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
- 쿠버네티스 문서 한글화 가이드
- 쿠버네티스 문서 한글화를 위한 가이드
- https://kubernetes.io/ko/docs/contribute/localization_ko/
- https://github.com/kubernetes/website/blob/master/content/ko/docs/contribute/localization_ko.md
2 문체[ | ]
2.1 높임말[ | ]
평어체 사용을 원칙으로 하나, 일부 페이지(예: https://kubernetes.io/ko )에 한해 예외적으로 높임말을 사용한다.
2.2 명령형[ | ]
어떤 일을 하도록 청자에게 요구하는 명령형 표현은 간결하고 부드러운 표현으로 정확한 의미를 전 달하기 위해 어떤 일을 함께 하기를 요청하는 청유형 또는 객관적으로 진술하는 평어체로 번역한다.
명령형 문장 | 번역체 |
---|---|
사이트를 방문하라 | 사이트를 방문하자 (청유형) |
가이드를 참고하라 | 가이드를 참고한다 (평어체) |
2.3 번역체 지양[ | ]
우리글로서 자연스럽고 무리가 없도록 번역한다.
번역체 | 자연스러운 문장 |
---|---|
-되어지다 (이중 피동 표현) | -되다 |
짧은 다리를 가진 돼지 | 다리가 짧은 돼지 |
그는 그의 손으로 숟가락을 들어 그의 밥을 먹었다 | 그는 손으로 숟가락을 들어 밥을 먹었다 |
접시를 씻고 | 설거지를 하고 |
가게에 배들, 사과들, 복숭아들이 있다 (과다한 복수형) | 가게에 배, 사과, 복숭아들이 있다 |
2.4 한글과 영어 혼용에 관련한 원칙[ | ]
한글과 영어 단어 중 선택은 다음의 우선 순위를 따르나, 자연스럽지 않은 용어를 무리하게 선택하지는 않는다.
- 한글 단어
- 순 우리말 단어
- 한자어 (예: 운영 체제), 외래어 (예: 쿠버네티스, 파드)
- 한영 병기 (예: 훅(hook))
- 영어 단어 (예: Kubelet)
단, 자연스러움을 판단하는 기준은 주관적이므로 다음의 용어집과 기존에 번역된 문서를 참고한다.
참고:한영 병기는 페이지 내에서 해당 용어가 처음 사용되는 경우에만 적용하고 이후 부터는 한글만 표기한다.
2.4.1 API 오브젝트는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한글 표기[ | ]
쿠버네티스 API 오브젝트는 원 단어를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한글화 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원 단어 | 외래어 표기 |
---|---|
Deployment | 디플로이먼트 |
Pod | 파드 |
Service | 서비스 |
참고:API 오브젝트의 필드 이름, 파일 이름, 경로와 같은 내용은 독자가 구성 파일이나 커맨드라인에서 그대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한글로 옮기지 않고 원문을 유지한다. 단, 주석에 포함된 내용은 한글로 옮길 수 있다.
3 문서 코딩 가이드[ | ]
3.1 가로폭은 원문을 따름[ | ]
유지보수의 편의를 위해서 원문의 가로폭을 따른다.
즉, 원문이 한 문단을 줄바꿈하지 않고 한 행에 길게 기술했다면 한글화 시에도 한 행에 길게 기술하고, 원문이 한 문단을 줄바꿈해서 여러 행으로 기술한 경우에는 한글화 시에도 가로폭을 원문과 비슷하게 유지한다.
3.2 리뷰어 삭제[ | ]
일반적으로 원문 페이지의 리뷰어가 한글 페이지를 리뷰하기 어려우므로 다음과 같이 리소스 메타데이터에서 리뷰어를 삭제한다.
- reviews:
- - reviewer1
- - reviewer2
- title: Kubernetes Components
+ title: 쿠버네티스 컴포넌트
content_template: templates/concept
weigh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