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이 보기) |
Jmnote 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source +<syntaxhighlight , -</source> +</syntaxhighlight>))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현재 포트 확인== | ==현재 포트 확인== | ||
< | <syntaxhighlight lang='console'> | ||
root@zetawiki:~# netstat -tnlp | grep sshd | root@zetawiki:~# netstat -tnlp | grep sshd | ||
tcp 0 0 0.0.0.0:22 0.0.0.0:* LISTEN 17396/sshd | tcp 0 0 0.0.0.0:22 0.0.0.0:* LISTEN 17396/sshd | ||
tcp6 0 0 :::22 :::* LISTEN 17396/sshd | tcp6 0 0 :::22 :::* LISTEN 17396/sshd | ||
</ | </syntaxhighlight> | ||
:→ sshd 프로세스가 22포트를 LISTEN 하고 있다. | :→ sshd 프로세스가 22포트를 LISTEN 하고 있다. | ||
< | <syntaxhighlight lang='console'> | ||
root@zetawiki:~# cat /etc/ssh/sshd_config | egrep ^\#?Port | root@zetawiki:~# cat /etc/ssh/sshd_config | egrep ^\#?Port | ||
Port 22 | Port 22 | ||
</ | </syntaxhighlight> | ||
:→ 우분투의 경우, 명시적으로 기본 포트인 22번이 지정되어 있다. | :→ 우분투의 경우, 명시적으로 기본 포트인 22번이 지정되어 있다. | ||
:→ CentOS의 경우, 주석처리되어 있지만 그래도 기본 포트인 22포트를 사용한다. | :→ CentOS의 경우, 주석처리되어 있지만 그래도 기본 포트인 22포트를 사용한다.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소스헤더|/etc/ssh/sshd_config}} | {{소스헤더|/etc/ssh/sshd_config}} | ||
< | <syntaxhighlight lang='ini'> | ||
... (생략) | ... (생략) | ||
Port 22 | Port 22 | ||
Port 1234 | Port 1234 | ||
... (생략) | ... (생략) | ||
</ | </syntaxhighlight> | ||
:→ 원하는 포트 1234번를 추가하였다. | :→ 원하는 포트 1234번를 추가하였다. | ||
{{소스헤더|확인}} | {{소스헤더|확인}} | ||
< | <syntaxhighlight lang='console'> | ||
root@zetawiki:~# cat /etc/ssh/sshd_config | egrep ^\#?Port | root@zetawiki:~# cat /etc/ssh/sshd_config | egrep ^\#?Port | ||
Port 22 | Port 22 | ||
Port 1234 | Port 1234 | ||
</ | </syntaxhighlight> | ||
:→ 설정이 잘 변경되었다. | :→ 설정이 잘 변경되었다. | ||
==sshd 재시작== | ==sshd 재시작== | ||
{{참고|sshd 재시작}} | {{참고|sshd 재시작}} | ||
< | <syntaxhighlight lang='console'> | ||
root@zetawiki:~# systemctl restart ssh | root@zetawiki:~# systemctl restart ssh | ||
root@zetawiki:~# | root@zetawiki:~# | ||
</ | </syntaxhighlight> | ||
< | <syntaxhighlight lang='console'> | ||
root@zetawiki:~# netstat -tnlp | grep sshd | root@zetawiki:~# netstat -tnlp | grep sshd | ||
tcp 0 0 0.0.0.0:22 0.0.0.0:* LISTEN 10105/sshd | tcp 0 0 0.0.0.0:22 0.0.0.0:* LISTEN 10105/sshd | ||
53번째 줄: | 53번째 줄: | ||
tcp6 0 0 :::22 :::* LISTEN 10105/sshd | tcp6 0 0 :::22 :::* LISTEN 10105/sshd | ||
tcp6 0 0 :::1234 :::* LISTEN 10105/sshd | tcp6 0 0 :::1234 :::* LISTEN 10105/sshd | ||
</ | </syntaxhighlight> | ||
:→ 기본 22번 포트와 함께 1234번 포트를 LISTEN하고 있다. | :→ 기본 22번 포트와 함께 1234번 포트를 LISTEN하고 있다. | ||
==외부에서 접속시도== | ==외부에서 접속시도== | ||
{{참고|리눅스 ssh 다른 포트 접속 -p}} | {{참고|리눅스 ssh 다른 포트 접속 -p}} | ||
< | <syntaxhighlight lang='console'> | ||
[root@server1 ~]# ssh testuser@135.79.246.80 | [root@server1 ~]# ssh testuser@135.79.246.80 | ||
testuser@135.79.246.80's password: | testuser@135.79.246.80's password: | ||
</ | </syntaxhighlight> | ||
:→ 기본 포트 22번도 되고... | :→ 기본 포트 22번도 되고... | ||
< | <syntaxhighlight lang='console'> | ||
[root@server1 ~]# ssh testuser@135.79.246.80 -p1234 | [root@server1 ~]# ssh testuser@135.79.246.80 -p1234 | ||
testuser@135.79.246.80's password: | testuser@135.79.246.80's password: | ||
</ | </syntaxhighlight> | ||
:→ 새로 추가한 1234 포트도 접속된다. | :→ 새로 추가한 1234 포트도 접속된다. | ||
2021년 9월 24일 (금) 23:34 기준 최신판
- SSH 포트 추가
- sshd 포트 추가
- 리눅스 SSH 포트 추가
1 개요[ | ]
- SSH 기본 포트는 22인데 원하는 포트를 추가할 수 있다.
- SSH 포트 변경하기와 유사한데, 기존 22포트를 살려둔다는 점이 다르다.
2 현재 포트 확인[ | ]
Console
Copy
root@zetawiki:~# netstat -tnlp | grep sshd
tcp 0 0 0.0.0.0:22 0.0.0.0:* LISTEN 17396/sshd
tcp6 0 0 :::22 :::* LISTEN 17396/sshd
- → sshd 프로세스가 22포트를 LISTEN 하고 있다.
Console
Copy
root@zetawiki:~# cat /etc/ssh/sshd_config | egrep ^\#?Port
Port 22
- → 우분투의 경우, 명시적으로 기본 포트인 22번이 지정되어 있다.
- → CentOS의 경우, 주석처리되어 있지만 그래도 기본 포트인 22포트를 사용한다.
3 설정 변경[ | ]
sshd_config 파일을 편집
/etc/ssh/sshd_config
ini
Copy
... (생략)
Port 22
Port 1234
... (생략)
- → 원하는 포트 1234번를 추가하였다.
확인
Console
Copy
root@zetawiki:~# cat /etc/ssh/sshd_config | egrep ^\#?Port
Port 22
Port 1234
- → 설정이 잘 변경되었다.
4 sshd 재시작[ | ]

Console
Copy
root@zetawiki:~# systemctl restart ssh
root@zetawiki:~#
Console
Copy
root@zetawiki:~# netstat -tnlp | grep sshd
tcp 0 0 0.0.0.0:22 0.0.0.0:* LISTEN 10105/sshd
tcp 0 0 0.0.0.0:1234 0.0.0.0:* LISTEN 10105/sshd
tcp6 0 0 :::22 :::* LISTEN 10105/sshd
tcp6 0 0 :::1234 :::* LISTEN 10105/sshd
- → 기본 22번 포트와 함께 1234번 포트를 LISTEN하고 있다.
5 외부에서 접속시도[ | ]

Console
Copy
[root@server1 ~]# ssh testuser@135.79.246.80
testuser@135.79.246.80's password:
- → 기본 포트 22번도 되고...
Console
Copy
[root@server1 ~]# ssh testuser@135.79.246.80 -p1234
testuser@135.79.246.80's password:
- → 새로 추가한 1234 포트도 접속된다.
6 같이 보기[ | ]
편집자 Jmnote Jmnote bot
로그인하시면 댓글을 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