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8s 레이블 vs 어노테이션

Jmnote (토론 | 기여)님의 2025년 9월 7일 (일) 01:43 판 (→‎개요)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1 개요[ | ]

K8s Labels vs Annotations
K8s 레이블 vs 어노테이션
  • 레이블(label)과 어노테이션(annotation)은 쿠버네티스 오브젝트에 메타데이터를 부여하기 위한 두 가지 방식이다.
  • 두 속성 모두 metadata 필드에 key:value 쌍 형태로 정의된다. 여기서 키(key)는 선택적 prefix와 필수 name으로 구성된 prefix/name 구조를 따르며, 전체 길이는 최대 253자이고 name 부분은 63자 이하여야 한다.
구분 레이블 어노테이션
주요 용도 리소스 식별·선택·분류
스케줄링, 서비스 연결, 버전·릴리즈 구분
리소스 부가 정보 저장
빌드·배포 정보, 외부 시스템 메타데이터, 컨트롤러 동작 힌트
셀렉터 지원 O X
키 길이 최대 253자 최대 253자
값 길이 최대 63자 최대 262144자 (256KiB, JSON 등 보관 가능)
Well-known 예시 app.kubernetes.io/name: mysql
app.kubernetes.io/instance: wordpress-123
kubectl.kubernetes.io/default-container: web
ingressclass.kubernetes.io/is-default-class: "true"
커스텀 예시 environment: production
tier: frontend
disktype: ssd
example.com/last-deployed: 2025-09-05
example.com/owner: alice
kubectl kubectl label
kubectl get --show-labels
kubectl annotate

2 같이 보기[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