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분문항, 다분문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참고 자료== +==참고==))
1번째 줄: 1번째 줄:
;dichotomy, dichotomous variable, dichotomous item
;dichotomous item
;양분, 이분, 이분변수, 이분문항
;이분문항


;polychotomy, polytomous variable, polytomous item
;polytomous item
;다분, 다분변수, 다분문항
;다분문항


==이분==
==이분문항==
*측정결과값이 2가지뿐인 경우
{{참고|이분문항}}
*이분변수: 가질 수 있는 값의 종류가 2개인 변수
* 측정결과값이 2가지뿐인 문항
*이분문항: 채점시 점수가 2가지인 문항(맞음/틀림)<ref>5지선다라도 부분점수 없이 맞음/틀림으로만 채점하면 이분문항임</ref>
* 채점시 점수가 2가지인 문항(맞음/틀림)
*예: OX퀴즈, 남자/여자(성별), 동전의 면(앞면, 뒷면), 여당/여당, 홀수/짝수
* 5지선다라도 부분점수 없이 맞음/틀림으로만 채점하면 이분문항이다.
* 예: OX퀴즈


==다분==
==다분문항==
*부분점수가 있는 문항
{{참고|다분문항}}
*측정결과값이 3가지 이상인 경우
* 부분점수가 있는 문항
*다분변수: 가질 수 있는 값의 종류가 3개 이상인 변수
* 측정결과값이 3가지 이상인 문항
*다분문항: 채점시 점수가 3가지 이상인 문항(예: 응답에 따라 3,2,1,0점)<ref>부분점수가 있는 문항</ref>
* 채점시 점수가 3가지 이상인 문항(예: 응답에 따라 3, 2, 1, 0점)
*예: [[리커트 척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boolean]]
*[[문항]]
*[[표본 크기 결정]]
*[[표본 크기 결정]]
*[[리커트 척도]]
*[[이분변수, 다분변수]]
*[[이분변수, 다분변수]]
*[[문항]]
==주석==
<references/>


==참고==
==참고==

2020년 10월 24일 (토) 17:37 판

dichotomous item
이분문항
polytomous item
다분문항

1 이분문항

  • 측정결과값이 2가지뿐인 문항
  • 채점시 점수가 2가지인 문항(맞음/틀림)
  • 5지선다라도 부분점수 없이 맞음/틀림으로만 채점하면 이분문항이다.
  • 예: OX퀴즈

2 다분문항

  • 부분점수가 있는 문항
  • 측정결과값이 3가지 이상인 문항
  • 채점시 점수가 3가지 이상인 문항(예: 응답에 따라 3, 2, 1, 0점)

3 같이 보기

4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