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할 화 和"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惒{{한자 정보 |UTF8=U+548C |한자=和 |속자=惒 |간자= |부수=口 |훈음=화할 화 |음독=KA, WA |훈독=NAGOMU, NAGOYAKA, YAWARAGU |병음=hé |총획=8 |나머지획=3...)
 
잔글 (봇: 중학용을(를) 중학용 한자(으)로 분류 대체함)
28번째 줄: 28번째 줄:
==참고==
==참고==
{{한자참고}}
{{한자참고}}
[[분류: 한자]]
 
[[분류: 중학용]]
[[분류:한자]]
[[분류: 읽기6급II]]
[[분류:중학용 한자]]
[[분류: 쓰기5급II]]
[[분류:읽기6급II]]
[[분류:쓰기5급II]]

2017년 9월 10일 (일) 23:32 판


화할 화
부수 부수 口
총획/획수 8획 / 3획
훈음 화할 화
일본어 음독 KA, WA
일본어 훈독 NAGOMU, NAGOYAKA, YAWARAGU
중국어 병음 [1] [2]
유니코드 U+548C

1 의미

화하다, 화목하다, 온화하다, 순하다, 화해하다
harmony, peace; peaceful, calm


2 목록

  • 2음절 한자어

調和(조화)緩和(완화)不和(불화)講和(강화)中和(중화)人和(인화)宥和(유화)共和(공화)水和(수화)融和(융화)同和(동화)

  • 3음절 한자어

共和國(공화국)不調和(부조화)違和感(위화감)中和領(중화령)大和合(대화합)調和性(조화성)不協和(불협화)三和音(삼화음)共和政(공화정)調和美(조화미)調和體(조화체)大和解(대화해)不飽和(불포화)宥和的(유화적)調和感(조화감)共和制(공화제)不和說(불화설)雙和茶(쌍화차)雙和湯(쌍화탕)緩和劑(완화제)宥和策(유화책)融和的(융화적)調和力(조화력)調和的(조화적)中和劑(중화제)

  • 4음절 한자어

不協和音(불협화음)家庭不和(가정불화)減三和音(감삼화음)短三和音(단삼화음)母音調和(모음조화)宥和論者(유화론자)長三和音(장삼화음)增三和音(증삼화음)減七和音(감칠화음)短七和音(단칠화음)附和雷同(부화뇌동)長七和音(장칠화음)調和論的(조화론적)調和式法(조화식법)調和主義(조화주의)

  • 5음절 한자어

共和主義者(공화주의자)

3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