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개키인증서, SSL인증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 참고 자료 == +==참고==))
 
38번째 줄: 38번째 줄:


==참고==
==참고==
* https://ko.wikipedia.org/wiki/공인인증서
* {{위키백과|공인인증서}}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22&contents_id=4501
*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122&contents_id=4501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32774&cid=40942&categoryId=31819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232774&cid=40942&categoryId=31819

2018년 8월 4일 (토) 21:00 기준 최신판

public key certificate, digital certificate, identity certificate
공개키 증명서, 공개키 인증서, 디지털 증명서, 전자 증명서
SSL certificate
SSL 인증서

1 공개키 인증서[ | ]

  • 전자상거래용 인감증명서
  • (공인)인증기관이 발행하는 전자적 증명서
  • 전자서명에 이용된 정보를 증명하는 전자인증서
  • 전자 서명의 검증에 필요한 공개 키에 소유자 정보를 추가하여 만든 일종의 전자 신분증(증명서)
  • 목적: 전자상거래시 신원 확인, 문서의 위·변조 방지, 거래 사실의 부인 방지 등

2 SSL 인증서[ | ]

  • 공개키 인증서의 일종
  • 특정 조직, 도메인에 암호화키를 할당한 작은 데이터 파일
  •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을 제3자가 보증해주는 전자화된 문서
물론 보증을 해주는 기관 자체가 인증되지 않은 경우, 사설 인증서임
  • 종류: 공인 SSL 인증서, 사설 SSL 인증서
  • 인증기능 외에 단순히 컴퓨터 간 통신을 암호화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활용함
이때는 사설 인증서로 충분

3 같이 보기[ | ]

4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