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정보교환시스템 아키텍처 설계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의료정보교환시스템 아키텍처 설계서
;의료정보교환시스템 아키텍처 설계서
* https://www.cisp.or.kr/wp-content/uploads/2016/10/20161020_142553.pdf


===배경===
===배경===
17번째 줄: 18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서]]
*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설계서]]
==참고==
* https://www.cisp.or.kr/wp-content/uploads/2016/10/20161020_142553.pdf


[[분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분류: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2022년 7월 13일 (수) 23:08 판

1 개요

의료정보교환시스템 아키텍처 설계서

1.1 배경

1.2 추진배경

  • CT/MRI등의 의료고가장비들의 경우 의료기관을 달리한 중복촬영으로 의료비의 낭비요인이 발생되고 있으며 환자의 방사선의 과다노출이 발생할 수 있다.
    • 환자의 과거 진료정보를 활용할 수 없고, 중복검사가 흔하게 발생되며, CT등의 환자 부담이 큰 고가영상을 재촬영하는 경우에 빈번하게 발생한다.
    • CT1회 촬영시 노출 방사선량은 1년간 일상생활에서 받는 방사선랸의 25~50배 수준이며, 반복하여 검살할 경우에는 방사선 과다 노출로 인한 건강문제의 발생이 우려된다.
  • IT의 발달과 정보화로 인하여 보건의료 환경이 빠르게 변화하였다.
    • 의료영상정보의 저장, 판독 및 검색기능들을 통합적으로 관리 수행하는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시스템의 대형병원들의 일반화
    • 의료소비자들의 인식전환에 따른 자가 정보의 소유욕구에 대한 증대와 자신의 의료건강활동에 대한 욕구의 증가

1.3 추진목적

  • 현 대한민국의 보건의료환경 및 IT여건을 반영하여 최적의 온라인 영상정보교류 시스템을 구축하고, 효율적인 실행 프로세스 설정을 위한 오픈소스로 구성되어지는 온라인 의료영상정보 교류시스템을 설계함
  • 주요 국가정책과 의료기관의 예산 낭비 요인 및 사업기간을 진행하기 위한 사업수행 기반 조성으로 성공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주 목적으로 한다.

2 같이 보기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