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계 미국인

고순고순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10월 19일 (월) 13:59 판 (새 문서: {{민족 정보 | 너비 = | 민족 = 한국계 미국인<br/>Korean American | 그림 = | 그림설명 = | 총인구= 1,887,914명<ref name="usasurveys2017">{{웹 인용|url=http...)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틀:민족 정보

한국계 미국인(韓國系美國人, 영어: Korean American)은 한국계 혈통을 가진 미국인을 가리키는 말이다. 거의 대부분이 20세기 이후 대한민국에서 이주한 인구이다. 미국 전역에 약 200만 명 정도가 거주하는 것으로 추산되며, 이는 미국 전체 인구의 약 0.6%에 해당한다.[1] 특히 하와이 주, 캘리포니아 주, 뉴저지 주 등에서 그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한국계 미국인은 보편적으로 대한민국 출신의 미국시민권자를 칭하는 표현이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북한) 혹은 중화인민공화국 출신 조선족 계통은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한국계 미국인 통계에 포함되지 않는다.

대한민국 국적을 소지하면서 미국에 체류하는 한국인은 한국계 미국인이 아니며, 재미교포 혹은 재미동포라고 칭한다.

1 인구 통계

2010년 미국 인구조사에서는 한국계 인구가 약 170만 명으로 집계되었다. 한편 대한민국(한국) 외교부는 재미 한국인 수를 2017년 기준 대략 250만 명 정도로 추산하고 있다.[2] 2005년의 조사에 따르면 약 150만 명의 한국계 미국인 중 432,907명은 미국 태생, 973,780명은 한국 등 해외 태생으로 나타났으며, 시민권을 가진 인구는 530,100명, 시민권이 없는 거주인구는 443,680명으로 조사되었다.

한국계 미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주로는 캘리포니아, 뉴욕, 뉴저지, 버지니아 등이 있으며, 특히 캘리포니아에는 약 452,000명의 한국계 인구가 거주하여 그 수가 독보적이다. 한편 한국계 미국인의 비율이 가장 높은 주는 하와이로 약 23,000명이 거주하지만 주 전체 인구의 1.8%를 차지하며, 이외에 캘리포니아 (1.2%), 뉴저지 (1.1%) 등에서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 한편 카운티 별로 보는 경우 한국인 밀집지역이 위치한 뉴저지 버건 군(Bergen)에서 6.3%로 가장 높게 나타난다.

2 이민 역사

20 세기

2.1 제1기

조선미국과의 외교 관계는 1882년조미수호통상조약에 의해 시작되어, 1903년 1월 13일조선에서 미국으로의 최초 이민자들이 미국하와이에 도착했다.[3] 제1기의 하와이 이민은 한국내의 미국계 개신교 교회에 의해서 조직되었기 때문에 개신교 신자가 많았고, 일본인처럼 사탕수수 농원에서 일했다. 이는 당시 선교사들이 미국 농장주의 요청으로 교인에게 하와이 이민을 권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1905년일본 제국대한제국의 외교권을 장악하면서 미국 이민은 규제되어 집단 이민은 정지되었다. 이 시기에 약 7천 명이 하와이로 이주했고 거의 대부분은 남성 노동자였다. 다만, 1924년까지 신랑의 사진만 보고 결혼하는, 일명 사진 결혼으로 약 1,000명의 여성이 개별적으로 미국에 도항했는데, 처음 이 결혼을 한 여성은 조사라다(1910년).

1904년부터 1907년에 걸쳐 약 1,000명의 한국인건설 경기가 붐을 이루던 샌프란시스코로 건너가 이민의 물결은 미국 본토에까지 퍼졌다. 1909년에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최초의 한국인 정치 조직인 '한인 협회'가 설립되어 일본의 조선 식민지 지배에 대한 저항의 거점이 되었다. 당시 하와이 조선인 이민은 한인협회 활동 외에도 농장에서 번 돈을 독립자금으로 기부하여 독립운동에 협조했으며, 박용만헤이스팅스 소년병 학교를 설립하기도 했다. 유한양행 설립자인 유일한도 미국 유학 당시 소년병 학교에서 공부한 적이 있다.

2.2 제2기

한국 전쟁의 종결로 제2기 미국이민이 시작되었다. 1953년부터 1965년에 걸친 제2기 이민은 대부분이 미군과 결혼한 한국인 여성이나 양자로 기른 전쟁 고아가 차지했다. 이 시기에는 양자를 포함해서 바다를 건넌 사람만 약 15만 명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단지, 군인이 아내로 삼아도 양자로 삼아도 처음부터 미국인 부모의 피부양자로서 입국하므로, 이민으로서 다루어지지 않고, 정확한 통계는 잡을 수 없다. 국제결혼 여성들이나 입양인들은 미국 전역에 흩어져 미국인 주류공동체에서 동화되어 생활하기 때문에 따로 한인 공동체를 이루지 않았다. 또한 소수의 사람들은 미국유학을 왔다가 정착하는 경우도 있었다.

2.3 제3기

1965년 미국의 이민법이 바뀌어서 아시아계에 대한 이민 제한이 폐지됨에 따라 한국인의 이민이 공식적으로 허용되었다.[4] 따라서 한국인의 본격적인 미국 이민은 1960년대 말 부터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민자와 한국계 미국인의 숫자는 이후 급속도로 늘어 나기 시작했다. 1965년 이민법 개정전의 한국계 미국인 수는 대략 2만 5천여 명으로 추정되지만, 그숫자가 1970년에는 5만여명, 1980년에는 35만 7천 명, 1990년에는 70만 명까지 급속도로 늘어나게 되었다. 특히 1980년대에만 약 35만 명이 한국에서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5] 1980년 제 5 공화국이 해외유학의 자유화를 허용함에 따라 유학생이 대거 미국으로 몰려들었다. 재미 한인 유학생 (대학생이상)들의 숫자는 한때 10만명을 능가하기도 했고 그 중의 일부는 학위를 취득한 후에 취업하여 미국에 정착하는 경로를 밟기도 하였다. 20세기 말에는 매년 대략 2만여명의 한국인들이 미국으로 이민을 갔다. 이때의 이민은 주로 가족 초청에 의한 이민이었다. 이민 1세 뿐만 아니라 매년 2천명여명의 한국계 2세들이 현지에서 출생함에 따라 한국계 미국인의 숫자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되었다. 20세기 말부터 임시체류자들 중의 일부가 미국의 속지주의 법을 이용하여 자녀들을 미국인(시민권자)으로 만들고자 소위 말하는 '원정출산' 을 시도 하였다. 이러한 원정출산으로 미국에서 태어난 자녀가 한해 5천여명에 달한다고 추정하는 단체들도 있다.

2.4 21세기

통계 숫자

미국의 퓨 리서치 센터 (Pew Research Center)는 2017년 현재 미국에 거주하는 사람들 중에 약 120 만명 정도가 한국에서 태어나 이주한 것으로 보고 있다.[6] 또 대한민국 외교부는 재미 한국인 수를 2019년 현재 약 254만 7,000 명으로 추산 하며[7] 한반도 이외의 지역에서 가장많은 한민족이 살고 있는 곳이 미국임을 밝힌다. 한국외교부의 수치는 대한민국 영사관을 통한 채널, 그리고 각종 한인 친목단체 등의 채널을 통해서 나온 예상 수치이기 때문에 정확성에 근접했다고 보기 어렵다. 예를 들면 1950년대부터 현재까지 주한미군의 부인으로 이민 간 수만명의 여성들과 해방이후로 부터 지금까지 계속되는 미국 가정으로의 입양아들은 대한민국 영사관 통계로 확인할 길이 없다.[8] 아울러 1970년대 이후 이민 1세로 부터 태어난 한국계 (Korean-American) 2세 혹은 3세들은 대다수 더이상 이러한 기관들과 관련이 없고 따라서 그들의 숫자는 그런 방식으로는 파악되기가 어렵다. 따라서 대한민국 외교부의 미국 이민 통계는 일반적으로 이민 1세의 이주 통계에 대하여 기술하는 것 뿐이다.[9] 또한 미국 상무성에서 매 10년마다 행하는 전국민 인구조사도 종족 (race) 을 묻는 질문 항목은 있어도 강제성은 없기에 한국계 2세 3세 후손들이 얼마나 미국에서 태어나고 살고있는 지는 정확하게 숫자를 파악할 길이 없다.

한국으로부터의 이민 추세

21세기에 들어와 한국인의 미국 이민 (이민 1세) 추세는 20세기 말보다는 다소 주춤한 경향이 있으나 그 행렬은 지금도 계속 유지되고 있다. 미국 연방 이민 서비스국(USICS) 발표에 의하면 매년 대략 2만여명의 한국인이 미국 영주권(Permanent Resident)을 취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에 약 4분의 3은 미국을 방문하는 중에 미국 현지에서 영주권을 취득(신분변경)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10] 최근의 이민 추세는 약 60% 이상이 취업이민이며 연령층으로는 40대 이하의 청장년층과 그 가족들이 거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다.[11] 또한 이들 1세 이민자들이 미국에 영구 귀화 (미국 시민권 취득) 하는 숫자도 매년 약 1만 5천에서 2만여명에 달하고 있다.[12]

3 정착

한국계 미국인들의 숫자가 늘어나면서 미국 각지의 도시에는 한국계 미국인 밀집지역 혹은 코리아 타운이 형성되었다. 미국에서 제일 큰 코리아 타운이자 세계에서 제일 큰 코리아 타운은 서부 캘리포니아 주의 로스앤젤레스 시에 있다. 캘리포니아 주는 로스앤젤레스 시 이외에도 샌프란시스코 시, 오렌지 카운티 등의 여러 중소도시에 다수의 한국계 미국인들이 정착하여 살고 있다.

동부의 뉴욕 주에도 뉴욕 시 맨해튼과 퀸즈 등에 대규모 한국인 공동체가 있고, 그외에도 매사추세츠 주의 보스턴 시, 펜실베이니아 주 필라델피아 시, 뉴저지 주 버겐 카운티, 버지니아 주 애난데일과 센터빌, 조지아 주 애틀랜타시 근교, 일리노이 주 시카고 시 근교, 텍사스 주 댈러스 시, 콜로라도 주 덴버 시 등에도 상당한 규모의 코리아타운이 있다.

미국 이민 1세대는 대체로 여러 가지 생활방식에 있어서 한국에서 살아오던 삶의 형태를 미국에서도 유사하게 유지하며 살아간다. 음식 습관은 물론이고, 우선 언어상으로도 한인 이민자들은 대체로 영어보다는 한국어가 편하기 때문에 직장 이외에 가정에서는 한국어를 사용하길 원한다. 직업의 경우도 거의 대부분의 한국계 이민자들은 소규모 자영업을 운영하면서 살아가는 경향이 있다. 다만 혈통만이 한국계인 그 후손들은 1세대와는 달리 매우 빠른 속도로 미국 사회에 동화되고 있다. 한 예로, 2012년 퓨 리서치(Pew Research) 통계에 의하면 2, 3세대 한국계 미국인 중 약 3분의 1은 한국계 미국인이 아닌 다른 인종들과 결혼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13]

4 하와이 지역

1893년 1월 8일 하와이에 최초로 도착한 한국인은 한약상을 비롯한 수 명의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정식 이민자들이 아니었고, 최초의 이민자는 1901년 1월 9일에 도착한 피터 류였다고 전해진다. 1903년부터 집단적으로 사탕수수농장에 노동자로 이민자들이 이주하였다. 이들은 122명이었는데, 조선에서 합법적으로 이민자를 내 보낸 첫번째였다. 그러나, 미국법의 관점에서는 완전히 합법적이지는 못했다. 이들중 87명은 제물포 출신이었고, 남자가 56명, 여자가 21명, 아이들이 25명이었다. 이중 다수는 제물포 내리교회출신이었다. 이들은 오하우 섬의 와이아루아 사탕수수농장으로 보내어졌다. 이후 1905년까지 7,291명의 이민자가 하와이에 도착했다. 1915년까지 총 8,047명의 한국인들이 하와이에 도착했다.

1940년 인구조사에 따르면 한국계는 6,854명으로 하와이 전체의 1.6%였고, 1941년 진주만 폭격으로 시작된 태평양전쟁에 800명의 한국인들이 미군으로 참전을 했는데, 이중 200명은 장교였다. 한국이 해방된 후 한국인 청년들이 한국의 미군정에서 일할 수 있었는데, 한국의 신부들을 데리고 하와이로 돌아왔다. 1940년대부터 한국인들이 전문직과 공공직으로 진출하기 시작하였다.

1945년부터 1965년까지는 소수의 이민자가 들어왔는데, 미군과 결혼한 여성이거나 전쟁고아가 대부분이었다. 1965년 미국의 이민법이 개정됨에 따라 많은 이민자가 미국에 도착하였다. 1970년 69,150명이었던 재미한국인들이 1980년에 357,398명, 1990년 798,849명, 2001년 1,076,872명으로 폭발적으로 증가했는데, 하와이에도 신이민자들이 급속도로 늘어났는데, 이들은 이미 하와이 사회에 동화된 한국계 2세와 3세와는 언어적으로 문화적으로 매우 달랐다.

2003년 하와이 인구의 민족별 인구분포를 보면, 하와이언 및 그 혼혈이 22.1%, 백인 20.5%, 일본 18.3%, 필리핀 12.3%, 중국 4.1%, 한국 1.9% 비율을 보이고 있다. 또 전체 한인인구는 34,743명이고, 시민권자는 그 79%인 27,433명, 영주권자는 6,195명, 체류자는 1,105명이다.[14]

5 저명한 사람

저명한 한국계 미국인으로서는 세계은행 총재인 김용, 1948년 다이빙 금메달리스트 새미 리 박사, 물리학자 이휘소, 아시아인 최초로 연방 공소법원 판사로 근무한 허버트 최1992년에 한국계 미국인으로서 처음으로 미국 의회에 당선된 김창준, 1995년헤밍웨이상을 수상한 작가 제이 리, 2002년뉴베리상을 수상한 아동문학가 린다 수 박 등이 있다.

린킨 파크의 멤버인 조지프 한, 슈퍼배드트랜스포머3에 출연한 배우 켄 정, 골프 천재 소녀로도 알려진 미셸 위, 2006년 NFL 슈퍼볼 최우수선수상을 받은 전미식축구선수 하인스 워드 그리고 바이올리니스트 장영주도 유명하다.

6 관련 항목

7 각주

  1.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usacensus1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제공한 텍스트가 없습니다
  2. http://www.mofa.go.kr/www/brd/m_3454/list.do
  3. 이 날을 기념하여 미 합중국 의회는 1월 13일을 한국계 미국인의 날(Korean-American Day)로 선포하는 결의안을 채택하기도 했다. http://keia.org/page/history-korean-american-day
  4. 개정된 이민법의 가장 큰 변화는 그동안 일부 제한했던 아시아인들의 이민을 허용하고 이민에 있어서 인종, 성, 국적에 의한 차별을 금한것이다. Immigration Act of 1965.
  5. 이러한 통계숫자는 1965년 이민법 개정 이전에 국제결혼이나 입양에 의해서 미국으로 건너간 이민자의 숫자를 반영한 것이 아니다. 결혼이나 입양을 통한 이민은 쿼터제 (quota system) 숫자에 적용되지 않고, 또한 곧바로 미국 시민권자가 되는 절차를 밟게 된다.
  6. http://www.pewglobal.org/2018/02/28/global-migrant-stocks/?country=KR&date=2017
  7. http://www.korea.kr/news/pressReleaseView.do?newsId=156352001.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8. 위의 Note 2.
  9.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page=2&branch=NEWS&source=&category=emigration&art_id=3224206
  10.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page=3&branch=&source=&category=emigration&art_id=6428224
  11.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usa_mal&logNo=220772151396&categoryNo=0&parentCategoryNo=0&viewDate=&currentPage=1&postListTopCurrentPage=1&from=postView
  12. '영주권만으로는 불안' 시민권 취득 한인 증가”. 2019년 9월 18일. 2019년 9월 23일에 확인함. 
  13. http://www.pewsocialtrends.org/2012/06/19/the-rise-of-asian-americans/2/
  14. 미국 하와이지역 한인동포의 생활문화, 국립민속박물관, 2003

8 외부 링크

틀:한국계 교민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