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블릭클라우드, 프라이빗클라우드, 하이브리드클라우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참고 자료== +==참고==))
26번째 줄: 26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오케스트레이션]]
* [[오케스트레이션]]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 [[클라우드 관리 플랫폼]]
*[[가상 프라이빗 클라우드 VPC]]
* [[가상 프라이빗 클라우드 VPC]]
*[[하이브리드]]
* [[온프레미스, 오프프레미스]]
*[[클라우드]]
* [[하이브리드]]
* [[클라우드]]


==참고==
==참고==
*http://korea.emc.com/corporate/glossary/hybrid-cloud.htm
*http://korea.emc.com/corporate/glossary/hybrid-cloud.htm
[[분류: Cloud]]
[[분류: Cloud]]

2017년 7월 24일 (월) 17:15 판

public cloud
공중 클라우드, 공용 클라우드, 퍼블릭 클라우드
private cloud
사설 클라우드, 프라이빗 클라우드
hybrid cloud
혼합 클라우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1 퍼블릭 클라우드

  • 사외 설비를 이용하는 클라우드
  • 외부의 공급업체에서 IT 자원을 제공받는 방식
  • 보통 시간당 사용량과 트래픽 기준으로 비용이 청구됨

2 프라이빗 클라우드

  • 사내 설비를 이용하는 클라우드
  • 자체 보유한 설비를 사용하는 클라우드
  • 조직 내 IT부서로부터 IT 자원을 제공받는 방식
  • 조직에서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리소스

3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 공중 클라우드 + 사설 클라우드
  • 공용 클라우드와 사설 클라우드 간에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을 공유할 수 있는 기술
  • 조직에 필요한 IT자원 중, 일부는 사내 클라우드를 이용하고, 일부는 공중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
  • 사설 클라우드와 공용 클라우드 간에 데이터와 응용 프로그램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유연성과 다양한 배포 옵션 제공

4 같이 보기

5 참고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