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I, URI 스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통합 자원 식별자
 
;URI scheme
;URI scheme
;URI 스킴
;URI 스킴
==URI==
*일정한 형식에 따라 자원을 가리키는 식별자
<source lang='text'>
스킴 : 계층부 [ ? 쿼리 ] [ # 프래그먼트 ]
</source>
*URL, URN은 URI의 한 형태
*RFC 3986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c/c3/URI_Euler_Diagram_no_lone_URIs.svg/180px-URI_Euler_Diagram_no_lone_URIs.svg.png
;예시
* urn:example:animal:ferret:nose
* file:///D:/Desktop/test.htm
* foo://example.com:8042/over/there?name=ferret#nose
==URI 스킴==
*[[URI]] 체계의 최상위 레벨
*[[URI]] 체계의 최상위 레벨
*모든 URI는 스킴명으로 시작되고 바로 뒤에 첫번째 콜론(:)이 붙는다.
*모든 URI는 스킴명으로 시작되고 바로 뒤에 첫번째 콜론(:)이 붙는다.
7번째 줄: 25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URL]]
*[[URL]]
[[분류: 식별자]]

2014년 10월 3일 (금) 11:18 판

uniform resource identifier; URI
통합 자원 식별자
URI scheme
URI 스킴

1 URI

  • 일정한 형식에 따라 자원을 가리키는 식별자
스킴 : 계층부 [ ? 쿼리 ] [ # 프래그먼트 ]

 

예시

2 URI 스킴

  • URI 체계의 최상위 레벨
  • 모든 URI는 스킴명으로 시작되고 바로 뒤에 첫번째 콜론(:)이 붙는다.

3 같이 보기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