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랄 희 希

Jmnote bot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9월 10일 (일) 23:34 판 (봇: 중학용을(를) 중학용 한자(으)로 분류 대체함)


바랄 희, 칡베 치
부수 부수 巾
총획/획수 7획 / 3획
훈음 바랄 희, 칡베 치
일본어 음독 KI
일본어 훈독 KOINEGAU, MARE
중국어 병음 [1] [2]
유니코드 U+5E0C

1 의미

바라다, 동경하다, 희망하다, 사모하다, 앙모하다
rare; hope, expect, strive for


2 목록

3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