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3번째 줄: 3번째 줄:
* 국립국어원에서 만들고 국민들에게 개방된 한국어사전
* 국립국어원에서 만들고 국민들에게 개방된 한국어사전
* 일반 사용자가 어휘를 등록하고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참여형 온라인 국어사전
* 일반 사용자가 어휘를 등록하고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참여형 온라인 국어사전
*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어휘를 대폭 수록하고 어려운 풀이를 쉽게 수정하여 국민의 언어생활에 실질적인 편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일반인이 쉽게 참여할 수 있는, 위키 방식을 채용한 디지털 사전
*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신어,속어 등의 어휘를 대폭 수록하고 어려운 풀이를 쉽게 수정하여 국민의 언어생활에 실질적인 편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 《표준국어대사전》(1999)이 규범을 엄격하게 다루어야 했던 것에 비해 일상에서 사용되는 어휘 전반을 개방적으로 다루고 있으므로 신어, 속어를 비롯해 다양한 어휘를 담고있음
* 《표준국어대사전》(1999)이 규범을 엄격하게 다루어야 했기 때문에 나온 대안 사전이다.
* 한국어 학습용 다국어사전도 포함
* 한국어 학습용 다국어사전도 포함
* 2016년 10월 5일에 개통하여 시범 운영 중
* 2016년 10월 5일에 개통하여 시범 운영 중

2021년 4월 24일 (토) 14:39 판

1 개요

우리말샘, 개방형 한국어 지식 대사전
  • 국립국어원에서 만들고 국민들에게 개방된 한국어사전
  • 일반 사용자가 어휘를 등록하고 편집할 수 있는 사용자 참여형 온라인 국어사전
  •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신어,속어 등의 어휘를 대폭 수록하고 어려운 풀이를 쉽게 수정하여 국민의 언어생활에 실질적인 편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 《표준국어대사전》(1999)이 규범을 엄격하게 다루어야 했기 때문에 나온 대안 사전이다.
  • 한국어 학습용 다국어사전도 포함
  • 2016년 10월 5일에 개통하여 시범 운영 중
  • 라이선스: BY-SA (wikipedia와 같다)

2 같이 보기

3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