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시풍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title
;seasonal customs     
;歲時風俗
;세시풍속
;세시풍속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해마다 같은 시기에 반복되어 전해오는 주기전승의례(週期傳承儀禮)
* 대체로 농경문화를 반영하고 있어 농경의례라고도 함
* 대체로 농경문화를 반영하고 있어 농경의례라고도 함
* 명절, 24절후(節侯) 등이 포함되어 있슴
* 명절, 24절후(節侯) 등이 포함되어 있슴
고 이에 따른 의례와 놀이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농경을 주 생업으로 하던 전통사회에서는 놀이도 오락성이 주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풍농을 예축하거나 기원하는 의례였다. 그래서 세시풍속을 세시의례(歲時儀禮)라고도 하는데 오늘날에는 세속화되고 탈제의화(脫祭儀化)하여 의례로 행해지는 것이 구별되기도 한다.
세시풍속의 기준이 되는 역법(曆法)은 음력이지만 양력이 전혀 배제된 것이 아니다. 우리가 보편적으로 말하는 음력은 태음태양력(Lunisolar Calender)의 약자로서 음력이 중심을 이루되 양력도 가미된 것이다. 24절후는 양력 날짜로 고정되어 있는데 이는 태양력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음력으로는 해마다 날짜가 달라진다. 가령 24절후이자 세시명절이기도 한 동지의 경우 양력 12월 22일에 들지만 음력으로는 동짓달 초순, 중순, 하순 등 해마다 달리 든다.
세시풍속은 대체로 1년을 주기로 반복되는데 예외도 있다. 가령 윤년(閏年)이 드는 해에 행하는 세시풍속이 있고, 3년, 5년, 또는 10년 단위로 행해지는 별신제도 세시풍속의 범주에 속한다.
세시풍속을 세시(歲時)·세사(歲事)·월령(月令)·시령(時令)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모두 시계성(時季性)을 강조한 것이다. 그런데 세시풍속은 시계성과 함께 주기성(週期性)·순환성(循環性)의 속성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시계성과 순환성은 기본적으로 ‘주기성’을 바탕으로 하고 있어 세시풍속은 주기성을 중심축으로 같은 행사가 반복되는 것이다.
세시풍속은 명절 또는 그에 버금가는 날 행해진다. 전통사회에서 명절은 신성한 날, 곧 의례를 행하는 날로 특별한 의미를 부여했다. 일본에서는 세시풍속을 연중행사(年中行事)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종종 이런 표현을 하는데 이 용어는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리의 경우 연중행사라 하면 연중에 행해지는 모든 행사를 망라한다. 세시풍속이 춘하추동(春夏秋冬) 계절에 적절하게 행해지고 있으므로 계절제(季節祭)라고도 한다. 따라서 연중행사와는 구별해야 한다.
전통사회에서 명절이라면 세시명절을 일컬었다. 그런데 오늘날에는 명절의 개념이 확대되어 세시풍속과 관련된 날은 세시명절이라는 용어로 구별할 필요마저 생겼다.『고려사』에는 속절(俗節)로 나타나는데 이는 명절과 같은 의미이다.*
*
*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명절]]
* [[세시(歲時)]]
* [[세사(歲事)]]
* [[월령(月令)]]
* [[시령(時令)]]
* [[주기성(週期性)]]
* [[24절후(節侯)]]
* [[태음태양력(Lunisolar Calender)]]
* [[태음태양력(Lunisolar Calender)]]
* [[24절후(節侯)]
* [[세시(歲時)·세사(歲事)·월령(月令)·시령(時令)]]
* [[주기성(週期性)]]
* [[명절]]


==참고==
==참고==
28번째 줄: 25번째 줄:
* {{네이버백과}}
* {{네이버백과}}


[[분류: 명사]]
[[분류: 24절후]]
[[분류: 분류1]]
[[분류: 명절]]
[[분류: 분류2]]
[[분류: 세시풍속]]

2019년 2월 25일 (월) 22:36 기준 최신판

1 개요[ | ]

seasonal customs
歲時風俗
세시풍속
  • 음력 정월부터 섣달까지 해마다 같은 시기에 반복되어 전해오는 주기전승의례(週期傳承儀禮)
  • 대체로 농경문화를 반영하고 있어 농경의례라고도 함
  • 명절, 24절후(節侯) 등이 포함되어 있슴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