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에는 귀천이 없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5번째 줄: 15번째 줄:
* {{네이버백과}}
* {{네이버백과}}
* https://www.koreaherald.com/view.php?ud=20211101000616
* https://www.koreaherald.com/view.php?ud=20211101000616
* 윤신숙. "대중 매체가 초등학생의 진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부산
* http://www.riss.kr/link?id=T10640115 윤신숙. "대중 매체가 초등학생의 진로 인식에 미치는 영향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부산


[[분류: 관용구]]
[[분류: 관용구]]
[[분류: 職]][[분류: 業]][[분류: 貴]][[분류: 賤]]
[[분류: 職]][[분류: 業]][[분류: 貴]][[분류: 賤]]

2022년 6월 15일 (수) 00:21 판

1 개요

There is no superiority or inferiority in a job.
職業에는 貴賤이 없다.
직업에는 귀천이 없다.
  • 모든 직업이 고유의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다 똑같이 중요하다는 주장

2 같이 보기

3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