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리안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번째 줄: 2번째 줄:
;圍籬安置
;圍籬安置
;위리안치
;위리안치
* 중죄인에 대한 유배형 중의 하나
* 귀양을 간 죄인이 달아나지 못하도록 가시로 울타리를 만들고 그 안에 가우어 둠
* 귀양을 간 죄인이 달아나지 못하도록 가시로 울타리를 만들고 그 안에 가우어 둠
* 유배된 죄인이 거처하는 집 둘레에 가시로 울타리를 치고 그 안에 가두어 두던 일
* 유배된 죄인이 거처하는 집 둘레에 가시로 울타리를 치고 그 안에 가두어 두던 일
* 죄인을 배소에서 달아나지 못하게 하기 위해 귀양간 곳의 집 둘레에 가시가 많은 탱자나무를 돌리고 그 안에 사람을 가둔다.
* 탱자나무는 전라남도에 많았기 때문에, 대개 죄인들은 전라도 지역의 섬에 유배되었다.
== 사례 ==
===연산군===
[[1506년]] 연산군이 폐위되어 강화도 교동에 위리안치되었다.
===영창대군===
[[1613년]] [[광해군]] 5년 [[영창대군]]을 강화도에 위리안치하였다. 이듬해 [[1614년]] [[이이첨]] 일파가 강화부사 [[정항]]을 시켜 영창대군을 증살하였는데 이때 영창대군의 나이 9세였다. [[1615년]]에는 [[능창군]]을 교동에 위리안치하였다.
===광해군===
[[1623년]] [[광해군]]도 폐위 후 광해군과 폐비 유씨, 폐세자 [[이질]]과 폐세자빈 박씨 등 네 사람은 강화도에 위리안치 되었다.
===김귀주===
[[혜경궁]]에게 문안을 드리지 않았다는 표면적인 죄상으로 [[흑산도]]에 유배시키고 실제 이유는 과거 외조부 [[홍봉한]]을 공격한 데 있음을 밝혔다. [[1779년]]에는 [[홍국영]]에 의해 더 높은 형벌인 [[흑산도]]로 위리안치에 처해졌다.


== 참고 ==
== 참고 ==

2024년 2월 18일 (일) 20:29 판

1 개요

圍籬安置
위리안치
  • 중죄인에 대한 유배형 중의 하나
  • 귀양을 간 죄인이 달아나지 못하도록 가시로 울타리를 만들고 그 안에 가우어 둠
  • 유배된 죄인이 거처하는 집 둘레에 가시로 울타리를 치고 그 안에 가두어 두던 일
  • 죄인을 배소에서 달아나지 못하게 하기 위해 귀양간 곳의 집 둘레에 가시가 많은 탱자나무를 돌리고 그 안에 사람을 가둔다.
  • 탱자나무는 전라남도에 많았기 때문에, 대개 죄인들은 전라도 지역의 섬에 유배되었다.

2 사례

2.1 연산군

1506년 연산군이 폐위되어 강화도 교동에 위리안치되었다.

2.2 영창대군

1613년 광해군 5년 영창대군을 강화도에 위리안치하였다. 이듬해 1614년 이이첨 일파가 강화부사 정항을 시켜 영창대군을 증살하였는데 이때 영창대군의 나이 9세였다. 1615년에는 능창군을 교동에 위리안치하였다.

2.3 광해군

1623년 광해군도 폐위 후 광해군과 폐비 유씨, 폐세자 이질과 폐세자빈 박씨 등 네 사람은 강화도에 위리안치 되었다.

2.4 김귀주

혜경궁에게 문안을 드리지 않았다는 표면적인 죄상으로 흑산도에 유배시키고 실제 이유는 과거 외조부 홍봉한을 공격한 데 있음을 밝혔다. 1779년에는 홍국영에 의해 더 높은 형벌인 흑산도로 위리안치에 처해졌다.

3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