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8s metadata"의 두 판 사이의 차이

36번째 줄: 36번째 줄:
* [[k8s 어노테이션]]
* [[k8s 어노테이션]]
* [[k8s 네임스페이스]]
* [[k8s 네임스페이스]]
* [[k8s 매니지드필드]]
* [[k8s 레이블 vs 어노테이션]]
* [[k8s 레이블 vs 어노테이션]]
}}
}}

2025년 9월 7일 (일) 19:11 판

1 개요

쿠버네티스 메타데이터
Kubernetes Metadata
  • 쿠버네티스의 모든 리소스 객체(Pod, Service, Deployment, ConfigMap 등)는 공통적으로 metadata라는 필드를 가진다.
  • 메타데이터는 객체를 식별·분류·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제공하며, spec(동작 정의), status(실행 상태)와 함께 객체를 구성하는 3대 요소 중 하나이다.

2 주요 필드

  • name – 리소스의 고유 이름. 네임스페이스 내에서 유일해야 한다.
  • namespace – 리소스를 구분하는 논리적 단위. 기본값은 default.
  • labels – 키-값 쌍으로 구성된 태그. 리소스 그룹핑, 선택(Selector) 등에 사용된다.
  • annotations – 키-값 쌍의 부가 정보. 시스템보다는 사용자나 도구가 참고한다.
  • uid – 리소스 생성 시 부여되는 고유 식별자(UUID). 삭제 후 재생성 시 값이 바뀐다.
  • resourceVersion – 객체가 갱신될 때마다 변경되는 버전 값. 옵티미스틱 락 등에 사용된다.
  • creationTimestamp – 리소스가 생성된 시각.

3 예시

apiVersion: v1
kind: Pod
metadata:
  name: myapp-pod
  namespace: prod
  labels:
    app: myapp
    tier: backend
  annotations:
    prometheus.io/scrape: "true"

4 같이 보기

5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