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의 민주주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개요== ;숙의 민주주의 *시민 간에 이루어진 공개 논증과 토론의 결과를 국가 권력의 잠정적 의사 결정 과정에 반영하는 민주주의 ==같이...)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숙의 민주주의
;deliberative democracy, discursive democracy
*시민 간에 이루어진 공개 논증과 토론의 결과를 국가 권력의 잠정적 의사 결정 과정에 반영하는 민주주의
;熟議民主主義
;숙의 민주주의, 심의 민주주의
* 숙의가 의사결정의 중심이 되는 민주주의 형식
* 여러 사람이 모여 어떤 문제를 깊이 생각하고 의논하는 숙의가 의사결정에 중심이 되는 민주주의 형식
* 시민 간에 이루어진 공개 논증과 토론의 결과를 국가 권력의 잠정적 의사 결정 과정에 반영하는 민주주의
* 단순히 투표가 아닌 실제적 숙의가 입법 과정의 적법성에 대한 매우 중요한 원천이라는 점에서 전통적 민주주의 이론과 다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숙의]]
* [[공론화]]
* [[민주주의]]
* [[민주주의]]
* [[간접 민주주의]]
* [[간접 민주주의]]
15번째 줄: 22번째 줄:
* {{네이버백과}}
* {{네이버백과}}


[[분류: 명사]]
[[분류: 민주주의]]

2018년 12월 15일 (토) 01:58 판

1 개요

deliberative democracy, discursive democracy
熟議民主主義
숙의 민주주의, 심의 민주주의
  • 숙의가 의사결정의 중심이 되는 민주주의 형식
  • 여러 사람이 모여 어떤 문제를 깊이 생각하고 의논하는 숙의가 의사결정에 중심이 되는 민주주의 형식
  • 시민 간에 이루어진 공개 논증과 토론의 결과를 국가 권력의 잠정적 의사 결정 과정에 반영하는 민주주의
  • 단순히 투표가 아닌 실제적 숙의가 입법 과정의 적법성에 대한 매우 중요한 원천이라는 점에서 전통적 민주주의 이론과 다름

2 같이 보기

3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