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포저 Composer"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3번째 줄: 13번째 줄: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6/Logo-composer-transparent.png/220px-Logo-composer-transparent.png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2/26/Logo-composer-transparent.png/220px-Logo-composer-transparent.png


==사용법==
==주요 명령어==
*주요 명령어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명령어!! 사용법 !! 설명
! 명령어 !! 로컬 설치시 !! 전역 설치시 !! 설명
|-
|-
| install || php composer.phar install || 현 디렉토리에서 composer.json을 읽어 의존성을 해결후 그것들을 vendor에 설치한다.
| install || 현 디렉토리에서 composer.json을 읽어 의존성을 해결후 그것들을 vendor에 설치한다.
|-
|-
| update || php composer.phar update || 의존성의 최종 버전을 얻고 composer.lock 파일을 업데이트.
| update || 의존성의 최종 버전을 얻고 composer.lock 파일을 업데이트.
|-
|-
| require || php composer.php require || 새로운 패키지를 composer.json 파일에 추가.
| require || 새로운 패키지를 composer.json 파일에 추가.
|-
|-
| create-project || php composer.phar create-project doctrine/orm path 2.2.* || 새로운 프로젝트 생성을 위해 사용. git clone / svn checkout 과 동일한 것으로 보면 됨.
| create-project || 새로운 프로젝트 생성을 위해 사용. [[git clone]] / [[svn checkout]] 유사함
|}
|}
사용법은 Locally 설치 기준 (https://getcomposer.org/doc/00-intro.md#locally)
;쉘 명령어
* 로컬 설치시
<source lang='bash'>
php composer.phar 명령어
</source>
* 전역 설치시
<source lang='bash'>
php composer.phar 명령어
</source>
 
==예시==
<source lang='console'>
php composer.phar create-project doctrine/orm path 2.2.*
</source>


==같이 보기==
==같이 보기==

2016년 5월 8일 (일) 14:40 판

1 개요

Composer
컴포저
  • PHP 프로그래밍 언어용 애플리케이션 레벨 패키지 매니저
  • PHP 패키지 사이의 의존성 관리 가능
  • 개발자: Nils Adermann, Jordi Boggiano
  • MIT 라이선스
  • 패키지 매니저이긴 하나 yum이나 apt 와는 다름 ★
패키지 의존성을 관리하는 것은 맞음
그런데 시스템 전체에 대한 것이 아니라[1], 프로젝트별[2] 관리임
메이븐, 그래들, npm에 가까움

 

2 주요 명령어

명령어 로컬 설치시 전역 설치시 설명
install 현 디렉토리에서 composer.json을 읽어 의존성을 해결후 그것들을 vendor에 설치한다.
update 의존성의 최종 버전을 얻고 composer.lock 파일을 업데이트.
require 새로운 패키지를 composer.json 파일에 추가.
create-project 새로운 프로젝트 생성을 위해 사용. git clone / svn checkout 과 유사함
쉘 명령어
  • 로컬 설치시
php composer.phar 명령어
  • 전역 설치시
php composer.phar 명령어

3 예시

php composer.phar create-project doctrine/orm path 2.2.*

4 같이 보기

5 참고 자료

  1. 즉 yum, apt의 방식
  2. 특정 폴더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