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Soto"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시그너처)
잔글 (onlyinclude 추가. onlyinclude 부분이 풀어진 문서 부분입니다. 끼워넣을 곳에 {{사용자:Soto}} 넣으시면 해당 부분이 끼워넣어집니다.)
18번째 줄: 18번째 줄:
=미완성된 [[VestaCP]] 문서 풀기=
=미완성된 [[VestaCP]] 문서 풀기=
현재 대규모의 수정 작업을 하시다가 아직 미완성 상태가 된 [[VestaCP]] 문서를 여기에 풀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한줄잡담을 참조하십시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해당 문서가 되돌려질 수도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현재 대규모의 수정 작업을 하시다가 아직 미완성 상태가 된 [[VestaCP]] 문서를 여기에 풀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한줄잡담을 참조하십시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해당 문서가 되돌려질 수도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onlyinclude>
==개요==
==개요==
;VESTA Control Panel, Vesta Control Panel (VestaCP)
;VESTA Control Panel, Vesta Control Panel (VestaCP)
243번째 줄: 244번째 줄:


[[분류: 웹서버 관리 소프트웨어]]
[[분류: 웹서버 관리 소프트웨어]]
</onlyinclude>
- '''[[User:PlavorSeol|PlavorSeol]]''' | [[User talk:PlavorSeol|T]] | [[Special:Contributions/PlavorSeol|C]] 2018년 7월 11일 (수) 02:20 (KST)
- '''[[User:PlavorSeol|PlavorSeol]]''' | [[User talk:PlavorSeol|T]] | [[Special:Contributions/PlavorSeol|C]] 2018년 7월 11일 (수) 02:20 (KST)

2018년 7월 11일 (수) 02:24 판

Soto(せいあそと{セイアソト}) is the student who is developing with small base as well. Learner, writer, translator and illustrator(in web designing).

작은 서버를 운영하고 여러가지를 개발하고 있는 학생이에요. 웹개발을 첫 시작으로 취미로서 또는 진로로서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JavaScript, PHP, SQL, HTML, CSS, Debian 등의 문법을 다룬답니다.

현 제타위키는 제가 때때로 개발 시 잊은 명령들을 다시 기억나게끔 찾아오고 있어요. 그 전에는 위키를 편집한 적도 없고 또한 새로운 문서를 만든 적도 없습니다. 그 이후로도 그럴 거고요.

이 제타위키에는 저의 유지보수 그 자체 그리고 위키의 기본적인 지식의 공유 (위키러의 활동이 아닌)를 목적으로 가끔씩 찾아와 부족한 내용을 보충하며 활동할거예요. 본인은 위키에 대해서 약간의 선입견이 들어있지만 이 위키에서는 유일하게 그 선입견이 사라지는 공간이기도 해요. 다른 혼잡한 위키와 다르게 말이죠.

잘 부탁드려요~

1 미완성된 VestaCP 문서 풀기

현재 대규모의 수정 작업을 하시다가 아직 미완성 상태가 된 VestaCP 문서를 여기에 풀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한줄잡담을 참조하십시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해당 문서가 되돌려질 수도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1.1 개요

VESTA Control Panel, Vesta Control Panel (VestaCP)
베스타 컨트롤 패널, 베스타 제어판, 베스타CP

 

 

1.2 현재 알려진 이슈 또는 오류

이 문단을 VestaCP 트러블슈팅 문서로 분리할 것을 건의드립니다.
  • 분리예정

1.3 설치

VestaCP를 리눅스 서버에 설치합니다. 여기에서 설치 스크립트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조건 최소 요구 사항 (VPS에 설치 기준)
CPU 1Ghz 이상의 싱글코어 프로세서
RAM 512MB 이상의 RAM
운영체제 VestaCP 설치에 필요한 운영체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 RHEL / CentOS: 5, 6, 7
  • Debian: 7, 8, 9
  • Ubuntu: 12.04 to 17.04

1.4 기능

VestaCP는 8083번 포트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1.4.1 서버관리

서버관리는 admin 계정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1단계 상단 메뉴바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1.4.1.1 패키지 (package)

localhost:8083/list/package/

패키지는 사용자당 할당받는 월별허용량이며 여러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admin계정은 이 규칙을 무시합니다.

1.4.1.1.1 패키지 추가하기

각 사용자들에게 할당할 패키지를 추가합니다. 기본적으로 default 설정은 대부분의 PHP 애플리케이션을 작동할 수 있게 해줍니다.

규칙 조건
패키지 이름 영문으로 작성해야 하며 생성한 이후에는 편집이 불가능합니다.
웹 템플릿 엔진의 설정을 CMS에 최적화 또는 맞추어진 것으로 설정합니다.
백엔드 템플릿 (PHP-FPM) PHP의 설정을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한 것으로 설정합니다.
DNS 템플릿 (bind9) DNS의 설정을 애플리케이션이 필요한 것으로 설정합니다.
SSH 접근 사용자가 sFTP 또는 SSH로 서버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을 설정합니다. nologin으로 설정하면 접근이 불가능합니다.
웹 템플릿 추가가능한 웹 사이트의 개수이며 VestaCP에서는 서브도메인을 따로 다루지 않기 때문에 서브도메인도 1개의 사이트로 취급합니다.
웹 별칭 추가한 웹사이트의 별칭 사이트입니다. 예를 들어 www.domain.tlddomain.tld에 별칭으로 추가합니다.
DNS 도메인 서버의 DNS로 관리할 수 있는 도메인의 개수입니다.
DNS 기록 (도메인마다) 도메인 당 추가할 수 있는 DNS 레코드의 개수입니다.
메일 도메인 추가가능한 메일 도메인의 개수입니다.
메일 계정 (도메인마다) 추가한 메일 도메인마다 설정할 수 있는 계정(admin@domain.tld)의 개수입니다.
데이터베이스 추가가능한 데이터베이스의 개수입니다. MySQL과 pgSQL(설치했다면) 데이터베이스의 개수를 따로 설정할 수는 없습니다.
Cron 작업 추가가능한 시스템 Cron의 개수입니다.
한도 (메가바이트 단위) 메가바이트 단위로 사용가능한 디스크 사용량입니다.
대역폭 (메가바이트 단위) 메가바이트 단위로 사용가능한 대역폭 사용량(웹호스팅에서 보통 트래픽이라 표기)입니다.
네임서버 등록할 네임서버들입니다.
1.4.1.1.2 패키지 삭제하기

추가한 패키지를 삭제합니다.

1.4.1.1.3 패키지 수정하기

추가한 패키지를 수정합니다. 패키지의 이름은 변경할 수 없습니다. 나머지 항목은 위와 같습니다.

1.4.1.2 IP

localhost:8083/list/ip/

서버에서 사용할 IP들의 목록입니다. 기본적으로 1개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1.4.1.2.1 IP 추가하기

서버에서 사용할 IP를 추가합니다.

규칙 조건
IP 주소 사용할 IP 주소입니다.
넷마스크 사용할 넷마스크입니다.
인터페이스 사용할 네트워크 장치입니다. 노트북인 경우 무선 인터페이스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공유된 체크하지 않으면 특정한 사용자에게 IP를 할당합니다.
부여된 도메인 특정한 도메인에게 IP를 할당합니다.
NAT IP 모음 해석될 IP입니다. 패시브 FTP에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4.1.2.2 IP 삭제하기

IP를 삭제합니다.

1.4.1.2.3 IP 수정하기

추가한 IP를 수정합니다. 설정은 추가할 때와 같습니다.

1.4.1.3 그래프 (RRD)

localhost:8083/list/rrrd/

서버의 현재 상태를 보여주며 일정 시간마다 새로고침됩니다.

1.4.1.4 통계 (Stats)

localhost:8083/list/stats/

서버의 월별 사용량을 간략히 보여줍니다.

1.4.1.5 기록 (Log)

localhost:8083/list/log/

서버에서 사용자가 어떤 활동을 했는지 보여줍니다.

1.4.1.6 업데이트 (Updates)

localhost:8083/list/updates/

서버에 설치된 PHP 및 엔진, 패널을 업데이트할 수 있습니다.

1.4.1.7 방화벽 (Firewall)

localhost:8083/list/firewall/

서버에 입출하는 패킷을 허용할지 결정합니다.

1.4.1.7.1 방화벽 규칙 추가하기

서버에서 허가 또는 거부할 규칙을 추가합니다.

규칙 조건
동작 해당 규칙에 일치하는 패킷이 도착했을때 실행하는 동작입니다.
프로토콜 어떤 프로토콜로 접근할 때를 지정합니다.
포트 포트 규칙을 범위 또는 정수로 지정합니다.
IP 주소 CDIR 형식을 지원하며 해당 규칙에 일치할 IP 주소를 지정합니다.
댓글 간단한 설명을 추가합니다.
1.4.1.7.2 방화벽 규칙 삭제

서버에서 사용할 방화벽 규칙을 삭제합니다.

1.4.1.7.3 방화벽 규칙 수정

방화벽 규칙을 수정합니다. 설정은 추가할 때와 같습니다.

1.4.1.8 서버 (Server)

localhost:8083/list/server/

서버를 구성하고 제어합니다. 또한 VestaCP에서 사용할 패키지를 활성화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습니다.

1.4.1.8.1 서버 구성

서버를 구성하는 패키지를 제어합니다.

  • 추가바람

1.5 같이 보기

1.6 참고

- PlavorSeol | T | C 2018년 7월 11일 (수) 02:20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