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조 국소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locality of reference, principle of locality
;locality of reference, principle of locality
;참조 국부성, 참조 국소성
;참조 국부성, 참조 국소성, 참조의 국소성
*1개의 자원에 여러 번 접근하는 처리에 관한 정보공학 개념
* 1개의 자원에 여러번 접근하는 처리에 관한 정보공학 상의 개념


==종류==
==종류==
어떤 자원이 한번 참조되면...
{| class='wikitable'
*시간 국부성(temporal locality): 가까운 미래에 다시 참조될 가능성이 높음(예: 순환, 서브루틴, 스택)
| 시간 국소성 || temporal locality || 어느 시기에서 참조된 자원은 가까운 미래에 다시 참조될 가능성이 높음(예: 순환, 서브루틴, 스택)
*공간 국부성(spatial locality): 그 근처의 자원이 참조될 가능성이 높음(예: 배열)
|-
**순차 국부성(sequential locality): 메모리에 순차 접근함<ref>공간 국부성의 하나</ref>
| 공간 국소성 || spatial locality || 어떤 자원이 참조되면 그 근처의 자원이 참조될 가능성이 높음(예: 배열)
|-
| 순차 국소성 || temporal locality || 메모리를 순차적으로 참조할 가능성이 높음(공간 국소성의 일종)
|}


==같이 보기==
==같이 보기==
*[[메모리 계층]]
* [[버스트 모드]]
*[[버스트 모드]]
* [[메모리 계층]]
*[[PGAS]]
* [[메모리 접근 패턴]]
* [[파일시스템 단편화]]
* [[PGAS]]


==주석==
==주석==

2017년 2월 1일 (수) 13:36 판

1 개요

locality of reference, principle of locality
참조 국부성, 참조 국소성, 참조의 국소성
  • 1개의 자원에 여러번 접근하는 처리에 관한 정보공학 상의 개념

2 종류

시간 국소성 temporal locality 어느 시기에서 참조된 자원은 가까운 미래에 다시 참조될 가능성이 높음(예: 순환, 서브루틴, 스택)
공간 국소성 spatial locality 어떤 자원이 참조되면 그 근처의 자원이 참조될 가능성이 높음(예: 배열)
순차 국소성 temporal locality 메모리를 순차적으로 참조할 가능성이 높음(공간 국소성의 일종)

3 같이 보기

4 주석


5 참고 자료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