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42번째 줄: 42번째 줄:
==참고==
==참고==
* {{위키백과}}
* {{위키백과}}
* {{다음사전}}
* {{다음백과}}
* {{다음백과}}
* {{네이버사전}}
* {{네이버백과}}
* {{네이버백과}}


[[분류: 철학]]
[[분류: 철학]][[분류: 독일]][[분류:1831년 사망]]
[[분류: 독일]]

2019년 5월 6일 (월) 16:42 판

1 개요

Georg Wilhelm Friedrich Hegel (1770~1831)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 독일의 대 철학자

 

2 저서

생전 출간
  • 《피히테와 셸링 철학체계의 차이》,(Differenz des Fichteschen und Schellingschen Systems der Philosophie, 1801) / 임석진 역(1989)
  • 정신현상학》, (Phänomenologie des Geistes, 1807) / 임석진 역(1983), 허우현 역(1970)
  • 대논리학》, (Wissenschaft der Logik, 1812-16) / 임석진 역(1994), 임석진 역(1982)
  • 철학강요》, (Enzyklopädie I-III, 1830) / 서동익 역(1983), 김계숙 역(1955), 전원배 역(1954)
    • 1권 논리학
    • 2권 자연철학 / 박병기 역(2008)
    • 3권 정신철학 / 박병기 역(2000)
  • 법철학》,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 1820) / 임석진 역(1990), 윤용탁 역(1976), 이동춘 역(1976), 윤용석 역(1972) [1]
사후 출간
  • 《종교철학》(Philosophie der Religion) : 청년 헤겔의 신학론집(정대성 역, 2005), 김종호 역(1972)
  • 역사철학강의》, (Vorlesungen über die Philosophie der Geschichte I-III, 1817) : 임석진 역(1987), 정영오 역(1983), 김종호 역(1970)
  • 미학》, (Ästhetik), 호토 전면 재편집, 두행숙 역, 1996.
    • 1820/21년 강의 : ‘예술철학으로서 미학(Ästhetik als Philosophie der Kunst)’, 아셰베르크 기록, 국내 미출간
    • 1823년 강의 : 《헤겔 예술철학》(Vorlesungen uber die Philosophie der Kunst), 호토 기록, 한동원 역, 2008.
  • 세계사의 철학》, (Philosophie der Weltgeschichte, 1824-31).
  • 《인륜성의 체계》, (1802-03) : 김준수 역
  • 《김나지움 논리학 입문》, (1808-11) : 위상복 역
  • 《철학사》(Geschichte der Philosophie) : 임석진 역
  • 《역사속의 이성》(Die Vernunft in der Geschichte) : 임석진 역(1976)
  • 《믿음과 지식》 : 황설중 역
  • 《헤겔 예나 시기 정신철학》 : 서정혁 역(2006)
  • 《행성궤도론》 : 박병기 역(2003)
  • 《변증법과 회의주의》 : 황설중 역(2003)
  • 《교수 취임 연설문》 : 서정혁 역(2004)
  • 《자연법》 : 김준수 역(2004)

3 같이 보기

4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