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KA 커리큘럼

Jmnote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11월 9일 (일) 23:28 판 (새 문서: ==개요== ;CKA 커리큘럼 {| class='wikitable' |- | 10% - 스토리지 | * 스토리지 클래스 및 동적 볼륨 프로비저닝 구현 * 볼륨 타입, 접근 모드(Access M...)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1 개요

CKA 커리큘럼
10% - 스토리지
  • 스토리지 클래스 및 동적 볼륨 프로비저닝 구현
  • 볼륨 타입, 접근 모드(Access Mode), Reclaim 정책 설정
  • PersistentVolume(PV) 및 PersistentVolumeClaim(PVC) 관리
15% - 워크로드 및 스케줄링
  • 애플리케이션 배포 구조 이해 및 롤링 업데이트/롤백 수행
  • ConfigMap, Secret을 활용한 애플리케이션 설정
  • 워크로드 오토스케일링 설정
  • 자가 복구(Self-healing) 및 안정적인 배포를 위한 기본 요소 이해
  • 파드 스케줄링 및 승인(admission) 설정 (리소스 제한, Node Affinity 등)
20% - 서비스 및 네트워킹
  • 파드 간 통신 구조 이해
  • 네트워크 정책(NetworkPolicy) 정의 및 적용
  • Service 타입 (ClusterIP, NodePort, LoadBalancer) 및 엔드포인트 활용
  • Gateway API를 이용한 Ingress 트래픽 관리
  • Ingress 컨트롤러 및 Ingress 리소스 활용
  • CoreDNS 이해 및 활용
25% - 클러스터 아키텍처, 설치 및 설정
  • RBAC(Role-Based Access Control) 관리
  • 쿠버네티스 설치를 위한 인프라 사전 준비
  • kubeadm을 이용한 클러스터 생성 및 관리
  •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라이프사이클 관리
  • 고가용성(HA) Control Plane 설정 및 구현
  • Helm, Kustomize를 활용한 클러스터 컴포넌트 설치
  • 확장 인터페이스 이해 (CNI, CSI, CRI 등)
  • CRD(Custom Resource Definition) 이해 및 Operator 설치/설정
30% - 트러블슈팅
  • 클러스터 및 노드 문제 진단 및 해결
  • 클러스터 컴포넌트 문제 해결
  • 클러스터 및 애플리케이션 리소스 사용량 모니터링
  • 컨테이너 출력(output) 스트림 관리 및 분석
  • 서비스 및 네트워크 문제 해결

2 같이 보기

3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