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군의 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R.O.K. Armed Forces Day
;R.O.K. Armed Forces Day
;國軍의
;[[國軍]]의
;국군의 날
;국군의 날
* 10월 1일
* 10월 1일
28번째 줄: 28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대한민국 국군]]
* [[대한민국 국군]]
*[[주한미군]](USFK)
* [[주한미군]](USFK)
*[[한국의 기념일]]
* [[한국의 기념일]]


==참고==
==참고==
* 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97130
* http://www.newdaily.co.kr/news/article.html?no=97130
* https://ko.wikipedia.org/wiki/%EA%B5%AD%EA%B5%B0%EC%9D%98_%EB%82%A0
* {{위키백과}}


[[분류: 기념일]]
[[분류: 기념일]]
[[분류: 10월]]
[[분류: 10월]]
[[분류: 國]][[분류: 軍]]

2018년 10월 3일 (수) 00:52 판

1 개요

R.O.K. Armed Forces Day
國軍의 날
국군의 날
  • 10월 1일
  • 대한민국 국군의 창설 기념일
  • 국군의 위용과 발전을 기리기 위한 기념일

 

 

2 국군의 날 제정 경과

  • 육군의 날(10월 2일)
  • 공군의 날(10월 1일)
  • 해군의 날(11월 11일)을 하나로 합쳐 1956년에 제정
  • 1950년 6·25전쟁 때 동부전선에서 육군 제3사단이 앞장서 38선을 돌파, 진격한 날인 10월 1일을 국군의 날로 선정

3 국군의 날 의의와 주요행사

  • 국군의 새로운 위상과 참모습 적극 홍보 및 장병의 사기 진작과 유비무환의 총력 안보 태세 확립
  • 대군 신뢰감 고취와 민·군 유대 강화로 자주국방과 안보의식 고양
  • 사열
  • 시범 전투 등 각종 행사

4 국군의 날의 논란

  • 국군의 날을,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을 이어받는 헌법정신을 따라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광복군을 처음 만든 9월 17일(1940년)로 하는 것이 옳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많다.
  • 기타, 청산리 대첩 발발일인 10월 21일(1920년) 혹은 13도 창의군이 한성 탈환 작전을 개시한 날인 1월 30일(1908년)로 하자는 주장도 있다

5 같이 보기

6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