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6번째 줄: 6번째 줄:
* 문화를 진화하는 적응시스템이라고 간주할 때, 문화에서 생물의 유전자에 해당되는 복제자
* 문화를 진화하는 적응시스템이라고 간주할 때, 문화에서 생물의 유전자에 해당되는 복제자
* 한 사람이나 집단에게서 다른 지성으로 생각 혹은 믿음이 전달될 때 전달되는 모방 가능한 사회적 단위
* 한 사람이나 집단에게서 다른 지성으로 생각 혹은 믿음이 전달될 때 전달되는 모방 가능한 사회적 단위
* 리처드 도킨스의 1976년 책 〈이기적 유전자〉에서 문화의 진화를 설명할 때 처음 등장한 용어
* 유전자처럼 개체의 기억에 저장되거나 다른 개체의 기억으로 복제될 수 있는 비유전적 문화요소 또는 문화의 전달단위
* 리처드 도킨스의 1976년 책 〈[[이기적 유전자]]〉에서 문화의 진화를 설명할 때 처음 등장한 용어
* 어원: 그리스어 'mimena' {{해석|모방}}
* 어원: 그리스어 'mimena' {{해석|모방}}


18번째 줄: 19번째 줄:
* [[biosemiotics]]
* [[biosemiotics]]
* [[Baldwin 효과]]
* [[Baldwin 효과]]
* [[이기적 유전자]]
* [[입소문 마케팅]]
* [[입소문 마케팅]]
* [[이중상속 이론]](dual inheritance theory)
* [[이중상속 이론]](dual inheritance theory)

2018년 9월 23일 (일) 00:52 판

1 개요

meme
밈 /miːm/
  • 모방에 의해 전파되는 문화 정보의 단위
  • 광고, 패션, 사상 등 다른 사람에 대한 모방을 통해 습득되는 문화적 요소
  • 문화를 진화하는 적응시스템이라고 간주할 때, 문화에서 생물의 유전자에 해당되는 복제자
  • 한 사람이나 집단에게서 다른 지성으로 생각 혹은 믿음이 전달될 때 전달되는 모방 가능한 사회적 단위
  • 유전자처럼 개체의 기억에 저장되거나 다른 개체의 기억으로 복제될 수 있는 비유전적 문화요소 또는 문화의 전달단위
  • 리처드 도킨스의 1976년 책 〈이기적 유전자〉에서 문화의 진화를 설명할 때 처음 등장한 용어
  • 어원: 그리스어 'mimena' → 모방

2 같이 보기

3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