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Jmnote님이 세션, HTTP 세션 문서를 세션 문서로 이동하면서 넘겨주기를 덮어썼습니다)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session
{{다른뜻|세션(session)|세션}}
{{다른뜻|세션 (HTTP)}}
{{다른뜻|세션 (텐서플로우)}}
==개요==
;[[session]]
;세션
;세션
;HTTP session
;HTTP 세션
==세션==
* 일련의 상호작용 과정
* 일련의 상호작용 과정
: 예: [[로그인]] ~ [[로그아웃]]
* 대화·토론을 위한 활동, 회합, 기간
: 예: 애플리케이션 기동 ~ 종료
* 토론이나 연주 등 집단으로 하는 활동, 그 기간
: 예: 백업 시작 ~ 완료
* 두 개체간의 활성화된 접속
* 두 개체간의 활성화된 접속
* 대화식 처리에서 대화의 단위
* 대화식 처리에서 대화의 단위
* 서로 인식 후 통신을 마칠 때까지의 기간
* 서로 인식 후 통신을 마칠 때까지의 기간
*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또는 컴퓨터들 사이의 논리적 연결
*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또는 컴퓨터들 사이의 논리적 연결
* 네트워크 환경에서, 두 개 이상의 통신 장치들 사이의 대화 연결
* 망 환경에서 사용자 간 또는 컴퓨터 간의 대화를 위한 논리적 연결
* 컴퓨터 프로세서들 사이에서, 서로를 인식한 후에 데이터 송수신을 마칠 때까지의 기간
* 클라이언트 내의 서비스 요구 처리 프로그램과 서버 내의 서비스 응답 처리 프로그램 사이에 링크가 설정되는 것
* 프로세스들 사이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메시지 교환을 통해 서로를 인식한 이후부터 통신을 마칠 때까지의 기간
* 네트워크 입장에서 보면, 두 사용자 사이에서 서비스 구현을 위하여 필요한 자원을 하나로 모을 수 있는 연결을 의미한다.


==HTTP 세션==
==예시==
* HTTP를 통한 세션
{| class='wikitable'
* 웹클라이언트에 ID 발급해주고 서버에 기록함
|-
* 정보가 서버 측에 보관되므로 HTTP 쿠키보다 안전
| 로그인 세션 || [[로그인]] ~ [[로그아웃]]
* 서버 부하는 늘어남
|-
| 애플리케이션 기동 세션 || 애플리케이션 기동 ~ 종료
|-
| 백업 세션 || 백업 시작 ~ 완료
|}


==같이 보기==
==같이 보기==
*[[HTTPS]]
{{z컬럼3|
*[[REST]]
* [[회기(會期)]]
*[[세션 ID]]
* [[HTTP 세션]]
*[[세션 고정]]
* [[HP DP 세션]]
*[[세션 계층]]
* [[스티키 세션]]
*[[세션 하이재킹]]
* [[세션 ID]]
*[[세션 클러스터링]]
* [[세션 고정]]
*[[스티키 세션]]
* [[세션 계층]]
*[[PHP 세션]]
* [[세션 하이재킹]]
*[[MySQL 세션ID 확인]]
* [[세션 클러스터링]]
*[[HP DP 세션]]
* [[MySQL 세션ID 확인]]
*[[HTTP 쿠키]]
}}
*[[쿠키와 세션 차이점]]


==참고==
==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Session_(computer_science)
* {{영어위키백과|Session (computer science)}}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11964&cid=2956&categoryId=2956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11964&cid=2956&categoryId=2956


[[분류: 세션]]
[[분류: 네트워크]]
[[분류: 네트워크]]
[[분류: 세션]]
[[분류: 2음절 영어계 외래어 명사]]

2023년 10월 10일 (화) 19:47 기준 최신판

  다른 뜻에 대해서는 세션(session)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세션 (HTTP)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다른 뜻에 대해서는 세션 (텐서플로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1 개요[ | ]

session
세션
  • 일련의 상호작용 과정
  • 대화·토론을 위한 활동, 회합, 기간
  • 토론이나 연주 등 집단으로 하는 활동, 그 기간
  • 두 개체간의 활성화된 접속
  • 대화식 처리에서 대화의 단위
  • 서로 인식 후 통신을 마칠 때까지의 기간
  • 네트워크에서 사용자 또는 컴퓨터들 사이의 논리적 연결
  • 네트워크 환경에서, 두 개 이상의 통신 장치들 사이의 대화 연결
  • 망 환경에서 사용자 간 또는 컴퓨터 간의 대화를 위한 논리적 연결
  • 컴퓨터 프로세서들 사이에서, 서로를 인식한 후에 데이터 송수신을 마칠 때까지의 기간
  • 클라이언트 내의 서비스 요구 처리 프로그램과 서버 내의 서비스 응답 처리 프로그램 사이에 링크가 설정되는 것
  • 프로세스들 사이에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메시지 교환을 통해 서로를 인식한 이후부터 통신을 마칠 때까지의 기간
  • 네트워크 입장에서 보면, 두 사용자 사이에서 서비스 구현을 위하여 필요한 자원을 하나로 모을 수 있는 연결을 의미한다.

2 예시[ | ]

로그인 세션 로그인 ~ 로그아웃
애플리케이션 기동 세션 애플리케이션 기동 ~ 종료
백업 세션 백업 시작 ~ 완료

3 같이 보기[ | ]

4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