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도 례 禮"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한자 정보 |UTF8=U+79AE |한자=禮 |속자= |간자= |부수=示 |훈음=예도 례(예) |음독=RAI, REI |훈독=OJIGI, REI |병음= |총획=18 |나머지획=13 |한국어=예...)
 
잔글 (봇: 중학용을(를) 중학용 한자(으)로 분류 대체함)
30번째 줄: 30번째 줄:
==참고==
==참고==
{{한자참고}}
{{한자참고}}
[[분류: 한자]]
 
[[분류: 중학용]]
[[분류:한자]]
[[분류: 읽기6급]]
[[분류:중학용 한자]]
[[분류: 쓰기5급]]
[[분류:읽기6급]]
[[분류:쓰기5급]]

2017년 10월 3일 (화) 00:23 판


예도 례(예)
부수 부수 示
총획/획수 18획 / 13획
훈음 예도 례(예)
일본어 음독 RAI, REI
일본어 훈독 OJIGI, REI
중국어 병음 [1] [2]
유니코드 U+79AE

1 의미

예도, 예절, 절, 인사, 예물
social custom; manners; courtesy; rites


2 목록

  • 1음절 한자어

()

  • 2음절 한자어

禮儀(예의)儀禮(의례)禮節(예절)主禮(주례)洗禮(세례)禮拜(예배)葬禮(장례)巡禮(순례)失禮(실례)禮式(예식)婚禮(혼례)禮遇(예우)目禮(목례)禮佛(예불)答禮(답례)拜禮(배례)禮服(예복)禮義(예의)禮法(예법)禮物(예물)終禮(종례)家禮(가례)嘉禮(가례)缺禮(결례)禮意(예의)典禮(전례)祭禮(제례)賀禮(하례)冠禮(관례)禮訪(예방)禮讚(예찬)無禮(무례)謝禮(사례)禮待(예대)吉禮(길례)儺禮(나례)茶禮(다례)殯禮(빈례)喪禮(상례)禮堂(예당)禮度(예도)禮說(예설)五禮(오례)凶禮(흉례)敬禮(경례)軍禮(군례)大禮(대례)三禮(삼례)常禮(상례)宴禮(연례)禮敬(예경)禮規(예규)禮論(예론)禮部(예부)禮書(예서)禮俗(예속)禮典(예전)禮曹(예조)禮砲(예포)禮學(예학)揖禮(읍례)醮禮(초례)虛禮(허례)

  • 3음절 한자어

葬禮式(장례식)禮式場(예식장)婚禮式(혼례식)儀禮的(의례적)相見禮(상견례)禮拜堂(예배당)巡禮者(순례자)賀禮式(하례식)主禮辭(주례사)醮禮廳(초례청)賀禮客(하례객)巡禮地(순례지)祭禮樂(제례악)親迎禮(친영례)禮讚論(예찬론)大禮式(대례식)謝禮金(사례금)禮佛堂(예불당)敎禮會(교례회)儺禮戱(나례희)謝禮法(사례법)謝禮史(사례사)上揖禮(상읍례)洗禮者(세례자)禮敎化(예교화)禮拜者(예배자)葬禮法(장례법)葬禮業(장례업)主禮席(주례석)中揖禮(중읍례)最敬禮(최경례)浸禮敎(침례교)賀禮會(하례회)下揖禮(하읍례)鄕射禮(향사례)

  • 4음절 한자어

擧手敬禮(거수경례)禮儀凡節(예의범절)克己復禮(극기복례)禮讚論者(예찬론자)國民儀禮(국민의례)儺禮都監(나례도감)禮俗相交(예속상교)儀禮服化(의례복화)儀禮主義(의례주의)再洗禮派(재세례파)前官禮遇(전관예우)茶禮用品(차례용품)鄕飮酒禮(향음주례)

  • 5음절 한자어

仁義禮智信(인의예지신)

3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