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스트 주도 개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8번째 줄: 18번째 줄:
{{z컬럼3|
{{z컬럼3|
* [[리팩토링]]
* [[리팩토링]]
* [[단위 시험]]
* [[통합 시험]]
* [[인수 시험]]
* [[모의 객체]]
* [[모의 객체]]
* [[유닛 테스트]]
* [[TDD의 3원칙]]
* [[테스트 케이스]]
* [[테스트 케이스]]
* [[행위 주도 개발]](BDD)
* [[소프트웨어 테스트]]
* [[소프트웨어 테스트]]
*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 [[행위 주도 개발 BDD]]
* [[인수 테스트 주도 개발]](ATDD)
* [[ATDD]]
* [[유닛 테스트 프레임워크]]
* [[TDD의 3원칙]]
* [[인수 테스트 주도 개발]]
}}
}}



2022년 12월 14일 (수) 09:37 기준 최신판

1 개요[ | ]

test-driven development (TDD)
테스트 주도 개발
1) 초기 결함을 점검하는 자동화된 테스트 케이스를 먼저 작성
2) 케이스가 정상 작동되는 최소한의 코드 생성
3) 새 코드를 표준에 맞게 리팩토링

TDD-2022-12-05.PNG

Tdd flow.gif

TDD Global Lifecycle.png

2 같이 보기[ | ]

3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