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적 가나 표기법"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개요== ; ; ; * * * ==같이 보기== * [[ ]] * [[ ]] * [[ ]] * [[ ]] * [[ ]] * [[ ]] ==참고== * {{위키백과}} * {{위키낱말사전}} * {{다음사전}} * {{다음...)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개요==
==개요==
;
;歴史的仮名遣ひ (れきしてきかなづかひ)
;
;[[歷史的]] [[かな]] [[表記法]]
;
;역사적 가나 표기법
*
*일본어 철자법의 하나
*
*헤이안 시대 표기법에 기반
*  
*실제 발음보다 어원을 중시함
 
==예시==
*현대에는 똑같이 발음되는 글자도 어원에 따라 분별해서 표기한다.
*현대에도 조사 は, へ, を에 한해 남아있으나, 역사적 표기법에서는 단어 전반에 걸쳐 볼 수 있음.
 
{| class="wikitable"
! rowspan="2" | う/ふ
| <u>う</u>し(牛), <u>う</u>み(うみ)
|-
| い<u>ふ</u>(言ふ), か<u>ふ</u>(買ふ)
|-
! rowspan="3" | い/ひ/ゐ
| <u>い</u>ぬ(犬), ねむ<u>い</u>(眠い)
|-
| こづか<u>ひ</u>(小遣ひ), さいは<u>ひ</u>(幸ひ)
|-
| <u>ゐ</u>る(ゐる), <u>ゐ</u>ど(井戸)
|-
! rowspan="2" | は/わ
| わたし<u>は</u>(私は), か<u>は</u>(革)
|-
| <u>わ</u>たし(私), <u>わ</u>に(鰐)
|-
! rowspan="3" | お/ほ/を
| <u>お</u>にぎり(お握り), <u>お</u>に(鬼)
|-
| こ<u>ほ</u>り(氷), な<u>ほ</u>す(直す)
|-
| て<u>を</u>(手を), <u>を</u>かしい(可笑しい)
|-
! rowspan="3" | え/へ/ゑ
| <u>え</u>び(蝦), み<u>え</u>る(見える)
|-
| やま<u>へ</u>(山へ), こた<u>へ</u>る(答へる)
|-
| <u>ゑ</u>のぐ(繪の具), う<u>ゑ</u>る(植ゑる)
|}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 ]]
{{z컬럼3|
* [[ ]]
* [[가나]]
* [[ ]]
* [[일본어]]
* [[ ]]
* [[역사적]]
* [[ ]]
* [[표기법]]
* [[  ]]
* [[현대 가나 표기법]]
}}


==참고==
==참고==
* {{위키백과}}
* {{위키백과}}
* {{위키낱말사전}}
* {{다음사전}}
* {{다음백과}}
* {{다음백과}}
* {{네이버사전}}
* {{네이버백과}}
* {{네이버백과}}
* {{나무위키}}
* {{나무위키}}
* {{리브레위키}}
* {{리브레위키}}


[[분류:   ]]
[[분류: 가나 (문자)]]
[[분류:   ]]
[[분류:일본어]]
[[분류: 歷]][[분류: 史]][[분류: 的]]
[[분류: 表]][[분류: 記]][[분류: 法]]

2025년 5월 1일 (목) 15:04 기준 최신판

1 개요[ | ]

歴史的仮名遣ひ (れきしてきかなづかひ)
歷史的 かな 表記法
역사적 가나 표기법
  • 일본어 철자법의 하나
  • 헤이안 시대 표기법에 기반
  • 실제 발음보다 어원을 중시함

2 예시[ | ]

  • 현대에는 똑같이 발음되는 글자도 어원에 따라 분별해서 표기한다.
  • 현대에도 조사 は, へ, を에 한해 남아있으나, 역사적 표기법에서는 단어 전반에 걸쳐 볼 수 있음.
う/ふ し(牛), み(うみ)
(言ふ), か(買ふ)
い/ひ/ゐ ぬ(犬), ねむ(眠い)
こづか(小遣ひ), さいは(幸ひ)
る(ゐる), ど(井戸)
は/わ わたし(私は), か(革)
たし(私), に(鰐)
お/ほ/を にぎり(お握り), に(鬼)
り(氷), なす(直す)
(手を), かしい(可笑しい)
え/へ/ゑ び(蝦), みる(見える)
やま(山へ), こたる(答へる)
のぐ(繪の具), うる(植ゑる)

3 같이 보기[ | ]

4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