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 탐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개요== ;appreciative inquiry (AI) ;긍정적 탐구, 긍정 탐구, 강점 탐구, 장점 탐구, 가치 탐구 * 조직의 역량을 극대화 시키는 핵심적 긍정요소(co...)
 
잔글 (Jmnote님이 강점 탐구 문서를 긍정 탐구 문서로 이동하면서 넘겨주기를 덮어썼습니다)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1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5번째 줄: 5번째 줄:
* 조직과 구성원의 성과창출과 혁신을 위한 진단과 분석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조직개발과정·철학
* 조직과 구성원의 성과창출과 혁신을 위한 진단과 분석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조직개발과정·철학
* 조직 또는 공동체가 가장 효과적으로 역량을 발휘했던 시기에 그 조직이나 공동체에 활력을 불어 넣었던 강점이나 긍정적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탐색하고 발견하는 것
* 조직 또는 공동체가 가장 효과적으로 역량을 발휘했던 시기에 그 조직이나 공동체에 활력을 불어 넣었던 강점이나 긍정적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탐색하고 발견하는 것
* 조직이 경험했던 성공적인 모습을 발견하고(discovery), 가장 좋은 상태를 상상하며(dream), 그러한 조직이 구현되도록 설계하고(design), 미래의 꿈을 실현하는 것


 
==비교==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 문제 해결 !! 강점 탐구
! 구분 !! 문제 해결 !! 강점 탐구
|-
| 1. 문제점 인식 || 1. "무엇"이 최고인지 가치 판단
|-
| 2. 원인 분석 || 2. "무엇이 될 수 있는지" 상상
|-
| 3.  분석 & 가능한 해결책 || 3.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 논의
|-
|-
| 4. 조치 방안 ||  
| 절차
|
* 1. 문제점 인식
* 2. 원인 분석
* 3. 가능한 해결책
* 4. 조치 계획
|
* 1. "무엇"이 최고였는지 가치 판단
* 2. "무엇이 될 수 있는지" 상상
* 3.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 논의
|-
|-
| '''기본 가정:''' 조직 = 풀어야 한 문제 || '''기본 가정:''' 조직 = 포용해야 할 미스터리
| 기본 가정 || 조직 = 풀어야 할 숙제 || 조직 = 포용해야 할 신비로운 것
|}
|}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강점]]
* [[탐구]]
* [[긍정적]]
* [[실행연구]]
* [[실행연구]]
* [[조직 개발]]


==참고==
==참고==
* {{위키백과}}
* {{위키백과}}
* {{영어위키백과|Appreciative inquiry}}
* {{영어위키백과|Appreciative inquiry}}
* {{위키낱말사전}}
* {{다음사전}}
* {{다음백과}}
* {{다음백과}}
* {{네이버사전}}
* {{네이버백과}}
* {{네이버백과}}
* http://www.kapa21.or.kr/epadic/epadic_view.php?num=777
* http://www.kapa21.or.kr/epadic/epadic_view.php?num=777


[[분류: 명사]]
[[분류: 변화 관리]]
[[분류: 탐구]]
[[분류: 조직론]]
[[분류: 조직 행동]]
[[분류: 사회 체계]]
[[분류: HRM]]

2022년 6월 26일 (일) 10:34 기준 최신판

1 개요[ | ]

appreciative inquiry (AI)
긍정적 탐구, 긍정 탐구, 강점 탐구, 장점 탐구, 가치 탐구
  • 조직의 역량을 극대화 시키는 핵심적 긍정요소(core positive)를 바탕으로 조직성과를 개선하는 변화관리법
  • 조직과 구성원의 성과창출과 혁신을 위한 진단과 분석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조직개발과정·철학
  • 조직 또는 공동체가 가장 효과적으로 역량을 발휘했던 시기에 그 조직이나 공동체에 활력을 불어 넣었던 강점이나 긍정적 요소들을 체계적으로 탐색하고 발견하는 것
  • 조직이 경험했던 성공적인 모습을 발견하고(discovery), 가장 좋은 상태를 상상하며(dream), 그러한 조직이 구현되도록 설계하고(design), 미래의 꿈을 실현하는 것

2 비교[ | ]

구분 문제 해결 강점 탐구
절차
  • 1. 문제점 인식
  • 2. 원인 분석
  • 3. 가능한 해결책
  • 4. 조치 계획
  • 1. "무엇"이 최고였는지 가치 판단
  • 2. "무엇이 될 수 있는지" 상상
  • 3. "무엇이 되어야 하는지" 논의
기본 가정 조직 = 풀어야 할 숙제 조직 = 포용해야 할 신비로운 것

3 같이 보기[ | ]

4 참고[ | ]

문서 댓글 ({{ doc_comments.length }})
{{ comment.name }} {{ comment.created | snstime }}