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공산당

1 개요[ | ]

2 이념[ | ]

최근들어 외국의 학자들을 중심으로 중국공산당은 일관된 이념이 없으며 그저 실용적으로 그때그때 가장 쓸모있는 정책들을 채택하여 사용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1] 허나 중국공산당은 이에 정면으로 반박하지는 않으나, 이같은 의견에 못마땅한 모습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후진타오 총서기은 2012년에 '서양 세력들이 우리를 분열시키겠다고 협박하고 있다', 또는 '서양의 국제적인 힘은 강한데 반면 중국은 아직 그렇지 못하다'라고 발언한 바 있다. 공산당은 학교에 다니는 중국 학생들에게 공산주의, 사회주의 이념을 들어붓기 위하여 엄청난 노력을 쏟고 있으며 스스로를 '중국 특색 사회주의'라고 정의하며 단순한 공산주의가 아닌, 중국만의 사회주의라고 강변하고 있다. 다만 학자들은 본디 중국에서는 절대적인 이념이 있으면 그에 따라 정책을 맞추어 가는 순서였으나, 실용성을 중시하였던 덩샤오핑의 등장과 함께 가장 실용적인 정책을 고른 후에 그 다음에 이념을 그에 맞추어 간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중국의 정책 결정자들은 이에 대하여 크게 부정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그들은 '딱딱하고, 창의적이지 못하며 현실과 괴리된 소련의 정책들이 결국 소련의 붕괴를 불러왔지 않은가?'라고 반문하며 만일 중국공산당의 통치를 안정화시키고 싶다면 이념을 상황에 맞추어 유동적으로 적용할 줄 알아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2]

공산주의의 이론가 칼 마르크스

2.1 마르크스-레닌주의[ | ]

중국공산당의 제1 이념은 마르크스-레닌 주의이다. 중국공산당에 의하면 '마르크스 레닌주의는 인간 사회의 역사 발전의 보편적인 법칙을 밝힌다'라고 한다. 또한 '현재의 불평등한 자본주의 사회의 추악한 일면을 보여주며, 미래에 세계가 맞이할 사회주의, 공산주의 사회의 필연성을 증명하고 있다'라고도 한다. 또한 국영 신문인 인민일보에 의하면 마오쩌둥이 들여와 입맛대로 변형한 마오이즘은 마르크스 레닌 주의를 중국 특성에 맞추어 변형한 한 분파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같은 주장은 큰 호응을 얻었고, 중국공산당이 거의 국가와 동일시되는 중국의 특성에 따라 마오이즘은 단순히 중국공산당의 이념이 아니라 중국 전체의 이념으로 자리잡았다. 외국의 전문가들이 대부분 마오이즘이 정통 마르크스 주의를 거부하고 생겨난 일종의 변종 공산주의 이념이라는 것에 동의하는 것에 반해, 중국공산당 스스로는 이를 부정하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장쩌민이 삼개대표사상을 헌법에 명시했을 때에 이미 중국이 정통 마르크스 주의를 포기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중국 학자들은 이에 '장쩌민은 그저 사회적인 장애물을 치워버렸을 뿐, 절대로 정통 마르크스주의나 사회주의를 포기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는 마르크스주의에 현대적인 해석을 가미하여 당을 강하게 만들었다. 가장 가까운 예만 들어도 사회주의 시장 경제가 있지 않은가?'라고 반박하며 함부로 중국식 사회주의를 서양인들의 시각에서 접근하지 말 것을 요구하고 있다. 중국공산당의 '최종 목표'는 여전히 지상에 사회주의 천국을 건설하는 것이고, 공산당 지도부는 이미 중국이 어느정도 사회주의 안정기에 접어들었다고 여긴다. 다만 몇몇 당 내 극렬적인 공산주의 학자들은 지금의 중국이 지나치게 '자본주의화'되어 있다고 여기며 이같은 주장에 반기를 들고 있다. 그러나 이들과 뜻을 달리하는 조금 더 온건적인 학자들은 '자본주의는 사회주의의 초기 단계일뿐'이라고 주장하며 중국은 여전히 정통 사회주의 국가라고 피력한다.

2.2 마르크스-레닌주의[ | ]

중국공산당의 제1 이념은 마르크스-레닌 주의이다. 중국공산당에 의하면 '마르크스 레닌주의는 인간 사회의 역사 발전의 보편적인 법칙을 밝힌다'라고 한다. 또한 '현재의 불평등한 자본주의 사회의 추악한 일면을 보여주며, 미래에 세계가 맞이할 사회주의, 공산주의 사회의 필연성을 증명하고 있다'라고도 한다. 또한 국영 신문인 인민일보에 의하면 마오쩌둥이 들여와 입맛대로 변형한 마오이즘은 마르크스 레닌 주의를 중국 특성에 맞추어 변형한 한 분파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같은 주장은 큰 호응을 얻었고, 중국공산당이 거의 국가와 동일시되는 중국의 특성에 따라 마오이즘은 단순히 중국공산당의 이념이 아니라 중국 전체의 이념으로 자리잡았다. 외국의 전문가들이 대부분 마오이즘이 정통 마르크스 주의를 거부하고 생겨난 일종의 변종 공산주의 이념이라는 것에 동의하는 것에 반해, 중국공산당 스스로는 이를 부정하고 있다. 어떤 사람들은 장쩌민이 삼개대표사상을 헌법에 명시했을 때에 이미 중국이 정통 마르크스 주의를 포기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중국 학자들은 이에 '장쩌민은 그저 사회적인 장애물을 치워버렸을 뿐, 절대로 정통 마르크스주의나 사회주의를 포기한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는 마르크스주의에 현대적인 해석을 가미하여 당을 강하게 만들었다. 가장 가까운 예만 들어도 사회주의 시장 경제가 있지 않은가?'라고 반박하며 함부로 중국식 사회주의를 서양인들의 시각에서 접근하지 말 것을 요구하고 있다. 중국공산당의 '최종 목표'는 여전히 지상에 사회주의 천국을 건설하는 것이고, 공산당 지도부는 이미 중국이 어느정도 사회주의 안정기에 접어들었다고 여긴다. 다만 몇몇 당 내 극렬적인 공산주의 학자들은 지금의 중국이 지나치게 '자본주의화'되어 있다고 여기며 이같은 주장에 반기를 들고 있다. 그러나 이들과 뜻을 달리하는 조금 더 온건적인 학자들은 '자본주의는 사회주의의 초기 단계일뿐'이라고 주장하며 중국은 여전히 정통 사회주의 국가라고 피력한다.

14회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덩샤오핑주의가 처음으로 중국 헌법에 공식적으로 명시되었다. 이 때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회주의 초기 단계 등과 같은 단어들이 처음으로 등장했으다. 덩샤오핑주의는 크게 국가 사회주의와 통제가 굳이 경직된 사회주의 체계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는 독점물이 아니며, 시장경제는 부패한 자본가들의 전유물이 아니라 아무런 특성이 없는 중성적인 요소라는 주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당이 변화하는 현실에 맞추어 유동적으로 대응하여야 한다고 말하며, 한 이념에만 집착하여 일을 그르칠 것이 아니라 오직 사실로부터 기반한 철저한 과학적 분석을 통하여 정책을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14회 대표대회에서 장쩌민은 덩샤오핑 전 주석의 흑묘백묘론을 언급하며, 어떤 것이 자본주의적인지 사회주의적인지 묻기 전에 그 것의 실효성과 타당성에 대하여 먼저 분석해야 한다고 연설에서 밝혔다. 이후 장쩌민이 자신의 정치 유산으로 삼개대표사상을 추가했다. 어떤 학자들은 이를 두고 중국공산당이 마르크스주의를 버리고 중국에 맞춘 또다른 사상을 새롭게 만들었다고 평가했으나, 정작 장쩌민은 이를 정면으로 부정한 후 자신의 사상은 그저 변화하는 세계의 경제 법칙에 맞춘, 조금 더 생산적인 방식의 마르크스주의라고 주장했다. 시진핑은 2018년에 '시진핑 사상'이라고 불리는 시진핑 신시대 중국 특색 사회주의 사상을 19회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헌법에 추가했으며, 이 사상도 전임자들과 비슷하게 마르크스 주의를 중국에 맞추어 개조한 사상이라고 평가받는다.

2.3 경제[ | ]

덩샤오핑은 사회주의와 자본주의와의 근본적인 차이점이 국가 통제 경제와 시장 경제의 차이가 아니라고 믿었다. 그는 '사회주의의 정의는 계획 경제가 아니다... 시장 경제도 계획 경제의 일면을 가지고 있기도 하고, 사회주의 아래에서도 충분히 잘 작동할 수 있다'라고 믿었다. 장쩌민도 덩샤오핑의 이러한 사상을 받아들였고, 중요한 것은 이념의 차이가 아니라 그 정책이 실효성이 있느냐 없느냐라고 강조했다. 장쩌민은 사회주의 시장 경제를 받아들였고, 14회 대회에서는 외교관들에게 '시장의 힘이 국가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발휘하여야만 한다'라고 발언도 하였다. 다만 공산당 내부의 보수적인 세력들 탓에 완전한 시장 경제를 실현하지는 못하였고, '공공' 경제의 충분한 발전이 있은 후에야만 시장 개인 경제가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중국공산당은 세계를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이 두 세력으로 본다. 허나 유물사관을 신봉하는 공산당은 최종적으로는 공산주의가 자본주의를 꺾고 승리할 것이라고 믿고 있다. 다만 최근 들어 미국을 비롯한 자본주의 국가들을 중심으로 급격한 세계화와 발전이 이루어지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대하여 질문을 받았을 때에는, 마르크스의 책을 그대로 인용하여 '세계화는 자본주의의 주도 하에 발전한 것은 사실이나 그렇다고 세계화 자체가 자본주의라는 것은 아니다'라고 대답하였다. 공산당에 의하면 세계화는 자본주의도, 사회주의도 아니며 중립적인 현상이라는 것이다. 또한 중국이 자본주의적 요소들을 일부 도입하여 더욱 발전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오히려 중국이 세계화와 국제 무역에 활발히 참여해야만 더 나은 미래를 맞을 것이라고 강변한다.

3 엄격한 입당 절차[ | ]

중국공산당은 당원을 받아들일 때 능력이 검증된 사람만 뽑도록 엄격한 절차를 거친다. 중국공산당은 입당을 희망하는 자에 대해 3년 동안의 헌신과 직장에서의 능력, 타인과의 관계 등을 관찰하며 공산당 당원과 비공산당 당원이 참여하는 회의에서 입당 여부를 검토한다. 공산당원이 된 후에도 1년에 한 번씩 지난 1년 동안의 실적을 판단하는 검증을 받아야 한다.

입당 조건은 18세 이상이며, 노동에 종사하고 있어야 하지만, 2001년부터 자본가의 입당도 제한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입당 희망자는 두 명의 당원에게 추천을 받아야 한다. 추천 주체는 해당 지원자에게 당사(黨史)를 교육시켜야 한다. 교육이 완료된 지원자는 예비당원이 되며, 입당 예비 선서를 하게 된다. 예비당원이 되면 1년 동안 당 조직의 감독을 받게 되며, 당이 추진하는 교육 사업 및 활동에 참가해야 한다. 1년이 지나게 되면 지역당 조직은 예비당원이 몸담고 있는 직장을 직접 현지 조사하게 된다. 이 현지 조사에 합격하게 되면, 예비당원은 비로소 입당원서를 제출할 수 있다. 지역당 조직은 입당원서를 최종적으로 검토하고, 해당 예비당원에 대한 입당 비밀투표를 진행한다. 이 투표에서 입당이 허락되면 예비당원은 정식 입당 선서 과정을 거쳐서 정식당원이 된다. 개혁개방 이전 공산당 입당 심사는 주로 마르크스-레닌주의 사상성을 중심에 두고 이루어졌으나, 개혁개방 이후에는 직업 기술 및 학업 능력에 초점을 두고 있다. 정식당원은 중국공산당 당헌에 따라 인민의 모범이 되어야 하며, 사회주의 발전 촉진을 위해 기꺼이 희생할 수 있어야 한다. 예비당원 단계에서 입당이 거절됐다면, 지원자는 1년의 심사를 다시 거치고 입당원서를 다시 제출해야 한다. 두 번 이상 불합격되면 예비당원 자격이 박탈되며, 처음 단계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3] 입당을 두 번 이상 실패했을 경우 영원히 당원이 될 수 없다는 말이 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 일례로 시진핑 총서기는 열 번의 입당 시도 끝에 정식당원이 될 수 있었다.[4]

대부분의 입당자는 공산주의청년단 출신이지만, 공산주의청년단에 포함이 되었다고 해서 입당을 무조건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중국공산당은 당내 관료주의가 당원의 수준을 하락시키고, 당과 군중을 괴리시키는 요소라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에 당내에는 민주적인 토론 문화가 상당히 강하며, 당직을 맡을 당원을 뽑는 과정은 입당 절차보다 까다로운데, 특히 당원의 학습 능력과 내실을 매우 중시한다. 중국공산당은 무자격자가 당원이 되고, 당직을 맡으면 당이 쉽게 부패하여 붕괴할 수 있음을 절감하고 있기에 입당 및 당직 임명에서 학연, 지연 등의 인맥은 철저히 배제된다.[5]

입당 후에는 의무적으로 당비를 내고, 당이 주관하는 정치 행사에 참여해야 하며, 지속적인 공산주의 교육을 받아야 한다. 정당한 이유 없이 6개월 이상 이 과정을 무시할 경우 곧바로 출당 조치가 이루어진다. 또한, 중국공산당 당규에 따라 공산당원은 주식 투자를 비롯한 금융 활동, 미신을 믿는 행위, 사교 조직(교우회·학우회·향우회 등 모든 형태의 사적인 조직) 구성 및 참가 등을 할 수 없게 되며, 특별한 경우가 아닌 이상 종교를 믿을 수 없다. 게다가 특정 범죄에 대해서는 가중 처벌을 받게 되며, 일상 생활에서도 절제를 하지 않을 경우 당규에 따라 얼마든지 출당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6]


4 비판[ | ]

탄허 스님에 따르면, 현시대의 조류는 금수운(禽獸運)이다. 이하는 呑虛禪師의 四敎會通思想, 文光 著, 민족사 출판, p.369-p.370 참고바람.

"유교학으로 보아도 소강절이 <황극경세서> 가운데에 시대의 조류를 평해 놓았는데, 삼황(三皇), 오제(五帝), 삼왕(三王), 오패(五覇), 이적(夷狄), 금수(禽獸)라고 했습니다. 삼황은 천황씨(天皇氏), 지황씨(地皇氏), 인황씨(人皇氏)이며, 오제는 복희(伏羲), 신농(神農), 황제(皇帝), 요(堯), 순(舜)이며, 삼왕은 우(禹), 탕(湯), 문왕(文武)이며, 오패는 진목공(秦穆公), 진문공(晉文公), 제환공(齊桓公), 초장왕(楚莊王), 송양왕(宋襄王)이죠. 그러면 오패 때까지는 소강절이 보았다고 하지만 오패 이후는 예언입니다. 그러니까 이적운(夷狄運)은 청조가 되죠. (......) 청조의 이적운이 지나고 지금은 금수운(禽獸運)입니다." (...「皇極經世書」, 觀物外偏下, 第 9章: 但用無為則皇也, 用恩信則帝也, 用公正則王也, 用智力則霸也, 霸以下則是夷狄, 夷狄而下是禽獸也...:무위로써 통치하는 것은 皇이고, 은혜와 믿음으로 다스리는 것은 帝이며, 공평함과 바름으로 다스리는 것은 王이고, 지력으로 다스리는 것은 霸이고, 패 이하는 오랑캐이니, 오랑캐 바로 다음은 금수이다.)

소강절은 북송 오자 중의 한 명으로, 그가 포함된 북송 오자는 주자에게 사상적, 학문적으로 큰 영향을 끼쳤으며 주자는 이를 바탕으로 주자학을 집대성했다. 소강절은 역학에 능통했다. 역학은 주역에 대해 연구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미래를 예언하여 세상이 좀 더 바른 쪽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학문이다. 그리고 위 문단은 유불선에 능통했던 탄허가 동양학 강의를 할 때 소강절이 시대를 평하고 예언한 대목을 소개한 것을 그대로 옮겨 쓴 것이다. 탄허는 20세기 중반~중후반에 활발한 강학 활동을 펼쳤으니 그가 이 말을 했을 때를 전후하여, 중국에서는 대약진 운동, 문화대혁명 등이 일어나고 있었다.

5 역대 지도부[ | ]

대수 역대 공식 지도자 직함 임기 비고
1 천두슈 중앙국 서기 1921년 7월 1일 ~ 1922년 7월 16일
2 중앙집행위원회 위원장 1922년 7월 16일 ~ 1923년 6월 12일
3 1923년 6월 12일 ~ 1925년 1월 11일
4 1925년 1월 11일 ~ 1927년 4월 27일
5 중앙위원회 총서기 1927년 4월 27일 ~ 1927년 8월 7일 4.12 사건난창 폭동 실패로 실각
임시 취추바이 임시 중앙위원회 총서기 1927년 8월 7일 ~ 1928년 6월 18일
6 샹중파 중앙위원회 총서기 1928년 6월 18일 ~ 1934년 1월 15일 실권은 리리산왕밍 등에게
임시 왕밍 중앙위원회 총서기 대리 1931년 6월 ~ 1931년 9월
7 보구 중앙위원회 총서기 1934년 1월 15일~ 1935년 1월 15일
8 장원톈 1935년 1월 15일 ~ 1945년 4월 23일 실권자는 마오쩌둥
9 마오쩌둥 중앙위원회 주석 1945년 6월 19일 ~ 1956년 9월 28일
10 1956년 9월 28일 ~ 1969년 4월 28일
11 1969년 4월 28일 ~ 1973년 8월 30일
12 1973년 8월 30일 ~ 1976년 9월 9일 사망
임시 화궈펑 1976년 10월 7일 ~ 1977년 7월 16일 승계
13 1977년 7월 16일 ~ 1977년 8월 19일
14 1977년 8월 19일 ~ 1981년 6월 27일
15 후야오방 1981년 6월 27일 ~ 1982년 9월 11일 실권자는 덩샤오핑
16 중앙위원회 총서기 1982년 9월 12일 ~ 1987년 1월 15일 다당제 주장으로 실각
임시 자오쯔양 1987년 1월 16일 ~ 1987년 11월 2일 실권자는 덩샤오핑
17 1987년 11월 2일 ~ 1989년 6월 23일 천안문 항쟁 동조로 실각
18 장쩌민 1989년 6월 23일 ~ 1992년 10월 19일 실권자는 덩샤오핑
19 1992년 10월 19일 ~ 1997년 9월 19일
20 1997년 9월 19일 ~ 2002년 11월 15일
21 후진타오 2002년 11월 15일 ~ 2007년 10월 22일
22 2007년 10월 22일 ~ 2012년 11월 15일
23 시진핑 2012년 11월 15일 ~ 2017년 10월 25일
24 2017년 10월 25일 ~

6 같이 보기[ | ]

6.1 총선[ | ]

년도 의석 수 득표수 득표율
1982-1983
1,861 / 2,978
알려지지 않음
1987-1988
1,986 / 2,979
1993-1994
2,037 / 2,979
1997-1998
2,130 / 2,979
2002-2003
2,178 / 2,985
2007-2008
2,099 / 2,987
2012-2013
2,157 / 2,987
2017-2018
2,119 / 2,980

6.2 총선[ | ]

년도 의석 수 득표수 득표율
1982-1983
1,861 / 2,978
알려지지 않음
1987-1988
1,986 / 2,979
1993-1994
2,037 / 2,979
1997-1998
2,130 / 2,979
2002-2003
2,178 / 2,985
2007-2008
2,099 / 2,987
2012-2013
2,157 / 2,987
2017-2018
2,119 / 2,980

7 각주[ | ]

  1. Brown, Kelly (2012년 8월 2일).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and Ideology”. 《China:An International Journal》. 
  2. Shambaugh, David (2008). 《China's Communist Party : Atrophy and Adap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3. Lawrence R. Sullivan. 2011.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Chinese Communist Party. Scarecrow Press. p. 183
  4. “시진핑도 10번 재수한 중국공산당원 9000만 돌파 [출처: 중앙일보] 시진핑도 10번 재수한 중국공산당원 9000만 돌파”. 《중앙일보》. 2010년 7월 1일. 2020년 6월 11일에 확인함. 
  5. 대니얼 A. 벨, 김기협 역 (2017). 차이나모델: 중국의 정치 지도자들은 왜 유능한가. 서해문집. pp. 156-157, 168-169.
  6. “당원 8945만명·규율 100개 이상… 시진핑 “공산당 완벽한 정당 만들 것””. 《서울신문》. 2017년 7월 21일. 2020년 6월 11일에 확인함. 


8 외부 링크[ | ]

틀:중국 공산당 틀:중국 공산당 조직도 틀:중화인민공화국의 정당 틀:군벌 시대

9 참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