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
- "實"답잖다
- 시답잖다,
시덥잖다,시덥지 않다
- "실(實)답지 않다."
- 진실하거나 미덥지 않다.
- 보잘것없어 마음에 차지 않는다.
- 볼품이 없어 만족스럽지 못하다.
- 하잘것없어서 만족스럽지 못하다.
2 관련 규범[ | ]
‘시답잖다’의 의미로 ‘시덥잖다’를 쓰는 경우가 있으나 ‘시답잖다’만 표준어로 삼는다.
3 같이 보기[ | ]
4 참고[ | ]
5 #[ | ]
'시덥지 않다'로 알고 있었는데, '시답잖다'였다니... 학교에서 - 언제였는지 또 국어시간이었는지는 확실치 않으나 - '시덥지 않다 = 시원하지도 덥하지도 않다 = 미적지근하다 = 만족스럽지 못하다'라는 설명은 들은 적이 있다... '시원찮다 = 시원하지 않다 = 충분히 만족스럽지 않다'라는 표현도 있고 해서 꽤 설득력 있게 받아들였다. --jmnote (토론) 2017년 7월 29일 (토) 09:49 (KST)
편집자 Jmnote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