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대학교 디지털 큐레이션

Kim Taejin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9월 22일 (목) 15:45 판 (→‎9주차(10/28))

1 기본 정보

KakaoTalk Snapshot 20220922 142818.png

이번 학기도 폐강인가?

2 강의 개요

인문학에서 다루는 문해력(literacy)은 단순히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에 그치지 않는다.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문해력은 일종의 ‘다중문해력(multiliteracy)’이라 할 수 있다. 그런 점에서 인문학을 전공으로 하는 학생들은 문법과 수사학뿐만 아니라 시청각 매체와 말뭉치(corpus), 디지털 도구, 시각적 자료 등을 포함한 넓은 의미에서의 문해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본 과목 <디지털 큐레이션>은 인문학 전공 학생들이 전공지식과 통찰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양식의 디지털 콘텐츠를 생산하도록 실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과목은 문과대학 마중교과목으로서 문과대학 학생은 전공과목으로 인정된다. 문과대학 교수 4명의 팀티칭으로 진행하며, 강의 위주의 이론 수업에만 치중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실습을 병행한다. 해당 주차별로 위키문서, 역사문화 영상, 인포그래픽 등을 제작하여 디지털 인문학의 사례들을 실습하고, 인문학과 디지털 기술의 결합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3 강의 목표

  1. 돼지털? 시대의 다중문해력을 습득한다.
  2. 디지털 인문학의 기본 개념들을 배우며, 관련 디지털 기술을 습득한다.
  3. 디지털 인문학과 관련한 학습 정보, 취업 정보를 조사하고 공유한다.

4 강의내용

<디지털 큐레이션>은 디지털 인문학의 입문단계로 디지털 큐레이션에 참가하는 학습자들은 본격적으로 데이터를 다루면서 자발적으로 필요한 데이터를 찾아 적절히 큐레이션을 할 수 있도록 함을 목표로 한다. 4차 산업, 빅데이터, 코딩 등 애매하고 난해한 용어들이 난무하고 있는 요즘 데이터에 대한 정의를 바로 하고 학습자들의 눈높이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실제 학습 과정에서 이해할 수 있는 데이터 처리 기술과 접근방법을 함께 배운다. 데이터 처리, 디지털과 인문학의 접목이 멀리 있는 이야기가 아니라 배워서 바로 실습하는 것을 위주로 수업은 진행된다. 이를 통해 데이터 시대에 수동적 데이터 소비자가 아닌 적극적 데이터 생산자가 될 수 있는 역량을 체득한다.


5 강의 방법

4명의 교수에 의한 팀티칭 과목. 크게 3가지 실습주제-위키문서 작성, 역사문화 동영상 제작, 인포그래픽-로 구성된다. 기본적으로 2~3주씩 각 주제에 대한 이론강의와 실습으로 진행된다. 학생들은 동영상 내지 인포그래픽이 포함되어 있는 위키문서 작성을 최종 결과물로 제출한다.


6 평가방법

  • 출석(10%) 과제(20%) 실습(30%) 기말발표 및 결과물(40%)
  • 기말발표 및 결과물은 교수평가 및 동료평가로 진행한다.
  • 본 수업은 혁신교과목 수업으로 절대평가 대상과목임.

7 교재및참고문헌

  • 주교재:
    • 스티븐 로젠바움, 큐레이션-정보 과잉 시대의 돌파구, 이코노미북스, 2011
  • 부교재:
    • 이재연 외, 세계 디지털 인문학의 현황과 전망, 커뮤니케이션북스, 2019
    • 김현 외, 디지털 인문학 입문, HUEBOOKs, 2016
    • 박치완 외, 디지털 인문학이란 무엇인가? 디지털 시대 인문학에 대한 진단과 전망, 꿈꿀권리, 2015
    • 이중원 외, 디지털 시대 인문학의 미래, 푸른역사, 2017
    • 진주완 외,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계절, 2018
    • 정철, 검색, 사전을 삼키다, 사계절, 2016
    • 김묘영, 좋아 보이는 것들의 비밀-인포그래픽, 길벗, 2014
    • 우석진, 회사에서 자주 쓰는 인포그래픽 Pattern 31-업무 보고와 제안 발표에 필요한 인포그래픽 기술, 샌들코어, 2016
    • 장미희, 나만의 동영상 제작하기, 교학사, 2020
    • 박영진, 김효창, 가장 쉬운 동영상 편집, 정보문화사, 2021

8 수강요건(선수과목 및 수강에특별히참고하여할사항)

수강요건 없음. 단 본 수업이 프로젝트 기반 학습의 혁신교과목 수업임을 숙지하고 들어오기 바람.


9 주별 강의 일정

  • 주/강의내용/강의방법/과제/비고

9.1 1주차(9/2)

<디지털 큐레이션 과목 강의소개>/과목 개설의 의의 및 수강생 의견 청취/강의/4명 모두

9.2 2주차(9/9)

<추석 휴강>

9.3 3주차(9/16)

디지털 인문학의 사례 소개

최근 대학 강단을 중심으로 디지털 인문학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 상황 속에서 각 대학에서 디지털 인문학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살펴본다. 하지만 이를 일시적으로 반짝하는 트렌드 쫓기나, 실제로 기존의 수업을 이름만 바꾸어서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과 인문학의 접점을 어떻게 찾을 수 있을지를 고민한다.

  • 참고도서:

이재연 외, 세계 디지털 인문학의 현황과 전망, 커뮤니케이션북스, 2019

디지털 큐레이션 관련 소프트웨어 실습

손쉽게 접할 수 있는 디지털 큐레이션 관련 앱(워드 클라우드, 워드 트리, 구글 트렌드) 들을 사용해 보면서 디지털 큐레이션의 목적과 의의를 이해한다. 텍스트의 시각화 및 정보의 가공에서 필요한 관점을 생각해 본다.

  • 참고도서:

스티븐 로젠바움, 큐레이션-정보 과잉 시대의 돌파구, 이코노미북스, 2011

9.4 4주차(9/23)

<위키 문법의 이해>
  • 참고도서:

정철(빈서재출판사), “검색, 사전을 삼키다”

  • 참고영상:

9.5 5주차(9/30)

<위키 문서 작성>

위키백과 사전의 기본적인 틀을 이해하고 실제 자신의 관심사항에 맞는 위키사이트를 작성한다.

  • 위키문서 제작방법 [1]
  • 참고도서:

진주완, 정철, 검색, 사전을 삼키다 정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사전

9.6 6주차(10/7)

<위키 문서 작성(2)>

지난 시간에 이어 실제 자신의 관심사항에 맞는 위키사이트를 작성한다.

  • 위키문서 제작방법

[3]

  • 참고도서:

진주완, 정철,검색, 사전을 삼키다 정철,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사전

  • 참고 사이트:

제타위키 메이지유신 [https://zetawiki.com/wiki/%EB%A9%94%EC%9D%B4%EC%A7%80_%EC%9C%A0%EC%8B%A0] 서울시립대 중어중문과 위키 [http://chinesewiki.uos.ac.kr/wiki/index.php/%EC%A4%91%EA%B5%AD%EB%AC%B8%ED%99%94_%EC%A7%80%EC%8B%9D_%ED%8F%AC%ED%84%B8]

9.7 7주차(10/14)

<역사문화 관련 동영상 기획>

디지털시대를 맞이하여 인문학도들은 데이터의 생성과 디지털 큐레이션(Digital Curation)의 구현을 위해 영상을 기획/편집하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이 부분의 강의는 기획, 촬영과 편집을 통해 동영상 제작 과정을 직접 체험함을 목적으로 한다.

  • 동영상(다큐멘터리) 기획

동영상 다큐멘터리를 기획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과 이론, 방법을 습득한다. 국내외의 다양한 동영상 샘플을 보고 토론하면서 본인의 동영상 다큐멘터리에 적용하고, 기획안과 시놉시스, 콘티를 작성한다.

  • 참고도서:

장미희,나만의 동영상 제작하기 박영진, 김효창,가장 쉬운 동영상 편집

9.8 8주차(10/21)

<역사문화 관련 동영상 제작 실습>

동영상(다큐멘터리) 편집 영상을 촬영하고 편집하는 ‘기술’을 습득한다. 동영상 제작에 필요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기술’을 적용하여 수강자 본인의 동영상 다큐멘터리를 완성한다.

  • 참고도서:

장미희,나만의 동영상 제작하기, 교학사, 2020 박영진, 김효창,가장 쉬운 동영상 편집, 정보문화사, 2021

9.9 9주차(10/28)

<인문학 전공자의 인포그래픽>

인포그래픽은 넘쳐나는 데이터와 복잡한 사실 속에서 빛나는 지식/정보를 찾아 모두의 이익이 될 수 있도록 정보화/구조화/시각화하는 작업이다. 다만 이 강의는 그래픽 디자이너를 육성하는 목표로 하는 것은 아니므로 ‘멋진 디자인’이나 ‘훌륭한 시각화’ 보다는 ‘빛나는 정보’ 혹은 ‘유용한 지식의 시각화’를 위해 노력한다. 빛나는 정보와 최소한의(혹은 적절한) 그래픽 이라는 균형을 유지하고자 한다. 수강생은 개인/팀 단위로 전공 지식(정보)에 기반하거나 체험을 활용한 인포그래픽 작업을 수행한다.

<인포그래픽의 이해>
  1. 데이터 시각화와 인포그래픽
  2. 사례중심 인포그래픽의 장점
  3. 인포그래픽 유형
  4. 인포그래픽 기획을 시작하기 전에 고려할 요소: 주제, 사용 목적, 타깃, 사용 환경

9.10 10주차(11/4)

<인문학 전공자의 인포그래픽 실습(1)>
  1. 인포그래픽 기획

핵심 메시지 추출 ⇒ 정보 조사 ⇒ 필요 정보 선별 ⇒ 정보 그룹화 ⇒ 정보 구조화 ⇒ 스토리텔링 ⇒ 생각 표현 및 정리

  1. 인포그래픽 제작
    1. 문자, 아이콘, 그래프, 차트, 다이어그램, 사진, 지도
    2. 데이터를 정보로 바꾼다
    3. 정보를 직관적으로 설계한다
    4. 메시지와 주장을 돋보이게 만든다
  • 참고사이트:

인포그래픽 제작 과정: 조선의 전통 혼례 https://www.behance.net/gallery/95923797/2004-The-Korean-Traditional-Costume 인포그래픽 제작 과정: 김밥 만들기 https://www.behance.net/gallery/87461175/1910-Making-Gimbap

9.11 11주차(11/11)

<인문학 전공자의 인포그래픽 실습(2)>

명확한 목적을 갖고 정보의 관계, 패턴, 구조를 파악한 다음, 파악한 내용을 정확한 메시지로 구체화하고 스토리를 중심으로 새롭게 가공하여 만드는 인포그래픽 작업을 완성한다. 실습 및 발표준비

9.12 12주차(11/18)

<디지털 큐레이션과 언어>
  • 특강: 천시우시우(북경외대 박사후과정), “가상현실(VR) 이용 언어 교육 콘텐츠 개발” (특강 내용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9.13 13주차(11/25)

<디지털 큐레이션과 언어(2)>
  • 특강 : 이바른(동국대 어학원), “메타버스(Metaverse) 활용 언어교육 콘텐츠 개발” (특강 내용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9.14 14주차(12/2)

성과발표회(1)

9.15 15주차(12/9)

성과발표회(2)

9.16 보강(추후날짜결정)

성과발표회(3)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