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사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8번째 줄: 8번째 줄:
* 집단구성원들이 대안에 대한 충분한 분석 및 토론이 없이 쉽게 합의하고 그 대안이 최선이라고 믿고 합리화하려고 하는 현상
* 집단구성원들이 대안에 대한 충분한 분석 및 토론이 없이 쉽게 합의하고 그 대안이 최선이라고 믿고 합리화하려고 하는 현상
* 집단사고에 빠지게 되면 조직구성원들은 새로운 정보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해 상황적응 능력이 떨어지게 됨
* 집단사고에 빠지게 되면 조직구성원들은 새로운 정보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해 상황적응 능력이 떨어지게 됨
* 강한 '우리(We) 의식' 속에 쌓여 있을수록 집단사고의 발생 가능성은 높아짐
:오만과 편견에 빠져 잘못된 결정을 할 수 있음
* 강한 '우리(We) 의식' 속에 쌓여 있을수록 집단사고 발생가능성이 높아짐
:만장일치의 환상 속에 집단의 결정에 동조하지 않는 의견이나 태도를 배척하는 경향이 있기
:만장일치의 환상 속에 집단의 결정에 동조하지 않는 의견이나 태도를 배척하는 경향이 있기
* 권위주의적 리더가 있을 때에도 리더의 의견에 반대하지 못해 집단사고 발생가능성이 높아짐
* 권위주의적 리더가 있을 때에 리더의 의견에 반대하지 못해 집단사고 발생가능성이 높아짐


==같이 보기==
==같이 보기==

2017년 2월 16일 (목) 11:28 판

1 개요

groupthink
集團思考
집단사고
  • 의사결정 과정에 나타나는 '집단착각 현상'
  • 응집력 있는 집단들의 조직원들이 갈등을 최소화하며, 의견의 일치를 유도하여 비판적인 생각을 하지 않는 것
  • 응집력이 높은 소규모 의사결정 집단에서 대안의 분석 및 이의 제기를 억제하고 합의를 쉽게 이루려고 하는 심리적 경향
  • 집단구성원들이 대안에 대한 충분한 분석 및 토론이 없이 쉽게 합의하고 그 대안이 최선이라고 믿고 합리화하려고 하는 현상
  • 집단사고에 빠지게 되면 조직구성원들은 새로운 정보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해 상황적응 능력이 떨어지게 됨
오만과 편견에 빠져 잘못된 결정을 할 수 있음
  • 강한 '우리(We) 의식' 속에 쌓여 있을수록 집단사고 발생가능성이 높아짐
만장일치의 환상 속에 집단의 결정에 동조하지 않는 의견이나 태도를 배척하는 경향이 있기
  • 권위주의적 리더가 있을 때에 리더의 의견에 반대하지 못해 집단사고 발생가능성이 높아짐

2 같이 보기

3 참고 자료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