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와 아들러

1 프로이트

프로이트.jpg

베스트셀러, "꿈의해석"의 저자
  • 精神分析學 Psychoanalysis 정신의학, 심리학의 한 갈래.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제시한 학문이다.

인간의 행동을 개인 내적인, 사회적인 욕구의 표출 및 조화/부조화로 인한 갈등에 의한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프로이트는 이런 욕구들을 성적 욕구로 이해했지만 이후의 정신분석학자들은 다양한 다른 견해를 내놓았다. 정신분석학이 주류 심리학과 구별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은 무의식의 연구 여부와 과학적 방법론이다. 심리학은 일반적으로 인간 의식의 영역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학문이지만, 정신분석학에서는 감정과 욕망 생각 등이 의식에 의해 억압된 부분이 있다고 보며, 그 부분을 무의식이라고 설정하여 이 부분을 굉장히 중요시 여기며 연구한다(의식은 단순히 빙산의 일각이라고까지 표현한다). 물론 주류 심리학의 여러 갈래들이 모두 무의식을 완전히 무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무의식 개념을 사용하더라도 정신분석학의 그것과는 상당히 다른 개념인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 혼동을 피하기 위해 무의식(unconscious)이 아닌 비의식(nonconscious)이라는 새로운 용어를 만들어서 사용한다.

2 알프레드 아들러

아들러.jpg

베스트셀러, "미움받을 용기"의 저자
  • 아들러의 주된 관심은 우월함의 추구, 육체적 허약함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 권력의 추구, 출생순위에 따른 성격의 형성 등이었으며 프로이트의 환원적인 관점과도 거리를 두었다. 아들러의 관점은 이후 의미치료의 창시자인 빅토르 프랑클에 의해 비판받기도 했다.

3 프로이트와 아들러의 대립

프로이트 이전엔 정신과 상담이란 것은 거의 없었다. 정신 이상자는 대부분 격리되거나 종교적이거나 비체계적인 요법의 대상이 될뿐이었다. 프로이트를 시작으로 다양한 상담 요법과 정신에 대한 이론이 나오기 시작했고, 그 중 유명한 인물인 프로이트와 아들러이다. 이들의 이론은 심리 치료의 중심으로 쓰이고 있다.

프로이트와 아들러.jpg


3.1 프로이트의 '원인론'과 아들러의 '목적론'

프로이트의 원인론은 말 그대로 현재 상태(행위)의 원인을 과거의 경험(트라우마)에서 찾는 것을 말하며, 아들러의 목적론은 현재 상태(행위)를 본인의 목적 그 자체로 보고, 과거의 경험(트라우마)을 목적(행위)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행위는 원인과 결과가 아니다.)

예를 들어보자. 여기 어렸을 때 아버지로부터 신체적, 정신적 학대를 받은 청년이 있다. 그로 인해 이 청년은 그 기억이 트라우마가 되었고, 훗날 성인이 된 이 청년은 스스로 집에 갇혀 방구석에서 게임만 하는 사람이 되었다.

  • 프로이트의 원인론으로 위 이야기를 해석하면, 이 청년은 어렸을 때 겪었던 일들이 트라우마가 되어 현재의 자신을 괴롭히고 있고, 현재 자신의 모습 또한 과거의 트라우마로 인한 결과이다. 이것이 프로이트 식 해석이다.
  • 아들러의 목적론으로 위 이야기를 해석하면, 이 청년이 과거 자신의 트라우마를 방구석에서 게임하기라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아들러 식 해석이다.

3.1.1 원인론

프로이트는 감정은 과거 사건 때문에 일어나는 어쩔 수 없는 것이라고 여긴다. 인간은 과거에 일어난 사건이나 주어진 환경의 희생자로, 그에 따라 일어난 사건이나 주어진 환경의 희생자로, 그에 따라 일어나는 감정은 통제가 불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는 "알고 있지만 그만둘 수 없다."라는 말로 육체와 정신, 의식과 무의식, 이성과 감성의 모순을 지적했다. [출처] 프로이트의 원인론 VS 아들러의 목적론|작성자 OZZY

3.1.2 목적론

아들러는 모든 인간의 행동과 감정에는 저마다 고유의 목적이 있다고 본다. 인간은 스스로 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성과 감정, 신체 등의 모든 수단을 동원한다. 즉, 겉으로는 나의 이성과 감정이 모순되는 거 같아도, 사실은 하나의 목적을 향해 함께 달려가는 중인 것이라고 한다. [출처] 프로이트의 원인론 VS 아들러의 목적론|작성자 OZZY

3.2 프로이트의 '무의식'과 아들러의 '열등감'

3.2.1 무의식

3.2.2 아들러의 '열등감'

  • 아들러는 오스트리아 빈 근교에 있는 유태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 어린 시절의 아들러는 아주 병약했다고 한다. 폐렴과 구루병도 앓았고 두 번의 교통사고로 죽을 고비도 넘겼다고 한다. (옆에서 같이 자던 동생이 죽는 광경을 목격함.) 건강도 안좋은 데다가 공부도 썩 잘하지 못함. -> 아들러의 아버지는 공부말고 구두를 만드는 기술을 가르치기 시작함.
  • 건강하고 공부도 잘하는 자신의 형에게 상당한 열등감을 갖게 되었고 그 덕분인지 아들러는 우수한 성적으로 학교를 졸업하고 안과의사가 됨.
  • 시각 능력이 떨어지면 청각이나 촉각 등 다른 감각이 좋아지는 것을 발견함. 눈이 좋지 않는 사람이 책을 읽는 것에 더 집착하는 것을 발견. (인간은 자신의 단점을 만회하려 한다는 점.)

ex) 베토벤 18년동안 귀가 먹은 상태로 작곡을 함. 인간은 열등감을 극복하려고 하는 의지를 가지고 태어난다는 것.


4 관련서적

아들러와 프로이트의 대결 정신분석의 프로이트, 개인심리학의 아들러 현대 임상심리학의 원류가 된 두 학자가 바라본 인간의 마음은 어떻게 다른가? 그들은 흔들리고 뒤틀린 인간의 마음에서 무엇을 보았는가? 왜 오늘날의 심리치료는 프로이트가 아닌 아들러에 주목하는가?

5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