한 탐색 ∥ 윤사순 ** 제1절 문제와 방법론 ** 제2절 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1 개요

2 한국유학사상대계 1 - 총론편

  • 서론: 한국유학의 특수성에 대한 탐색 ∥ 윤사순
    • 제1절 문제와 방법론
    • 제2절 한국유학사 흐름의 특징
    • 제3절 유학이념의 시행에서 이룬 특징
    • 제4절 유학이론의 탐구로 본 특징
    • 제5절 마무리 말
  • 철학사상: 한국유학의 이론적 정립과 토대 형성 ∥ 김종석
    • 제1절 한국 유학사상사 연구 시각
    • 제2절 유학의 전래와 경세사상
    • 제3절 새 시대의 철학, 성리학
    • 제4절 한국 성리학의 성장과 저항
    • 제5절 근대를 향한 유학계의 대응
    • 제6절 유학사상 연구의 과제와 전망
  • 문학사상: 유교적 현실참여 방식으로서의 문학 ∥ 심경호
    • 제1절 한국유학에서의 문학사상 논의 방식
    • 제2절 한국유교문학사상의 주제적 양상
    • 제3절 한국유교문학사상의 시대적 양상
    • 제4절 한국유학의 문학사상에 관한 논의의 개괄과 향후 과제
  • 교육사상: 새로운 문명을 위한 유학교육사상의 정립 ∥ 정재걸
    • 제1절 한국 유학교육 사상의 특징과 성격
    • 제2절 도입기의 한국 유학교육사상
    • 제3절 한국 유학교육사상의 만개
    • 제4절 조선시대 유학교육의 실제
    • 제5절 한국 유학교육사상의 변용과 과제
  • 정치사상: 수기치인의 정치학 ∥ 신병주
    • 제1절 삼국 및 남북국시대의 정치사상
    • 제2절 고려시대의 정치사상
    • 제3절 조선시대 관학파와 사림파의 정치사상
    • 제4절 붕당정치와 정치사상
    • 제5절 조선 후기 군주의 정치사상
    • 제6절 실학파의 정치사상
    • 제7절 한말 유가의 정치사상
    • 제8절 맺음말: 유가정치사상의 현대적 의의
  • 경제사상: 안민과 부국의 균형 ∥ 이욱
    • 제1절 안민과 부국 사이의 딜레마
    • 제2절 안민부국론의 정립과 내실화
    • 제3절 안민부국론 변화와 경제 정책
    • 제4절 일상생활에서의 유학 경제사상
    • 제5절 유학 경제 사상의 조락凋落 그리고 재발견
  • 법사상: 유가와 법가의 교배종 ∥ 권연웅
    • 제1절 유가 법사상의 생성
    • 제2절 이식 및 성장
    • 제3절 유가 법사상의 개화
    • 제4절 유가 법사상의 결실
    • 제5절 유가 법사상의 조락

사회사상: 유가적 사회화의 이상과 현실 ∥ 정만조

    • 제1절 유학사회사상의 개념과 범주
    • 제2절 삼국~고려시기 사회이념과 제도의 유교화
    • 제3절 조선시대 유학사회사상의 전개
    • 제4절 한국 유학사회사상의 특징와 현대적 의의
  • 종교사상: 궁극적 관심으로서의 종교 ∥ 김순석
    • 제1절 유교의 종교성
    • 제2절 고려시대 유교의 정착과 활용
    • 제3절 조선시대 치국 이념으로서 유교의 역할
    • 제4절 향촌 공동체와 민간신앙에서 유교의 성격
    • 제5절 서학과 신종교의 갈등과 변혁 지향
    • 제6절 근대 유학의 성격 변화
  • 예술사상: 도덕주의적 심미의식의 발현 ∥ 박원재
    • 제1절 한국유학 예술사상의 흐름
    • 제2절 한국유학의 서예예술사상
    • 제3절 한국유학의 회화예술사상
    • 제4절 한국유학의 음악예술사상
    • 제5절 한국유학의 건축예술사상
    • 제6절 한국유학 심미의식의 특징
  • 과학기술사상: 천인합일의 이상과 시대적 변주 ∥ 구만옥
    • 제1절 한국유학사에서 과학사상의 전환기
    • 제2절 삼국ㆍ고려시기의 유학과 자연관
    • 제3절 조선 전기 성리학의 정착과 자연철학의 발전
    • 제4절 조선 후기 서학의 수용과 과학의 변화
    • 제5절 기삼백ㆍ선기옥형론과 천문의기
    • 제6절 수학과 유학
    • 제7절 조선시대의 지리적 세계 인식과 지구ㆍ지전설
    • 제8절 조선시대 의학과 기술인식

3 한국유학사상대계 2 - 철학사상 -상

목차

  • 서장 : 한국 유가철학의 과제와 전개 - 금장태
  • 제1장 :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유학사상 - 천인석
  • 제2장 : 고려시대의 유학사상 - 최영성
  • 제3장 : 여말선초 유학계의 동향과 성리학의 전개 - 도현철
  • 제4장 : 15세기 정치 상황과 성리학의 흐름 - 김홍경
  • 제5장 : 16세기 전반, 이론 성리학의 본격적 시작 - 장원목
  • 제6장 : 퇴계 이황의 사상과 퇴계학의 전개 - 김종석
  • 제7장 : 남명 조식의 사상과 남명학파의 좌절 - 오이환
  • 제8장 : 율곡 이이의 사상과 율곡학의 전개 - 김경호
  • 제9장 : 호남사림의 학맥과 사상 - 고영진
  • 제10장 : 조선 전기의 주요 논변과 쟁점 - 김낙진

4 한국유학사상대계 3 - 철학사상 -상

  • 제11장 : 17~8세기 기호학파의 철학사상 - 황의동
  • 제12장 : 성호학파의 성리학과 탈성리학의 갈등 - 안영상
  • 제13장 : 한국양명학의 성립과 전개 - 김교빈
  • 제14장 : 한국예학의 변천과 예서 편찬 - 지두환
  • 제15장 : 조선 후기의 주요 논쟁과 쟁점 - 문석윤
  • 제16장 : 정약용의 경전 해석과 철학사상 - 유권종
  • 제17장 : 북학론의 사상적 특징 - 김문식
  • 제18장 : 한말 개화론의 대두와 기호유학계의 대응 - 이상익
  • 제19장 : 근대 시기 영남유학의 운동과 사상 - 홍원식
  • 제20장 : 한말 호남유학계의 성리사상과 현실대응 - 황준연

총결 : 한국 유가철학의 특성 - 금장태

5 한국유학사상대계 4 - 문학사상편

목차 간행사 - 5 일러두기 - 14 제1부 한국유교문학사상의 주제적 양상

  • 제1장 한국문학에서의 유가문학의 이념적 양상 - 이동환 / 17
  • 제2장 유교와 한국문학의 장르 - 박희병 / 57
  • 제3장 한국유학자의 문학사조와 문학 활동 - 심경호 / 121
  • 제4장 유교문학사상과 현실비판의식의 문학적 형상 - 진재교 / 215
  • 제5장 유교사상과 민중문학 - 조현설 / 269
  • 제6장 유교문학사상과 자연 - 안대회 / 311
  • 제7장 유교문학사상과 여성 - 이지양 / 351

제2부 한국유교문학사상의 시대적 양상 / 403

  • 제1장 삼국.남북국시대의 유교문학사상 - 김성룡 / 405
  • 제2장 고려 전기 유교문학사상 - 이혜순 / 439
  • 제3장 고려 후기 사대부문학의 형성과 현실주의 - 김시업 / 473
  • 제4장 조선 전기 문예정책과 관각문인의 문학사상 - 이종묵 / 547
  • 제5장 조선 전기 사림.도학파의 문학사상 - 송재소 / 597
  • 제6장 조선 후기 실학파의 문학사상 - 임형택 / 643
  • 제7장 조선 후기 양명학과 문학사상 - 정우봉 / 711
  • 제8장 조선 후기 중인층의 유교문학사상 - 윤재민 / 755
  • 제9장 근대문학과 유교, 길항하는 흔적들:[서유견문]이라는 원천 - 최원식 / 795

찾아보기 - 823 필진소개 - 843

접기

6 한국유학사상대계 5 - 교육사상편

목차 간행사 - 5 일러두기 - 14

  • 서장: 한국 유학교육의 특징과 성격 / 정순우 - 15
    • 제1절 서언 : 유학과 한국교육의 만남 - 15
    • 제2절 한국 고.중세 사회에서의 유학의 수용과 교육 - 16
    • 제3절 조선시대 유학교육의 전개 과정과 특성 - 27
    • 제4절 실학시대의 교육, 그리고 ‘근대성’ 문제 - 44
    • 제5절 제언 : 마무리를 대신하여 58
  • 제1장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유학교육사상 / 안경식 - 65
    • 제1절 삼국 이전의 유학교육 - 65
    • 제2절 고구려의 유학교육사상 - 68
    • 제3절 백제의 유학교육사상 - 89
    • 제4절 신라의 유학교육사상 - 103
    • 제5절 고대 유학교육사상의 특징과 의의 - 117
  • 제2장 고려시대 유학교육사상 / 고대혁 - 123
    • 제1절 서론 - 123
    • 제2절 건국 초기 사회의 성격과 유학 - 129
    • 제3절 유학의 정치이념과 교육정책 - 134
    • 제4절 학교교육과 과거제도에 나타난 유학교육사상 - 150
    • 제5절 고려시대 교육의 유학사상적 의미 - 165
  • 제3장 여말 학교교육개혁과 성리학의 수용?발전 / 최광만 - 171
    • 제1절 서론 - 171
    • 제2절 충렬왕 시기 학교교육 상황과 흥학 정책의 기조 - 173
    • 제3절 학교교육의 변화 - 178
    • 제4절 여말 학교교육에서의 성리학 - 198
    • 제5절 결론 - 208
  • 제4장 조선 초기 관학파의 교육사상 및 정책 / 정낙찬 - 215
    • 제1절 문제의 제기 - 215
    • 제2절 우주본체론 - 218
    • 제3절 인간관 - 233
    • 제4절 교육사상 - 246
    • 제5절 교육정책 - 266
  • 제5장 조선 전기 사림파의 교육사상과 실천 / 박종배 - 279
    • 제1절 머리말 - 279
    • 제2절 형성기 사람의 교육사상과 실천 - 287
    • 제3절 성숙기 사림의 교육사상과 실천 - 308
    • 제4절 조선 전기 사림파 교육사상의 특징 - 344
  • 제6장 조선 중기 사림파의 교육사상과 실천 / 황금중 - 353
    • 제1절 교육세력으로서의 사림파의 범주와 성격 - 353
    • 제2절 사림파의 교육철학 : 마음과 배움과 일상 중심의 교육 - 359
    • 제3절 사림파의 학교교육론 - 402
    • 제4절 사림파의 향약교육론 - 423
    • 제5절 사림파 교육사상의 특성과 교육사적 의의 - 445
  • 제7장 조선시대 서원과 서당의 교육이념과 실제 / 정재걸 - 453
    • 제1절 머리말 - 453
    • 제2절 서원과 서당의 설립 배경 - 459
    • 제3절 서원과 서당의 교육이념 - 471
    • 제4절 서원과 서당의 교육실제 - 492
    • 제5절 조선시대 서원과 서당교육이 주는 시사점 - 519
  • 제8장 조선시대 여성교육론 / 이숙인 - 535
    • 제1절 머리말 - 535
    • 제2절 여성교육의 교재와 방법 - 538
    • 제3절 여성 정체성의 교육 : 덕성?실용?섹슈얼리티 - 565
    • 제4절 여성교육의 의미 : 관계 속의 분리 - 596
    • 제5절 맺음말 - 605
  • 제9장 조선시대의 아동교육론 / 장정호 - 611
    • 제1절 머리말 - 611
    • 제2절 유학의 동몽관과 『소학』의 아동교육론 - 616
    • 제3절 『천자문』과 『소학』의 특징 및 동몽교육과 정상의 지위 - 632
    • 제4절 조선시대 독자적 동몽교재와 그에 내포된 아동교육관 - 639
    • 제5절 맺음말 - 685
  • 제10장 조선 후기 실학과 교육개혁론 의 전개 / 우용제 - 695
    • 제1절 머리말 - 695
    • 제2절 정통론과 비판적 학풍으로서의 실학 - 699
    • 제3절 실학의 교육개혁론 - 715
    • 제4절 국가교육체제의 재구성 - 768
    • 제5절 한계와 과제 - 780
  • 제11장 한말 및 일제하 유가교육사상과 동향 / 정숭교 - 787
    • 제1절 개항 전후 교육사상의 두 흐름 - 787
    • 제2절 갑오~광무 시기 교육개편과 국민교육론 - 803
    • 제3절 한말 계몽운동기 정치주의 교육론과 국수교육론 - 817
    • 제4절 일제하 유교개혁운동과 유가교육사상 - 831

찾아보기 - 849 필진 소개 - 861

7 한국유학사상대계 6 - 정치사상편

목차 간행사 - 5 일러두기 - 14

  • 서장 : 유학의 수용과 정치사상으로의 전개 - 이병휴 / 15
    • 제1절 정치사상과 정치이념 / 15
    • 제2절 정치사상의 시기 구분 / 21
    • 제3절 선진유가사상의 수용과 정치사상으로서의 전개 / 24
    • 제4절 성리학의 수용과 정치사상으로서의 기능 / 30
    • 제5절 조선 후기의 사회변동과 성리학의 정치사상으로의 변용 / 52
  • 제1장 삼국 및 남.북국시대 유가정치사상 - 노중국 / 57
  • 제2장 고려시대 유가의 정치사상 - 남인국 / 125
  • 제3장 조선 전기 관학파의 정치사상 - 차장섭 / 187
  • 제4장 조선 전기 사림파의 정치사상 - 최이돈 / 241
  • 제5장 조선 중기 사림파의 정치사상 - 설석규 / 283
  • 제6장 조선 중기 북인의 정치사상 - 신병주 / 353
  • 제7장 조선 후기 남인의 정치사상 - 우인수 / 415
  • 제8장 조선 후기 노론의 정치사상과 경세론 - 조준호 / 457
  • 제9장 붕당정치와 군주의 정치사상 - 정호훈 / 509
  • 제10장 탕평기 군주의 정치사상 - 김성윤 / 585
  • 제11장 실학파의 정치사상 - 조성을 / 639
  • 제12장 한말 유가의 정치사상 - 권오영 / 699
  • 제13장 유가정치사상의 현대적 의미 - 박병련 / 747

필진소개 / 765

8 한국유학사상대계 7 - 경제사상편

목차 간행사 - 5 일러두기 - 14

  • 총론 : 한국경제사와 유학사상 - 이헌창 - 15
    • 1. 경제사상편의 기획의도 - 15

2.본서의 구성과 내용 - 20 3.역구 논점의 정리 - 30

    • 1) 시대구분 - 30
    • 2) 유학경제사상의 기본 구조 - 31
    • 3) 유학경제사상의 특성과 분화 - 33
    • 4) 한국 유학경제사상의 발전 - 36
    • 5) 유학경제사상과 정책.윤리.관행 - 38
    • 6) 경제환경과 경제사상 - 41
    • 7)유학경제사상과 이문화의 접촉 - 42
  • 제1장 삼국 및 통일신라의 경제정책과 경제사상 - 전덕재 - 45
  • 제2장 고려시대의 경제사상 - 김난옥 - 93
  • 제3장 조선 건국주체의 경제사상 - 박홍규 - 141
  • 제4장 조선 중기 사림파 성리학자의 경제사상 - 김태영 - 197
  • 제5장 조선 중기 양반의 경제관과 경제생활 - 이욱 - 255
  • 제6장 조선시대 공물제도와 경제정책이념 - 이헌창 - 315
  • 제7장 조선후기의 유교적 경제규범과 수세관행

지방사회에서의 부패와 중재 그리고 유교이념 - 이훈상 - 379

  • 제8장 정조의 경제론 - 한상권 - 437
  • 제9장 조선 후기 시전정책의 경제사상적 배경 - 정승모 - 491
  • 제10장 조선 후기 실학의 농업사상 - 염정섭 - 545
  • 제11장 조선 후기 실학의 상공업사상 - 백승철 - 619
  • 제12장 유교경제사상과 아시아적 가치 - 국민호 - 683

찾아보기 - 743 필진소개 - 750

9 한국유학사상대계 8 - 법사상편

목차 간행사 / 5 일러두기 / 14

  • 제1장 유가 법사상의 역사적 맥락 - 권연웅 / 15
  • 제2장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유가 법사상 - 유성국 / 65
  • 제3장 고려시대 유가 법사상의 수용 - 김형수 / 121
  • 제4장 조선 전기의 유가 법사상 - 정재훈 / 185
  • 제5장 유가 법사상과 『경국대전』의 편찬 - 정긍식 / 239
  • 제6장 조선 전기 유가 법사상의 전개 -조지만 / 305
  • 제7장 조선 후기 유가 법사상 - 조윤선 / 361
  • 제8장 조선 후기 법전 편찬과 국왕의 법사상 - 심재우 / 423
  • 제9장 17세기 복제예송의 전개와 유가 법사상 - 이원택 / 471
  • 제10장 남인 실학의 법사상 -심희기 / 525
  • 제11장 서인 실학의 전개와 법제도개혁사상 - 원재린 / 577
  • 제12장 서양법의 등장과 구한말 유가 법사상의 변용 - 원재연 / 631
  • 제13장 현대 한국사회와 유가 법사상 - 최종고 / 695

찾아보기 / 753 필진 소개 / 765

10 한국유학사상대계 9 - 사회사상

목차 간행사_15 일러두기_14

  • 서 장 한국 유학사회사상의 역사적 전개/정만조_15
  • 제1장 한국 고대 유가의 사회사상/김수태_51
  • 제2장 고려시대 유학의 사회사상/박진훈_109
  • 제3장 조선시대 유가의 가.민.국 인식/한기범_151
  • 제4장 조선시대 성리학의 가족관과 종법사상/김미영_213
  • 제5장 조선전기 성리학의 사회사상/장숙필_269
  • 제6장 조선시대 성리학적 향촌자치제의 전개와 추이/정진영_325
  • 제7장 존선후기 근기남인 실학파의 예론/최진덕_387
  • 제8장 실학파의 사회사상/이근호_457
  • 제9장 조선후기 유학의 대동사회론과 변혁사상/고성훈_515
  • 제10장 조선 양명학파의 사회사상/최재목_573
  • 제11장 근대이행기 유학자들의 사회사상/김기승_633
  • 제12장 현대 한국사회와 유가사회사상/유초하_689

찾아보기_755 필진소재_765

11 한국유학사상대계 10 - 종교사상

목차 간행사

  • 서장: 유교의 종교적 세계∥최영진
  • 제1장 고대와 고려시대의 국가제사∥서영대
  • 제2장 여말선초 삼교의 교섭과 대립∥오지섭
  • 제3장 조선시대 유교이념과 국가제례의 변모∥이욱
  • 제4장 조선성리학의 절의정신과 종교적 성격∥이상성
  • 제5장 조선성리학 심성수양론의 종교성∥김형찬
  • 제6장 유교적 귀신사생론과 의례의 실천∥박종천
  • 제7장 예서의 보급과 종법제의 착근∥장동우
  • 제8장 유교적 향촌공동체 성립과 종교의례∥권삼문
  • 제9장 유교와 민간신앙∥최종성
  • 제10장 유교와 서학의 만남∥백민정
  • 제11장 유교와 한국 신종교∥김용휘
  • 제12장 근대 유학의 종교화운동∥김순석
  • 제13장 현대사회의 종교적 상황과 한국유교∥박종천

찾아보기 필진 소개

12 한국유학사상대계 11 - 예술사상

목차 간행사 - 5

  • 총론 : 한국유학사상과 미의식 | 박원재 - 15

제1부 유가사상과 한국서예 - 47

  • 제1장 한국유학과 서예사상 | 이동국 - 49
  • 제2장 조선전기 유가서예사상 | 이동국 - 79
  • 제3장 조선중기 유가서예사상 | 김응학 - 121
  • 제4장 조선후기 유하서예사상 | 장지훈 - 173

제2부 유가사상과 한국회화 - 229

  • 제1장 한국유학과 회화사상 | 조민환 - 231
  • 제2장 조선전기 유가회화사상 | 임태승 - 261
  • 제3장 조선중기 유가회화사상 | 조규희 - 305
  • 제4장 조선후기 휴가회화사상 | 조민환 - 353

제3부 유가사상과 한국음악 - 401

  • 제1장 한국유학과 음악사상 | 송지원 - 403
  • 제2장 고려시대까지의 유가음악사상 | 한흥섭 - 433
  • 제3장 조선전기 유가음악사상 | 김종수 - 485
  • 제4장 조선후기 유가음악사상 | 송지원 - 541

제4부 유가사상과 한국건축 - 601

  • 제1장 한국유학과 건축사상 | 김동욱 - 603
  • 제2장 생활공간과 유가건축사상 | 이호열 - 641
  • 제3장 행정. 의례공간과 유가건축사상 | 한동수 - 703
  • 제4장 교육. 수양공간과 유가건축사상 | 이상해 - 747

결론 : 유가예술사상의 현대적 의미 | 송하경 807 필진 소개 - 821

13 한국유학사상대계 12 - 과학기술사상

목차 간행사 - 5

  • 총론 : 한국유학의 자연관과 과학기술사상 | 문중양 - 15

제1부 유가과학기술의 시대적 양상 - 59

  • 제1장 삼국과 고려의 유학, 자연관, 그리고 과학 | 박성래 - 61
  • 제2장 조선전기 성리학적 자연관과 과학기술사상 | 박경환 - 121
  • 제3장 조선중기 성리학적 자연철학의 발전 | 박권수 - 157
  • 제4장 조선후기 지성계의 변화와 '서학'수용 | 김호 - 205
  • 제5장 19세기 개항기 이전 과학의 성격과 동도서기론 | 안대옥 - 265

제2부 유가과학기술의 주제적 양상 - 325

  • 제1장 기삼백과 선기옥형론 | 구만옥 - 327
  • 제2장 유교왕국 조선의 천문의기 | 한영호 - 393
  • 제3장 수학과 유학 | 가와하라 히데키 - 455
  • 제4장 조선후기 지구.지전 논의와 유학전통 | 임종태 - 515
  • 제5장 조선시대 유학자의 지리적 세계인식 | 오상학 - 569
  • 제6장 의학과 심신수련 | 성호준 - 623
  • 제7장 조선조 기철학의 전통 | 노태천 - 685
  • 결론 : 전통과학의 종결과 근대계몽기 '전통'과학의 탄생 | 문중양 - 707

필진소개 - 733


[[분류: ]] [[분류: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