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션 캡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개요== ; ; ; * * * ==같이 보기== * 같이보기 * 같이보기 * 같이보기 * 같이보기 ==참고== * {{위키백과}} * {{다음사전}} * {{다음백...)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
;
;
;motion capture
;
;모션 캡처
*
*실제 물체의 움직임을 수치적 데이터로 저장하였다가 컴퓨터로 만든 가장의 물체에 모션데이터를 넘겨주는 과정
*
* 몸에 센서를 부착시키거나, 적외선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인체의 움직임을 디지털 형태로 기록하는 작업
*  
* 1980년대 들어 컴퓨터를 이용하면서 인간의 동작분석이 학문적으로 시작 됐음
* 신체에 센서를 부착한 뒤에 위치값을 통해 가상캐릭터가 움직이게 하는 기술의 핵심
 
 
==사례==
* 《반지의 제왕》에 등장한 골룸
* 영화 《리얼 스틸》에 나타나는 로봇의 제어 방식
*병원 재활의학과에서 환자의 보행을 교정하거나, 체육선수들의 자세 교정
*감정표현을 위한 얼굴표정까지 3D데이터로 추출하여 보다 빠르고 자연스럽게 캐릭터의 움직임을 제작
 
== 모션 캡처 시스템의 종류 ==
 
=== 마그네틱 와이어 방식 ===
마그네틱 와이어 방식은 액터(Actor : 동작연기자)의 각 관절 부위에 자석형의 센서를 부착하여 센서의 스텝을 파악하여 모션을 샘플링하는 방식이다
 
=== 적외선 리플렉터 방식 ===
적외선 리플렉터 방식은 그 개념이 마그네틱 와이어 방식과 비슷하지만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동작연기자의 관절 부위의 마커를 6∼8개의 카메라가 2차원적으로 포착하여 그 움직임을 3차원적으로 추적하여 모션을 캡처하는 방식이다.
 
=== 푸펫 ===
전통적인 애니메이션에는 인형을 이용하는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이라는 기법이 있다. 푸펫은 이러한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을 이용하는 모션 캡처 기법이다. 실제 인형에 센서를 부착해 놓은 후, 사람이 인형을 움직여가며 애니메이션을 만들면 그 움직임을 센서가 기록하여 모션 캡처를 하는 방식이다.  그외 정의 정보로는 김지수 교수의 한국컴퓨터게임 학회 학술에서 잠시나마 귀를 터볼 수 있다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같이보기]]
* [[컴퓨터 그래픽 연산기술]]
* [[같이보기]]
* [[모션데이터]]
* [[같이보기]]
* [[가상캐릭터]]
* [[같이보기]]
* [[3D데이터]]


==참고==
==참고==
* {{위키백과}}
* {{위키백과}}
* {{다음사전}}
* {{다음백과}}
* {{네이버사전}}
* {{네이버백과}}


[[분류: 국사]]
[[분류: 컴퓨터 애니메이션]]
[[분류: 세계사]]
[[분류: 3차원 컴퓨터 그래픽스]]
[[분류: 명사]]
[[분류: 모션 캡처]]
[[분류: 명사]]

2017년 8월 9일 (수) 23:29 기준 최신판

1 개요[ | ]

motion capture
모션 캡처
  • 실제 물체의 움직임을 수치적 데이터로 저장하였다가 컴퓨터로 만든 가장의 물체에 모션데이터를 넘겨주는 과정
  • 몸에 센서를 부착시키거나, 적외선을 이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인체의 움직임을 디지털 형태로 기록하는 작업
  • 1980년대 들어 컴퓨터를 이용하면서 인간의 동작분석이 학문적으로 시작 됐음
  • 신체에 센서를 부착한 뒤에 위치값을 통해 가상캐릭터가 움직이게 하는 기술의 핵심


2 사례[ | ]

  • 《반지의 제왕》에 등장한 골룸
  • 영화 《리얼 스틸》에 나타나는 로봇의 제어 방식
  • 병원 재활의학과에서 환자의 보행을 교정하거나, 체육선수들의 자세 교정
  • 감정표현을 위한 얼굴표정까지 3D데이터로 추출하여 보다 빠르고 자연스럽게 캐릭터의 움직임을 제작

3 모션 캡처 시스템의 종류[ | ]

3.1 마그네틱 와이어 방식[ | ]

마그네틱 와이어 방식은 액터(Actor : 동작연기자)의 각 관절 부위에 자석형의 센서를 부착하여 센서의 스텝을 파악하여 모션을 샘플링하는 방식이다

3.2 적외선 리플렉터 방식[ | ]

적외선 리플렉터 방식은 그 개념이 마그네틱 와이어 방식과 비슷하지만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동작연기자의 관절 부위의 마커를 6∼8개의 카메라가 2차원적으로 포착하여 그 움직임을 3차원적으로 추적하여 모션을 캡처하는 방식이다.

3.3 푸펫[ | ]

전통적인 애니메이션에는 인형을 이용하는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이라는 기법이 있다. 푸펫은 이러한 스톱 모션 애니메이션을 이용하는 모션 캡처 기법이다. 실제 인형에 센서를 부착해 놓은 후, 사람이 인형을 움직여가며 애니메이션을 만들면 그 움직임을 센서가 기록하여 모션 캡처를 하는 방식이다. 그외 정의 정보로는 김지수 교수의 한국컴퓨터게임 학회 학술에서 잠시나마 귀를 터볼 수 있다

4 같이 보기[ | ]

5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